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빛

문서에서 공간의 공간의 (페이지 62-95)

하나의 공간에서 빛은 물리적 요소로서 개구부와 관계하고, 인공적인 조명에 영향 을 받는다. 자연광에 의한 밝음과 어두움, 빛과 그림자에 의한 강한 영역을 형성하 면서 장소성을 유발하여 공간을 한정한다. 태양이 높이 떠 있을 때, 직사광선의 효 과를 지니며 일부 영역을 강조하고 또한 후퇴시켜서 경 계를 모호하게 한다. 시간에 따른 자연광의 변화는 영 역의 한정을 변형하여 모호한 경계의 성격을 가진다.

또한 빛은 색채의 전달 수단이다. 색채는 공간의 성격 을 상징하며 시간과 장소의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 또한 우리의 지각 체계, 습관, 기호와도 관계하며 공간의 영역을 한정한다.

( 다) 깊이

지표면은 동일하지만 높이나 깊이가 다른 공간은 사람에게 전혀 다른 효과를 준 다. 이것은 이미 물리적 요소에 의해서 경계 지어진 공간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직 접적인 인간의 행위나 신체의 움직임과는 관련이 없으나 시·지각적 인지를 통해 정 신적인 면에서 상호작용을 갖게 한다. 이것 공간의 높이나 깊이에 따라 인간에게 심리적으로 다양한 체험을 준다.

공간의 높이나 깊이의 차이에 따라 영역의 성격을 한정하며 다른 공간과 구분된 다. 높이나 깊이는 하나의 경계가 된다. 또한 그것들의 연속으로 전체를 이루어 방 향성이나 중심성 등의 암시를 한다.

이러한 높이와 깊이가 공간의 의미와 용도와 관련하여 모호한 경계 구성자로서 [그림 38] 조명의 배열에 의한 공

간의 분리

작용한다면 공간의 높이와 깊이를 한정하는 경계가 움직이게 된다. 예를 들어 사방이 거울 면으로 된 공간에서 우리는 공 간의 깊이를 한정할 수 없는 무한한 깊이감에 빠지게 된다.

바닥이 수면일 경우 바닥은 수면 위로 비치는 천장의 높이에 따라 모호한 경계 구성자로 작용하며 인간에게 무한감과 같 은 심적 영향을 준다.

또한 깊이감을 느끼는 것은 빛이 있어 인지 할 수 있는 배 경면과 그 사이에 놓여져 있는 오브제를 통해서 가능하다. 면 과 면의 중첩일 경우 면과 면 사이의 전후를 인식하고 그 사 이에 일정한 거리가 있음을 인지하면서 깊이감을 생성하게 된다.

(라) 거리

공간을 지각 가능한 여러 가지 지점 사이들과의 관계의 총합으로 본다면 공간을 한정하는 경계의 거리가 멀고 좁은 것에 따라 공간 체험은 달라진다. 만약 거리가 너무 크면 어떠한 지각 가능한 공간도 없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를 공허라고 할 수 있다. 즉 지각 가능한 위치의 부재로서 공허를 정의할 수 있다. 반대로 지각할 수 없을 정도로 거리가 좁혀진다면 조밀함이 공간을 대신한다. 여기에서 공간의 밀도 개념을 도입할 수 있다. 조밀함과 공허함 사이의 공간의 상태는 새로운 공간 창조 를 위한 자생적 힘을 가지며 모호한 경계로 구분된다.

[그림 39] 음영에 의한 공 간의 깊이감

심리적 심리적 심리적 심리적 경계요소 경계요소 경계요소

경계요소 특 특 특 특 성성성성

소 소 소 소 리리리리

소음에 대한 개방정도는 심리적 경계를 형성한다. 건축물이 도로변이나 다운타운의 복잡한 거리에 위치한다면 심적 경계가 더욱 강화되고, 폐쇄적인 공간이 된다. 그러나 같은 레벨의 소리라도 자연물에 의한 상쾌한 것이라면 반대로 경계는 완화되고 공간의 모습은 개방된다.

빛빛빛 빛

물리적 요소로서의 개구부와 관련을 갖는 것으로서 그것에 의해 빛의 질과 양이 조절되기 때문이다. 자연광에 의한 밝음과 어두움, 빛과 그림자에 의해서 강한 영역을 형성하게 되고 장소감을 유발하며, 공간의 성격을 결정한다.

깊 깊 깊 깊 이이이이

이것은 이미 물리적 요소에 의해서 경계 지어진 공간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직접적 인 인간의 행위나 신체의 움직임과는 관련이 없으나 시·지각적 인지를 통해 정신적인 면에 서 상호작용을 갖게 하며, 심적으로 체험되게 한다.

거 거 거 거 리리리리

개인이 각자 가지고 있는 자신을 둘러싼 비가시적 경계로서 사람들은 대인간의 관계에서 이 거리의 정도를 조절한다. 프라이버시가 확보되지 않은 공공영역에서는 이 개인경계가 더 강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상호작용을 위한 건축적 경계형성에 있어 이 개인이 가지는 경계와의 관계가 먼저 고려되어야 한다.

[표 5] 심리적 경계요소에 따른 특성

3-4.

3-4.

3-4.

3-4. 경계의 경계의 모호성 경계의 경계의 모호성 모호성 모호성

근대 건축에서는 ‘명확하면서 애매함이 없는 위대한 단순형태60)’에 관하여 언급하 고 있다. 그러나 현대로 오면서 건축가들은 하나의 전체 속에서 보다 풍부한 복합성 을 만들어 내고 있다. 공간 내에 혼돈과 복잡성의 도입은 우현과 모순에 의해 부분 과 전체가 복잡하게 얽힌다. 이로써 대상의 의미가 다변적, 다의적 성격을 지니며 내용을 구현하기보다는 희미한 암시만이 존재라는 개괄되고 증식되는 구조를 이룬

60) Le corbusier, 새로운 건축을 향하여Towards a new Architecture, 1927, 장성주 역, 태림문화사, 1999, p.37

다.

따라서 의미의 복합성에 따라 고정적이 아닌 관계에 의해 모호한 것이 도입된다.

예를 들면, 내부 공간이 의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매우 애매 한 말이다. 지붕이나 벽에 의해 경계 지어진 공간 안을 내부 공간이라고 한다면 테 라스와 같인 내·외부 중간 영역이라 할 수 있는 것은 모호성을 가지게 된다.

모호성은 공간의 새로운 개념을 발생시키는 현상으로 경계 역시 비결정적인 모호 한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어느 쪽도 받아들일 수 있다는 모호함이 존재한다. 소위

‘어느 쪽도 아닌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경계와 영역의 관계에 있어 모호성 이 등장한다. 어느 영역에도 속하지 않는 중립적이고 매개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하나의 구조와 다른 구조가 상호교차란 곳이 발생하는데, 여기서도 경계의 모호성을 발견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로, A라는 세계와 B라는 세계가 떨어져 있으며 그 사 이에 공간적인 틈새를 볼 수 있다. 모호성을 가진 공통의 경계로서 틈새는 공간의 전이성, 중간 영역성, 매개적 성격을 가지며 중성적인 공간 성격으로 발전된다.

공간의 성격이 명확해지고 하나의 성격을 갖게 되면 공간의 hierarchy가 발생한 다. 이에 우위의 공간은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경계를 필요로 한다. 여기서는 두 가 지 경우가 발생하는데, 하나는 명확한 경계에 의해 구분된 우위의 공간과 열위의 공 간이다. 또 다른 하나는 우위의 공간을 성립시키기 위래서 열위의 공간이 필요한 경 우가 있다. 이 때 모호한 경계는 영역을 가진 적극성을 가진다. 이것은 하나의 공간 이 규정된 고유한 의미에서 확장되어 다른 공간으로 변질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공간으로 새로운 질서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위계를 가지는 대상 사이의 상호침투성과 비고정적인 형태에 의해 경계 의 모호성은 표현된다. 이는 서로를 통하여 자신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며 스스로 활 동하며 새로운 영역을 형성한다. 경계의 구조는 그들 상호간의 관계성을 표현해 나 가는 것이다. 앞서 말한 우열의 관계성에서 이접된 공간 관계까지 명확한 경계 구조 와 모호한 경계는 조합하고 복잡한 상황에 대응하며 발전된 형태로 나아간다.

경계의 모호성은 형성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현대의 분열과 다원적 양상 속에서 또 다른 변화의 가능성과 함께 새로운 질서 출현을 위한 창조적 움직임을 유발하는 현상이다. 여기서 분절된 공간은 모호해지며 본질적으로 전혀 다른 속성을 지닌 두 개의 영역은 경계의 모호한 연장선상에 위치한다.

현대에 이르러서 경계를 물리적으로 명확하게 하는 것의 의미가 의문시 되고 있다.

현대 사회의 불안정적인 관계성을 반영하므로 많은 경우 경계가 암시적으로 나타난 다. 공간을 이루는 표피는 전통적인 경계의 영역을 해체하고 확장하여 그 위에서 행 위와 사건이 일어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내부와 외부 그리고 그 사이의 경계 로서 외피의 개념이 아니라, skin과 같이 내부와 외부를 소통하게 하는 경계의 새로 운 가능성을 찾는 것이다.

모호한 경계는 사물의 정체성을 불확정하게 만들고, 사용자가 그것을 해석하게 만 들어 관습적 인식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다. 특히 건축 공간에서의 명확한 경계에서 모호한 경계로의 이행은 의미의 명료함보다는 의미의 풍성함에 초점 을 두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밖에 나타나 있는 기 능보다 내면에 숨어있는 기능이다. 가지 있는 건축 은 여러 가지 차원의 의미와 시점의 해석을 요구한 다.61)

따라서 경계의 모호성은 무한히 해석 가능한 자율 성을 담고 있으며 공간을 새롭게 생성하는데 의의가 있다.62)

61) Rovert Venturi, 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 임창복 역, 기문당, 1995, p.31 62) 김진영, Op. cit., pp.23~26

[그림 40] 내부 속의 공간들과 이를 연결하는 중성적 구성 인자들의 위치 에 의해 다양한 각도의 천정이 존재 하게 된다.

제 제

제 제 4 4 4 4 장 장 장 장 경계에 경계에

경계에 경계에 나타난 나타난 나타난 나타난 인터랙션 인터랙션 인터랙션 인터랙션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4-1. 인터랙션 디자인 4-1-1. 인터랙션의 개념 4-1-2. 인터페이스와 인터랙션 4-1-3. 인터랙션 디자인의 개념 4-2. 공간과 인터랙션 디자인 4-2-1. 표출적 인터랙션 4-2-2. 잠재적 인터랙션

4-3. 공간 구성요소로써 경계와 인터랙션 디자인

문서에서 공간의 공간의 (페이지 62-9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