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결손가정 아동들의 성격강점과 사 회적 지지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결손가정 아동들의 만족스럽고 적응적인 학교생활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성격강점을 찾아내어 일찍 부터 이러한 성격강점을 계발할 수 있도록 조력해줌으로써 결손가정 아동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감과 행복감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는데 의의를 가지고 실 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가정 아동과 결손가정 아동의 성격강점과 사회적 지지, 그리고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결손가정 아동의 성격강점 및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결손가정 아동의 성격강점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에 소재한 7개 조선족 초등학교 5, 6학년 25개 학급의 남녀아동 609명을 연구 대상으로 밝혀진 주요 결과를 중 심으로 가설 검증 결과를 확인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격강점, 사회적 지지, 학교생활만족도의 가정형태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표 Ⅳ-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가정 아동의 성격강점과 사회적 지지가 결손가정 아동보다 평균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p

<.05 수준에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학교생활만족도에서도 일반가정 아동이 결 손가정 아동보다 평균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p

<.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일반가정 아동과 결손가정 아 동 간의 성격강점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가설 1과‘일반가정 아 동과 결손가정 아동 간의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가설 1-2 그리고‘일반가정 아동과 결손가정 아동 간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가설 1-3은 모두 지지되었다.

따라서 아동일 경우 일반가정 아동이 결손가정 아동보다 성격강점이나 사회적 지지가 더 높고 따라서 학교생활만족도도 결손가정 아동보다 높다는 것을 반영 한다. 이 결과는 우리 교육계의 주관적으로 일반가정 아동이 결손가족 아동보다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을 것이라는 추측하였던 것을 통계적으로 증명하였다.

둘째, 결손가정 아동의 성격강점 및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상관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계적으로 성격강점과 학교생활만족도 간에 전체 상관관계는 유의한 정적상 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격강점의 하위요인과 학교생활만족도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도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손가정 아동의 성격강점이 학교생활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설명할 것이다.’

가설 2-1은 지지되었다.

이는 선행연구와 비교해보면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진 아동들이 교우관계나 학업교사와의 관계에서 강점을 보이며 학교에 대한 적응이나 만족수준이 높게 나타난 것이다(문은식, 2002). 특히 정의 강점은 결손가정 아동이 헌신적이고 충실하게 학급, 학교 등 집단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여 자기가 해야 할 몫을 다 할 때 드러난다. 따라서 정의 강점의 결손가정 아동은 학교생활만족도가 높다.

손보영(2010)는 성격강점이 초등학생의 성격강점 발달이 학업성적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학교생활만족도를 설명하는 성격강점의 요소로 초월성, 인간애, 지혜와 지식, 용기, 절제가 나타났다고 하였다. 이것은 본 연구에서 결손가정 아동들에게 나타났던 것과도 유사한 결과이다.

또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만족도와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특히 교사지지와 학교생활만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손가정 아동의 사회적 지지는 학교생활만족도 를 유의미하게 설명할 것이다.’는 가설 2-2는 지지되었다. 아동의 교사와의 관 계는 학교생활만족도와 매우 밀접한 관련요인이다. 실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교사지지가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인다고 밝히고 있다. 이진숙(2002)에 의하면 교 사와의 비우호적인 관계는 인간관계의 좌절과 학습의 어려움으로 연결되므로 학 교생활에 무척 중요하다. 또한 교사와의 원만한 관계는 아동들의 스트레스를 감 소시켜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인다는 연구결과도 있다(Steptoe, 1991). 선행연구 에서 살펴 본 중국 연변지역 조선족 결손가정 아동들은 결손가정형태 자체가 아 동의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것은 아니며, 사회적 지지가 잘 구축되어 있거나 탄

력성이 높은 아동은 결손가정 자녀라고 해도 잘 적응하고 있다.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우울, 불안이나 비행, 공격성에 대한 적응에 긍정적이다(김명숙 외, 2012).

마지막으로 표 Ⅳ-7의 결과에서 최종적으로 살펴보면 결손가정 아동의 생활만 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로는 차례로 사회적 지지, 성격강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결손가정 아동의 성격강점과 사회적 지지는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해 유 의미한 영향력이 있을 것이다.’는 가설 2-3도 지지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결손가정 아동의 학교 생활만족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 켜 줄 필요가 있다고 보며 이는 결손가정 아동의 학교생활만족 면에 있어서 도 움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형태별로 아동의 성격강점,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만족도 의 차이와 결손가정 아동들의 성격강점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가 가지고 있는 의의와 시사점을 알아보면 다음 과 같다.

첫째, 가정형태별로 성격강점 및 사회적 지지, 그리고 학교생활만족도를 비교 해 본 결과 일반가정 아동의 성격강점과 사회적 지지, 학교생활만족도가 모두 결손가정 아동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부모가 있음과 없음으로 아동들에게 주는 영향으로 볼 수 있다.

결손가정 아동은 부모의 부재로 가정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지원에 더하여 심리적, 정신적 지원도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결손가정 아동의 성격강점 중, 개의 하위요인변인에서 지혜와 지식, 정 의, 초월성, 인간애 등이 학교생활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적상관가 있고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긍정적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고, 성격강점이 높은 결손가정 아동들은 부정적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성격강점이 낮은 결 손가정 아동들보다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격강점의 발달을 통해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정과 학교에서 자녀

와 학생의 성격강점 중 특히 창의성과 호기심, 개방성, 학구열, 끈기, 자기조 절, 지도력의 성격 강점을 길러 줄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계발하는 데 힘써야 한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교사지지가 학교생활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 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서적으로 부모의 부재로 만족하지 못하는 결손가정 아동들이 교사들의 관심, 지지로 정서적인 대리만족을 하며 따라서 학교생활에 더 긍정적으로, 적극적으로 임하게 된다. 특히 결손가정 아동은 부모의 부재의 정서적 그리움을 교사를 통해 해결 받으며, 학교에서 교사와 우호적으로 지내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결손가정 아동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사회적 지지 특히 교사지지가 필요하며, 이러한 교사지지는 결손가정 아동의 안정하고 행복한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예측해 볼 수 있으며, 또한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결손가정 아동들이 학교생활에 더 만족할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 다.

본 연구가 갖고 있는 제한점을 살펴보면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결손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모든 아동의 연구 의 결과로 일반화시키기는 한계가 있다. 결손가정 아동의 성격강점과 사회적 지 지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더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 심 층적인 사례연구와 같은 후속연구 또는 대규모 표집을 통해 일반화 범위를 넓혀 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또한 본 연구는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에 소재한 7개 초등학교 5, 6학 년 25개 학급의 남녀아동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기 때문에 이 연구 결과를 전국 의 모든 결손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 구결과는 표집된 초등학교 5,6 학년 결손가정 아동의 학교생활만족도를 의미하 며, 중국 연변지역에 소재한 7개 초등학교의 특성을 반영한 것임을 감안하여 해 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결손가정 아동의 성격강점의 하위요인에서 학교생활만족

셋째, 본 연구에서는 결손가정 아동의 성격강점의 하위요인에서 학교생활만족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