•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교육부와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이 추 진한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사업’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활동에 참여한 교사

항목 빈도(명) 비율(%)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이해와 관련 지식을 습득하기 위

해서 173 27.2

수업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실천하는 방법을 알고 싶어

서 (교육과정 재구성, 교수법 등) 206 32.4

학교에서 수업 외의 세계시민교육 실천 방법을 알고

싶어서 (동아리 활동 등) 116 18.2

교사로서 교양을 쌓기 위해서 32 5.0

현재 담당 업무와 관련이 있어서 24 3.8

세계시민교육에 관심 있는 교원들과 네트워크를 구축

하기 위해서 77 12.1

동료 교사의 권유와 추천을 받아서 40 6.3

교원 인사에서 혜택을 받기 위해서(승진 가산점 등) 0 0

기타 21 3.3

<표 12>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활동 참여 동기 (N=636) 복수응답

와 일반 교사를 대상으로 선도교사 사업 참여에 따른 인식 변화와 사업 참여 동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활동은 참여 교사들의 ‘세계시민교 육에 대한 이해’, ‘세계시민교육 실천 역량’, ‘세계시민교육 활동 참 여 의지’를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세계시민교육의 실천 영역에서 선도교사 사업 참여 효과가 큰 것으 로 나타났다. 최근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이 높아지면 서 선도교사 활동 참여와 관계없이 교사들이 특강이나 세미나, 서적, 인터넷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세계시민교육 관련 정보를 습득할 수 있 는 기회가 증가하였다.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정보 습득 기회가 확대 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이해도가 높 아졌으며, 이는 일반교사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이해도가 다른 영 역에 비해 높다는 분석 결과(사전 3.92, 사후 4.08)를 통해서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참여 동기 분석에서 확인했듯이, 교사들은 세계 시민교육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자신의 수업과 학교 현장에서 세계 시민교육을 실천하는 방법에 대한 수요가 높다. 세계시민교육 선도 교사 사업은 이러한 교사들의 실천 역량 향상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 고 있다. 특히 선도교사들이 자신이 속한 지역 내에서 세계시민교육 을 실천한 구체적인 사례와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활동을 기획․ 운영했기 때문에, 참여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실천 역량 향상에 유의 한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선도교사를 중심으로 한 교사 네트워크 구축과 자율적인 전 문성 개발 노력이 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

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활동은 중앙 선 도교사와 시도선도교사의 역량 개발과 이를 활용한 실천을 통해 진 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실천이 시도교육청 단위에서 교사연구회나 학습동아리 운영을 통해 확산되고 있다(유네스코아태교육원, 2018).

따라서 선도교사들 간의 네트워크 구축과 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노력이 중요하다. 또한 분석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세계시민교육 선 도교사 활동에 참여한 교사들이 실천 외에도 자신과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는 교원들과의 네트워크 구축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세계시 민교육은 별도의 교과목이나 전공이 없기 때문에, 학교 내에서도 교 과협의회와 같은 협력 체제를 갖추기 어렵다. 따라서 세계시민교육 을 실천하려는 교사들은 고군분투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박순용, 강보라, 2017; 이성회, 2016), 자신이 실천하는 일이 맞는지 혹은 잘 못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 끊임없이 자문하고 고 민해야 하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세계시민교육을 실천하는 교사들 간 소통과 협력은 교사들의 교수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한승미, 2019).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활동은 단순히 개인의 전문성 향상을 넘어서, 나와 비슷한 처지에 있는 교사들이 ‘선도교사’라는 공통의 정체성을 부여받고 함께 소통 할 수 있는 장이다. 따라서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활동이 일회성 행사가 아니라, 활동 종료 이후에도 세계시민교육을 실천하는 교사 들의 모임으로서 상호 간의 이해와 협력이 지속가능하도록 보다 적 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들이 요구하는 세계시민교육 실천 역량은 교과수업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학교교육 전반에 걸쳐서 나타난다. 참여 동기

분석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교사들은 자신이 담당하는 수업 내 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과 교수법에 대 한 관심이 높다. 그러나 ‘학교에서 수업 외의 세계시민교육 실천 방 법을 알고 싶어서’라는 응답 비중도 18.2%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요구는 세계시민교육이 별도의 정규 교과목으로 편성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수업 이외의 세계시민교육 실천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관 심과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고 려할 때, 향후 교사 대상의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에서도 다양한 세 계시민교육 실천 사례를 발굴․공유하고 교사들이 이에 대해 비판적 으로 논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활동에는 이미 세계시민교육에 관심이 있는 교사들이 참여하고 있었다. 2020년 선도교사 활동에 참 여하기 전에 선도교사 경험이 있는 교사가 27.8%를 차지했으며, 분 석 대상자의 62.2%가 선도교사 이외에 세계시민교육 경험을 갖고 있 었다. 이러한 결과는 세계시민교육이 일부 관심 있는 교사들을 중심 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는 선행연구(박순용, 강보라, 2017)와 맥 을 같이 한다. 이미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관심과 기본적인 이해를 갖춘 교사들이 선도교사 활동에 참여하기 때문에, 교사들의 사업 참 여 동기도 세계시민교육 자체에 대한 동기가 높게 나타났다고 해석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세계시민교육을 실행하고 주도하는 주체인 교사 대상의 세계시민교육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한계점을 갖는다. 첫째, 코로나19로 인 한 제약으로 인해 사전조사의 시점이나 비교집단의 사례 수 등 연구

설계상의 한계를 갖고 있다. 둘째, 교사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이 해, 실천역량, 참여의지 등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활동을 통해 변화했 는지에 대해 다루지 못했다. 셋째, 세계시민교육 사업 참여 효과가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사의 실천으로 이어졌는지에 대해서는 다루지 못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향후 보다 엄밀한 실험 설계가 필요하며,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활동 참여 교사에 대한 면 담과 참여관찰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추후 연구과제로 제안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강규원, 오정훈(2015). 우리나라 학생들의 세계시민교육 성과. 중등교육연구 63(1).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1-32.

강순원(2014). 국제이해교육 맥락에서 한국 글로벌시민교육의 과제. 국제이해 교육연구 9(2).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31.

강정진(2017). 교사들의 인지적․비인지적 교사학습을 반영한 세계시민교육 교사연수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3). 학습자중심교과 교육학회. 137-162.

강혜라, 홍영준(2015). 해외자원봉사활동이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과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시민청소년학연구 6(2). 한국시민청소년학회.

1-36.

강후동, 박지현(2019). 초등영어교육에서의 세계시민교육 효과 연구. 영어교 육연구 31(4).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155-177.

고아라(2015). 글로벌시민교육 교원 연수의 효과 분석. 국제이해교육연구 10(1).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95-133.

교육부(2019). 2020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운영 계획.

김국현(2019). 예비교사의 시민교육 역량 강화 교육방안 연구. 윤리연구 125.

사 역량강화 2차 연수계획서 자료. Educational Research. 76(4). 653-690.

Davies, I., Evans, M., & Reid, A. (2005). Globalizing citizenship education? A

critique of ‘global education’ and ‘citizenship educato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53(1). 66-89.

Guo, L. (2014). Preparing Teachers to Educate for 21st Century Global Citizenship:

Envisioning and Enacting. Journal of Global Citizenship & Equity Education.

4(1).

Rapoport, A. (2009). A forgotten concep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state social studies standards. The Journal of Social Studies Research. 33(1). 91-112.

Schweisfurth, M. (2006).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teacher agency and curricular structure in Ontario schools. Educational Review. 58(1). 41-50.

UNESCO (2015). Rethinking Education: Towards a Global Common Good? Paris:

UNESCO.

Abstract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