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난민문제의 문명적 이해와 세계시민교육의 함의

난민들의 문제는 인도적 위기에 의해서 발생하지만 난민문제는 정 치적 의지가 없이 해결되기 어렵다.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이지만, 정치인 또는 행정가들의 국제적 차원의 책무의식과 문제해결을 위한 정치적 의지가 필요하다. 현장의 상황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정책과 제도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정치의 역할이 클 수밖에 없다. 정치인들 과 입법가들이 정치적 목적으로 난민문제를 포퓰리즘의 시각에서 프 레이밍한다면 실질적 문제의 해결은 요원해질 것이다.

갈등적 난민담론을 사회적 다수의 의견에 따라 해결을 해나가야 할 것인지 또는 보호해야할 가치와 전통을 수호하기 위해 정치적 비 용을 지불할 것인지 정책결정자들이 판단을 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문화와 전통은 후세들의 삶의 방식과 가치 지향에도 영향을 미친다 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한국사회가 난민과 같 은 소수자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방식은 후세들이 한국사회를 어떻 게 이끌어 나가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한국사회가 낯선 문화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다수에 의한 횡포를 막기 위해서는

난민수용에 대한 정치적 의지가 필요한 것이다.

이슬람의 전통을 문화적 다양성이라는 차원에서 이해하는 것도 중 요하지만, 문명사적 시각에서 조명하고 이해하려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세계사의 발전 과정에서 이슬람의 전통이 미친 영향을 가 벼이 여길 수 없다. 이슬람을 단순히 다른 전통의 문화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사회의 발전, 인류의 발전이라는 차원에서 문명이 라는 맥락으로 이해한다면 예멘 난민신청자에 대한 지나친 일반화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사무엘 헌팅턴(Samuel Huntington) 이 ‘문명의 충돌’이라는 테제를 설파하였지만, 문명은 다른 문명과 소통할 줄 알기 때문에 반드시 충돌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 간과 되었다. 문명 안에 야만적인 그룹이 있을 수 있지만, 야만적인 그룹 이 그 문명을 대변할 수 없다. 이렇듯 이슬람 문명을 이해하는 것은 무슬림을 테러리스트나 잠재적 범죄자로 인식하는 대중들의 인식 개 선을 위해 필요한 조건이다.

제주의 예멘 난민신청자를 둘러싼 담론은 한국사회의 민낯을 드러 낸 것이기도 하지만, 한국사회가 더 성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 고 있다. 난민의 인도적 보호를 위한 난민수용 찬성론과 혈통주의, 인종주의, 국가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난민수용 반대론은 저마다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두 가지 대립적인 시각이 항상 경쟁을 해왔 지만, 혐오주의가 지나치게 팽배해지는 것은 한국사회의 문명적 소 통의 방식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경계되어야 한다. 난민의 문제와 난민문제의 차이를 이해하고 다름을 존중하는 문화가 성숙된 다면 무슬림에 대한 편견도 최소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번의 예멘 난민신청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갈등은 ‘국제이해’ 교

육에 대해서도 성찰이 필요하다는 것을 일깨워준다. 다른 문화를 알 고 이해하는 것은 상대에 대한 오해를 줄임으로써 비평화 또는 반평 화의 사회적 구조를 해체하는 데에 기여한다. 그런데 이번 사건은 난민수용성과 관련해서 국제이해가 충분조건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예멘 난민신청 관련 담론에 나타나는 사회적 갈등은 이 슬람에 대한 이해가 증진된다고 해결될 것은 아니다. 불편하고 낯선 이방인을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바라보고 그들의 삶에 대해 공감하는 역량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제이해교육을 통해 단순히 문화 다양성을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공감 역량의 증진을 위한 프 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단일함을 강조하는 한국사회의 문화가 다름을 수용하는 대중의 태 도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난민과 관련된 담론은 국제이해교육의 중요성과 더불어 한국사회에 대한 비판적 성 찰의 중요성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난민의 인도적 상황의 개선을 위 한 규범적 설명은 당위로서 수용되지만, 난민수용으로 인해 발생하 는 현실적 문제들에 대중들이 대응하는 방식에는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예멘 난민신청자에게 인도적 체류를 허가한 이후 난민담론의 변화에 대한 후속연구는 난민과 관련된 국제이해교육의 방향을 모색 하는 데에 보완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구기연(2019). 난민 이슈가 보여준 우리의 민낯: 한국의 이슬람 혐오와 난민 문제. 창작과비평, 46(3) 통권제181호, 401-412.

김대근(2019). 출입국항 난민지위신청 절차의 법해석적 지평과 대안. 고려법

Gianfreda, Stella(2018). Politicization of the Refugee Crisis? A Content Analysis of Parliamentary Debates in Italy, the UK, and the EU. Italian Political Science Review, 48(1), 85-108.

Haddad, Emma(2008). The Refugee in International Society: Between Sovereign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Helton, Arthur(2002). The Price of Indifference: Refugees and Humanitarian Action in the New Centur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Krzyżanowski, Michał, Anna Triandafyllidou, and Ruth Wodak(2018). The Mediatization and the Politicization of the “Refugee Crisis” in Europe. Journal of Immigrant & Refugee Studies, 16(1-2), 1-14.

Shapiro, Ian(2003). The State of Democratic Theory.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UNHCR(2011). Handbook and Guidelines on Procedures and Criteria for Determining Refugee Status. Geneva, Switzerland: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Abstract

Yemenis’ Asylum Application in Jeju and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