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존 연수 프로그램 분석5.2.3

문서에서 2020 융합교육 정책 연구 (페이지 44-48)

분류 연수명 수행년도

A 교실 속 STEAM 교육 입문 과정 (초등학교) 2021 B 교실 속 STEAM 교육 입문 과정 (중학교) 2021 C 수업 개선을 위한 STEAM 입문 과정

(고등학교) 2021

D STEAM 교원 연수 (기초) 2019 E STEAM 교원 연수 (심화) 2019 F 2021 겨울 STEAM 교육 연수 2021 G 수업에서 만나는 인공지능 교육 연수 2021 H 거꾸로 하는 문제중심학습(FPBL)

창의교육 실천역량 강화 2021

No 주제명 STEAM 정보 창의인성 시수

A(초) B(중) C(고) D E F G H 초 중 고 ALL

1 융합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이해 0.5 0.5 0.5 V V 0.5 0.5 0.5

2 융합교육과 융합교육과정 이해 2 2 2 V V 2 2 2 2 2

3 융합교육과 교원 역량 이해 1 1

17 학급, 학습자 관리 도구의 활용(google, class class 123, 아이엠스

쿨, Peer Desk, 키훗, Mentineter) 0.5 2 0.5 2

18 온라인 평가도구 활용(groom, 비버 챌린지 등) 0.5 0.5

19 교육 콘텐츠 구성을 위한 도구 활용(문서도구, 스프레드 시트, 미디어

이미지/동영상/동영상편집기 등) 0.5 V 0.5

20 공동 작업(협력, 공유, 관리 등)을 위한 도구 활용(dropbox, googld

drive, google 문서, google spreadsheet 등) 0.5 0.5

21 디지털 콘텐츠의 이해(멀티미디어, 디지털 교과서, 실감형 콘텐츠 등) 0.5 V 0.5

22 저작권과 자유이용 라이선스의 이해 23 공학 도구의 이해(지오지브라, 알지오매스) 24 실감형 교구의 활용(cospeaces Edu 등)

25 블록기반 프로그래밍 언어 이해(스크래치 등) 4 4

26 인공지능 프로그래밍(티처블머신, 머신러닝, 포키즈 등) 4 4

27 피지컬 컴퓨팅 구현 (블록 기반 프로그래밍)(메이키메이키, 마이크로비 트 등)

28 피지컬 컴퓨팅 구현 (텍스트 기반 프로그래밍) (아두이노, 릴리패드 아 두이노 등)

ㅊ ㅊ ㅊ

세미나/특강 대체로 가능

대체 가능 연수 有

모듈의 구성 – 예시 1. 주제 중심 구성 모듈 5.3

수준 역량 교육과정(A) 교수학습(B) 평가(C)

지식연결(A1) 맥락적 재구성(A2) 실천적 시나리오(B1) ICT 융합(B2) 융합 콘텐츠(B3) 교구 활용(B4) 학습평가(C1) 수업평가(C2)

(기초접근 생략)주제

9 [A-접근9] 교과교육과정 분석과 범 교과 주제의 연결 방법

[B1-접근9] 교수학습방법의 이해(프로젝트학습, PBL, 협력학습 등)

[B2-접근9] 수업 진행을 위한 수업 도구의 이해

원노트,zoom, 행아웃등

[B3-접근9] 디지털 콘텐츠의 이해멀티미디어, 디지털교과서, 실감형 콘텐츠 등

[B4-접근9] 공학 도구의 이해

지오지브라, 알지오매스 [C-1접근9] 과정중심평가의 이해

10 [AB1-접근10] 수업의본질적 질문 구성 방법 이해

[B2-접근10] 학급, 학습자 관리 도구의 활용google class, class 123, 아이엠스쿨, Pear Deck, 카훗,Mentimeter

[B4-접근10] 실감형 교구의 활용 cospacesEdu 등 11 [A1-접근11] 지식의

연결맵구성 [B1-접근11] 프로젝트

중심학습과 문제중심학습 [B2-접근11] 온라인 평가 도구

활용 groom, 비버 챌린지등 [B3-접근11] 저작권과 자유이용 라이선스의 이해

[B4-접근11] 블록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 이해, 스크래치

[C1-접근11]루브릭의이해

12 [AB1-접근12] 주제 중심 교육과정 구성 방법 [B2B3-접근12] 교육콘텐츠구성을 위한 도구 활용. 문서도구, 스프레드시트, 미디어(이미지/동영상/동영상)편집기 등

[B4-접근12]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티처블머신, 머신러닝포키즈등

13 [B2B3-접근13] 공동 작업(협력,공유,관리 등)을 위한 도구 활용

dropbox, google drive, google 문서, google spreadsheet 등

[B4-접근13] 피지컬 컴퓨팅 구현 (블록 기반 프로그래밍) 메이키메이키, 마이크로비트등

14 [B4-접근14] 피지컬 컴퓨팅

구현 (텍스트 기반 프로그래밍) 아두이노, 릴리패드아두이노등 15 [A2BC-접근15] 수업 설계의 구성요소(백워드설계를 중심으로 – 목표에서 평가까지) 이해

설계

1 [A-설계1] 2개 이상 교과의 주제 간 연결 [C1-설계1 ○] 단계별

루브릭구성 전략 2 [AB1-설계2] 문제 중심의 주제 연결

3 [A2-설계3] 주제별 교육과정

구성 [C1-설계3] 협력학습의 평가

구성 [C2-설계3] 동료 평가방법

구성

4 [B1-설계4] 문제중심 교수학습

설계

5 [B1-설계5] 프로젝트 중심

교수학습 설계 협력학습의 활용 6 [ABC1-설계6 ●] 융합 주제를 활용한 수업의 구성

7 [ABC1-설계7 ●] 융합 주제에 대한 수업 운영 및 평가 8 [ABC-설계8 ●] 융합 주제에 대한 수업의 구성 사례 이해 9 [ABC-설계9 ●] 교육과정 프로토타입 설계 (교육지도안 구성) 1 [AB1C-실천1 ●] 교육과정 커스터마이징 (사례중심의 재구성)

수준 역량

교육과정(A) 교수학습(B) 평가(C)

지식연결(A1) 맥락적 재구성(A2) 실천적 시나리오(B1) ICT 융합(B2) 융합 콘텐츠(B3) 교구 활용(B4) 학습평가(C1) 수업평가(C2)

(기초접근 생략)주제

9 [A-접근9] 교과교육과정 분석과 범교과 주제의 연결 방법

[B1-접근9] 교수학습방법의 이해(프로젝트학습, PBL, 협력학습 등)

[B2-접근9] 수업 진행을 위한 수업 도구의 이해

원노트,zoom, 행아웃등

[B3-접근9] 디지털 콘텐츠의 이해 멀티미디어, 디지털교과서, 실감형 콘텐츠 등

[B4-접근9] 공학 도구의 이해

지오지브라, 알지오매스 [C-1접근9] 과정중심평가의 이해

10 [AB1-접근10] 수업의 본질적 질문 구성 방법 이해

[B2-접근10] 학급, 학습자 관리 도구의 활용google class, class 123, 아이엠스쿨, Pear Deck, 카훗,Mentimeter

[B4-접근10] 실감형 교구의 활용 cospacesEdu 등 11 [A1-접근11] 지식의

연결맵구성 [B1-접근11] 프로젝트

중심학습과 문제중심학습 [B2-접근11] 온라인 평가 도구

활용 groom, 비버 챌린지등 [B3-접근11] 저작권과 자유이용 라이선스의 이해

[B4-접근11] 블록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 이해,

스크래치 등 [C1-접근11] 루브릭의이해

12 [AB1-접근12] 주제 중심 교육과정 구성 방법 [B2B3-접근12] 교육콘텐츠구성을 위한 도구 활용. 문서도구, 스프레드시트, 미디어(이미지/동영상/동영상)편집기 등

[B4-접근12]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티처블머신, 머신러닝포키즈등

13 [B2B3-접근13] 공동 작업(협력,공유,관리 등)을 위한 도구 활용

dropbox, google drive, google 문서, google spreadsheet

[B4-접근13] 피지컬 컴퓨팅 구현 (블록 기반 프로그래밍) 메이키메이키, 마이크로비트등

14 [B4-접근14] 피지컬 컴퓨팅

구현 (텍스트 기반 프로그래밍) 아두이노, 릴리패드아두이노등 15 [A2BC-접근15] 수업 설계의 구성요소(백워드설계를 중심으로 – 목표에서 평가까지) 이해

설계

1 [A-설계1] 2개 이상 교과의 주제 간 연결 [C1-설계1 ○] 단계별

루브릭구성 전략 2 [AB1-설계2] 문제 중심의 주제 연결

3 [A2-설계3] 주제별 교육과정

구성 [C1-설계3] 협력학습의 평가

구성 [C2-설계3] 동료 평가방법

구성

4 [B1-설계4] 문제중심 교수학습

설계

5 [B1-설계5] 프로젝트중심교수학습설계

협력학습의활용 6 [ABC1-설계6 ●] 융합 주제를 활용한 수업의 구성

7 [ABC1-설계7 ●] 융합 주제에 대한 수업 운영 및 평가

모듈의 구성 – 예시 2. 교육과정에 대한 융합역량 모듈

5.3

활용 방안

 교원의 역량이나 수준에 근거한 모듈 선택의 방향성 제공

→ 모듈 구성에 대한 주제별 연수 시간에 대한 구체화, 유연한 시간의 구성

 교원 스스로 융합교육에 대한 역량을 진단할 수 있는 지수 개발

→ 스스로의 역량에 대한 메타인지 강화에 기반한 연수 선택권 보장

 융합교육에 대한 정의에 기반한 주제 구성

→ 융합교육과 통합 및 조합에 대한 차이에 근거한 연수 진행

6

문서에서 2020 융합교육 정책 연구 (페이지 44-4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