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전통 네일아트의 선호도 및 향후 착용의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전통 네일아트의 선호도 및 향후 착용의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17> 과 같이 나타났다.분석결과 전통 네일아트의 선호도는 3개 항목인 시술받은 네일아트가 호감이 간 정도,마음에 든 정도,좋은 정도의 항목으로 도 출되었다.향후 착용 의도는 시술받은 네일아트는 앞으로 다시 시술받을 것이다, 시술받은 네일아트를 다른 사람에게 꼭 추천할 것이다,시술받은 네일아트를 앞 으로도 계속 착용할 것이다,시술받은 네일아트를 앞으로도 계속 시술받을 것이 다.라는 4개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이들 변수들에 대한 전체 설명 분산 비율은 80.886%로 나타났으며,각 요인에 대한 설명 분산 값은 선호도가 35.010%,향후 착용의도가 45.875%로 나타났다.

<표17> 전통 네일아트의 선호도 및 향후 착용의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구분 선호도 향후 착용의도

선호7 선호8 선호9

.871 .853 .793

.179 .326 .377 의도3

의도4 의도1 의도2

.223 .271 .329 .325

.910 .888 .826 .795  고유치Eigenvalue)

설명분산(%) 누적분산(%)  

2.451 35.010 35.010

3.211 45.875 80.886

2.전체 변수에 대한 신뢰도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도출된 각 변수의 측정항목에 대해 Cronbach'sα 계수 를 통한 신뢰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통성은 .857로 나타났으며,심미성은 .846, 고유성은 .861,즐거움은 .921,경험적 가치는 .883,선호도는 .868로 나타났으며, 향후 착용 의도는 .927로 나타나 일반적인 기준인 .7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Nunnally,1978).

<표18> 연구단위의 신뢰도 검증결과 및 제거항목

연구단위

최초 항목 수

최종 항목 수

Cron bach 's

α 제거항목

전통 네일아트

의 특성

전통성 5 3 .857

- 내가 살펴본 네일아트의 소재는 매우 전 통적인 소재라고 생각한 정도

- 내가 노을 접한 네일아트는 우리문화를 잘 표현하고 있다고 생각한 정도

심미성 5 3 .864

- 내가 오늘 접한 네일아트가 전반적으로 아름다웠다고 생각한 정도

- 내가 오늘 접한 네일아트가 신비롭다고 생각한 정도

고유성 6 4 .861

- 내가 오늘 접한 네일아트가 다른 네일아 트와 다르다고 생각한 정도

- 내가 오늘 접한 네일아트가 기존 네일아 트와는 다른 독특한 측면이 많았다고 생 각한 정도

즐거움 5 3 .921

- 내가 오늘 접한 네일아트가 나를 흥분되 게 한 정도

- 내가 오늘 접한 네일아트가 나를 신나게 한 정도

경험적가치 5 3 .883 - 내가 오늘 접한 네일아트가 일상생활에서 잠시나마 벗어나게 해준 정도

- 접한 네일아트가 우수하다고 생각한 정도 선호도 5 3 .868 - 나를 집중하게 만든 정도

- 나에게 흥미를 일으킨 정도 향후 착용의도 4 4 .927

3.전체 변수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본 연구는 다 항목으로 측정한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LISREL 8.3 프로그램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모델 검정을 위한 입력 자료로 상관관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전체 연구 모형의 적합성은 측정모형 (measurementmodel)과 구조모형(structuralmodel)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먼저 측정모형의 수렴 타당도(convergentvalidity)와 판별 타당도(discriminant validity)를 검증한 뒤에 구조 모형을 검정하였다.전체 연구단위들에 대한 측정

모형을 분석 결과는 <표19> <표20>과 같다.확인적 요인분석결과 확인적 요인 분석결과 χ2=307.20,df=209(p=.000),GFI=.91,AGFI=.90,NFI=.95,NNFI=.93, RMR=.045로 비교적 적합도가 높게 나타났으며,이를 통한 수렴타당도를 검증하 였다.수렴타당도는 사용된 지표들이 동일한 구성개념을 측정하고 있다면 이들 간의 상관이나 관련성은 높아야 하며 다른 개념들의 지표들 상관이 낮을수록 수 렴타당도가 높다고 보며 각 잠재요인에 대한 관찰변수의 모수 추정치를 측정하 고 이 모수 추정치의 표준화된 검정통계량(t-value)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p<.05) 결과가 나타나면 수렴타당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Anderson and Gerbing1988).

<표19>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연구개념 항목 표준

부하량 측정

오차 t-value 개념

신뢰도

전통성

x11 .80 .37 10.46***

x21 .94 .11 12.74*** .904

x31 .87 .24 11.88***

심미성 .808

x42 .82 .33 11.53***

x52 .75 .43 10.25***

x62 .72 .49 9.58***

고유성

x73 .75 .44 10.65***

x83 .88 .22 13.57*** .919

x93 .90 .19 14.07***

x103 .90 .18 14.14***

즐거움

x114 .91 .18 14.12***

.923

x124 .87 .24 13.26***

x134 .90 .18 14.10***

경험적가치

x145 .88 .23 13.17***

.883

x155 .86 .25 12.83***

x165 .79 .37 11.27***

선호도

x176 .77 .41 10.84***

.873

x186 .89 .21 13.32***

x196 .84 .29 12.35***

향후 착용의도

x207 .84 .29 12.64***

x217 .80 .36 11.76*** .928

x227 .92 .16 14.57***

x237 .93 .14 14.89***

***:p<.001

<표20> 확인적 요인분석에 대한 적합도

구분 x2 df GFI AGFI NFI NNFI CFI RMR 기준값 - - ≧.88 ≧.86 ≧.90 ≧.90 ≧.90 <.07 연구모형 307.20 209

(p=.000) .91 .90 .93 .94 .95 .045

검증결과 <표20>와 같이 모든 항목의 모수 추정치의 t값이 2보다 큰 값을 나 타내어 본 연구의 측정모델에 대한 수렴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또한 척 도들이 연구 단위들에 대한 대표성을 갖는지를 검증한 결과 <표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생변수와 내생변수의 연구단위의 개념 신뢰도는 .808~.928까지로 일반적 기준인 .70보다 높게 나타났으며,분산추출값의 경우 .584~.800으로 모든 변수들이 .50의 일반적 기준치를 상회하여 해당 연구단위들에 대한 대표성을 갖 는다고 할 수 있다(Hair,Anderson,Tatham,andBlack,1995).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각 측정항목들은 해당 연구단위들에 대해 대표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연구단위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4.판별타당도 검증

판별타당도 검증은 각각의 잠재변수 구조가 서로 다른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지를 검증하는 것으로서 본 연구는 다음의 2가지 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첫째, 각각의 구성개념 간에는 측정결과에 있어서 상응하는 차이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으로 상관관계 행렬(Φ matrix)을 통해 95% 신뢰구간 [상관관계 ±(2×표준오 차)]으로 계산하여 그 값이 “1”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판별타당도가 있다고 본다(Anderson and Gerbing,1988;Fornelland Larcker,1981).둘째,좀 더 엄 격한 검증방법으로서 평균분산 추출값(AVE)이 모든 구성개념 간 상관자승치 (squaredcorrelation)보다 커야 한다(Fornell,andLacker,198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첫 번째 검증방법을 통해 검증한 결과 <표21>과 같이 나타났다.예를 들어 전통성과 심미성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계산한 결과 .31-.63으로서 “1”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이들 변수 간에는 판별타당도가 있다고 본다.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체 변수를 검증한 결과 <표19>과 같이 갈등과 관련 한 변수를 제외한 모든 변수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좀 더 엄격한 검증방법인 두 번째 방법인 평균분산 추출값(AVE)이 모든 구성개념 간 상관자승치(squaredcorrelation)보다 커야 한다는 FornellandRobinson(1983)의 검증 방법을 통해 검증한 결과 <표2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모든 변수에서 상관자승치보 다 평균 분산추출값이 더 크게 상회하여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연구 단위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표21> 구성개념의 상관관계 행렬(Φ matrix)

구분 전통성 심미성 고유성 즐거움 경험적

가치 선호도 향후

착용의도

전통성 .760 .22 .25 .09 .22 .21 .32

심미성 .47***

(.08) .584 .46 .44 .43 .42 .41

고유성 .50***

(.07) .68***

(.06) .742 .17 .25 .31 .38

즐거움 .30***

(.08) .67***

(.06) .42***

(.07) .800 .42 .41 .23 경험적

가치

.47***

(.07) .66* (.06)

.50***

(.07)

.65***

(.06) .716 .49 .30 선호도 .46***

(.08) .65***

(.06) .56***

(.06) .64***

(.06) .70***

(.05) .697 .39 향후

착용의도

.57***

(.06) .64***

(.06) .62***

(.06) .48***

(.07) .55***

(.06) .63***

(.06) .763

주:1.대각선은 개념신뢰도임

대각선 아래쪽은 구성개념 간 상관계수이며,( )안의 값은 표준오차임 대각선 위쪽은 구성개념 간 상관자승치(squardcorrelation)임

2.*p<.05,**p<.01,***p<.001

제3절 연구문제 검증 및 논의

1.연구문제 1의 검증

연구문제 1:전통 네일아트에 대한 전통성 및 심미성,고유성의 인식은 소재별 및 체험자와 비체험자 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1-1 :전통 네일아트에 대한 소비자의 전통성 및 심미성,고유성의 인식은 소재별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1-2 :전통 네일아트에 대한 소비자의 전통성 및 심미성,고유성의 인식은 체험자와 비체험자 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전통 네일아트 특성 인식에 대한 소재별 차이

<표22> 전통 네일아트 특성 인식에 대한 소재별 차이

구분 빈도 평균 표준편차 F값 Sig.

전통성

한지 87 3.943 .783

.294n/s .746 자개 97 3.856 .979

직물 92 3.859 .793

심미성

한지 89 3.393 1.154

4.206* .016 자개 99 3.778 .898

직물 93 3.753 .952

고유성

한지 88 3.568 1.091

4.325* .014 자개 99 3.788 .929

직물 94 3.989 .874

*:p<.05

전통 네일아트 특성 인식에 대한 소재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ANOVA분석 을 실시한 결과 <표22>과 같이 나타났다.분석결과 각 소재별로 전통성(F=.294, p>.05)을 제외한 심미성(F=4.206,p<.05)과 고유성(F=4.325,p<.05)에 대한 특성 은 소재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가설1-1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소재간 전통 성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한지 및 자개,직물의 소재 가 모두 전통적인 소재라고 인식하고 있음에 따라 전통성에 대한 차이를 느끼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나.전통 네일아트 특성 인식에 대한 체험자와 비체험자 간의 차이

전통 네일아트 특성 인식에 대한 체험자와 비체험자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 해 각 소재별로 체험자와 비체험자간의 t-test를 실시한 결과 <표23>과 같이 나 타났다.분석결과 한지와 자개,직물소재 모두 체험자와 비체험자 간의 전통 네 일아트 특성에 대해 유의하게 차이가 있음을 결과에서 보여주고 있다.특히 <표 23>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비체험자보다는 체험자집단에서 전반적으로 더 높은 평균을 나타내고 있어 직접 자신이 전통 네일아트를 체험한 경험이 전통 네일아 트에 대한 특성을 더욱 높게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23> 전통 네일아트 특성 인식에 대한 체험자와 비체험자 간의 차이    체험여부

소재별 

 체험자  비체험자  

빈도 평균 표준편차 빈도 평균 표준편차 t값

한지 소재

전통성 151 4.371 3.577 143 3.685 0.843 2.234* 심미성 151 4.093 0.819 143 3.622 0.879 4.750***

고유성 151 4.159 0.801 143 3.804 0.874 3.631***

자개 소재

전통성 150 4.053 0.722 143 3.678 0.827 4.140***

심미성 150 4.007 0.781 143 3.692 0.841 3.316***

고유성 150 4.087 0.810 143 3.818 0.909 2.672**

직물 소재

전통성 151 4.040 0.682 142 3.676 0.821 4.133***

심미성 151 4.106 0.750 141 3.723 0.846 4.095***

고유성 151 4.152 0.781 142 3.768 0.912 3.885***

**:p<.01,***:p<.00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