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술적 범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5-79)

3.4 시뮬레이션 적용 범위

3.4.3 기술적 범위

다만 자율운항선박의 기술발달 수준은 시간에 따라 발전 정도가 달라지므로 아래와 같이 가정하였다.

Ÿ 초기 발전형(로그함수) 시나리오

MASS 개발이 기술 도입 초기에 강하게 상승하는 것을 가정 Ÿ 기간 비례형(비례 함수) 시나리오

MASS 개발이 연도별로 균등하게 상승하는 것을 가정 Ÿ 중반기 발전형(로지스틱 함수) 시나리오

MASS 개발이 초기, 후반보다 중반기에 기술 변화가 더 많이 상 승하는 것을 가정

Ÿ 후반기 발전형(로지스틱 함수) 시나리오

MASS 개발이 초기, 중반기보다 후반에 기술 변화가 더 많이 상 승하는 것을 가정

아래 그림 18, 19, 20 및 21은 자율운항선박의 기술발전을 4개의 다른 형태로 발전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림의 범례로 x축은 본 연구의 모델 기초 변수인 2018년부터 2035년 사이의 자율운항선박의 도입 기간을, y축은 자율운항선박의 도입 기술 수준을 표시하였다.

초기 발전형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2,032 2,033 2,034 0

1 2 3 4

Non-commercial use only!

Fig. 18 초기 발전형 시나리오

기간 비례형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2,032 2,033 2,034 0

1 2 3 4

Non-commercial use only!

Fig. 19 기간 비례형 시나리오

중반기 발전형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2,032 2,033 2,034 0

1 2 3 4

Non-commercial use only!

Fig. 20 중반기 발전형 시나리오

후반기 발전형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2,032 2,033 2,034 0

1 2 3 4

Non-commercial use only!

Fig. 21 후반기 발전형 시나리오

(3) 해기사 및 부원

한국선원고용복지센터(2018)에 따르면 현재 한국 선원 취업의 규모는 약 3.6 만명(전체 취업선원의 약 60%) 수준이며, 매년 감소하고 있다. 2013년 38,787명, 2014년은 37,125명, 2015년은 36,796명, 2016년은 35,685명이다. 아래 표 11과 같 이 동 연구에서 선원이란 국적선과 해외취업선에 종사 중인 해기사와 부원을 말하며, 상선(외항, 내항)과 어선(원양, 연근해)를 포함하는 한국인 승선원과 예 비원을 말한다. 본 연구의 Stock flow 다이어그램의 해기사와 부원에 대한 상수 는 실제 값을 사용하였으며 2017년 말 기준으로 해기사 21,777명(승선원과 예비 원)과 부원 13,319명(승선원과 예비원)을 입력하였다.

구 분

업 종

합 계

승 선 원 예 비 원

해기사 부원 해기사 부원 합 계 35,096 33,841 20,768 13,073 1,255 1,009 246

31,868 30,616 17,867 12,749 1,252 1,007 245

소 계 16,442 15,190 12,121 3,069 1,252 1,007 245 외 항 8,409 7,251 6,102 1,149 1,158 937 221 내 항 8,033 7,939 6,019 1,920 94 70 24

소 계 15,426 15,426 5,746 9,680 - - - 원 양 1,406 1,406 1,179 227 - - - 연 근 해 14,020 14,020 4,567 9,453 - - -

3,228 3,225 2,901 324 3 2 1 상 선 2,832 2,829 2,625 204 3 2 1 어 선 396 396 276 120 - -

Table 11 한국선원 취업 현황

자료: 한국선원고용복지센터(2018), 2018년도 한국선원통계연보

아래 그림 22와 같이 자율운항선박의 기술 수준이 완전한 인적 요인의 개입

없는 무인의 자율화 선박이 운용되면 선원의 선박 승선은 필요치 않게 된다.

따라서 인과지도와 Stock flow 다이어그램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선복량이 증가 함에 따라 선원의 일자리 수도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4개의 각기 다른 시나리 오로 분석하였다. 일부의 해기사와 부원은 자율운항선박 관련 산업으로 신규 진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 본 연구의 인과지도에는 반영하였지만 정량적 수 치 예측이 어려움으로 본 연구의 Stock flow 다이어그램에는 포함 하지 않았다.

Fig. 22 자율운항선박의 자율수준과 선원 감소 자료: Rolls-Royce(2016), 재인용 윤익로(2017), 자율운항선박의 미래

또한 현재 선원의 연령분포에 따르는 자연적 은퇴시기와 주요 상선의 선령분 포에 따른 선박 교체 수요 발생, 선원과 관련된 선원을 위한 각종 제품(선용품, 인적안전설비 등)의 생산에 관련된 분야 산업까지는 인과지도와 Stock flow 다 이어그램에 반영하지 못하였다. 선원 취업 일자리 수의 감소는 선원의 교육훈 련을 담당하는 교육기관의 인력 감소로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2035년까지는 그 영향의 정도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어 Stock flow 다이어그램에는 반영 하지 않았다. 하지만 자율운항선박에 따른 전문 교육 교원이 새로이 발생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선원에 한정하여 모델링을 하였다.

(4) 자율운항선박 관련 해양산업 신규 일자리

본 연구에서는 MASS의 기술발전에 의한 선원 일자리 수와 해양산업의 신규 일자리 창출의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중점을 두고 시뮬레이션을 수행 하였다. 해양산업은 40여개의 해운․항만․선박관리․선박매매분야, 조선․해양분야, 선박기자재분야, 수산분야 및 그 부대업을 아우르는 산업이며 50만명을 고용하 는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산업이다(전영우 외, 2014). 해양산업은 다양한 직종 의 고용을 창출하는 전천후 고용창출산업이며 직접고용 뿐만 아니라 해양 연관 산업의 간접 고용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구분 해운․항만 부대사업 조선 합계

매출액(조원) 65 80 145

종사자수(만명) 28 22 50

Table 12 해양산업의 규모 및 일자리 창출 규모

자료: 한국선주협회(2013), Vision 2020.

최근 윤익로 외(2018)의 연구에 따르면 자율운항선박과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를 분석하였고 그 중 여러 산업 중에 10대 해양수산업의 정의와 효과를 정량적 으로 분석하였다. 동 연구에서는 10,000TEU 컨테이너선박의 자율운항선박을 건 조하였을 경우 3,600억원의 비용이 발생한다고 분석하였다. 현재의 산업 구조13) 에서 자율운항선박 1척을 신조하였을 때 총 생산유발효과는 약 9,985억원, 총 부가가치 유발효과 약 2,471억원, 총 고용유발효과는 약 6,836명으로 분석되었 다. 이 중 10대 해양수산업에 미치는 효과로서 생산유발효과는 약 4,317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약 807억원, 고용유발효과는 919명으로 조사되었고 아래 표 13과 같다. 자율운항선박의 상용화에 의한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의 대부분은 조선업에 집중된 반면 해운항만물류 분야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13) 국민경제파급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구분(대분류)을 총 40여개로 하고 그 중 10대 해양수산 업으로 구분하였으며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2017) 참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 연관 산업을 선행연구에서 연구된 10대 해양수산업에 한정하고자 한다. 인과지도에는 10대 해양수산업과 자율운항선박 과의 인과관계를 구분하였고, Stock flow 다이어그램에서는 취업유발효과가 미 미한 해양건설업, 해양수산서비스업, 해양수산공공활동, 해양레저관광업 및 해 양환경업은 제외한 5개의 해양수산업에 대해 모델링하였다.

구분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10대 해양 수산업

수산업 12.9 4.0 10

해양자원개발업 146.2 65.3 38

해양건설업 - -

-해양수산서비스업 12.8 5.5 2

해양수산공공활동 0.6 0.4 0

해양레저관광업 12.5 5.1 3

해양환경업 1.5 0.7 0

조선업 3,600.4 586.7 806

조선기자재 498.7 134.3 53

해운항만물류 31.8 5.3 7

합계 4,317 807 919

Table 13 자율운항선박 관련 10대 해양수산업 파급 효과

(단위: 억원, 명)

자료: 윤익로 외(2018), 자율운항선박 기술영향평가

구분 신규 일자리 예시

조선기자재

Ÿ 자동(또는 원격) 유지보수 기기⚫ 장비 제조 및 서비스 Ÿ 자동(또는 원격) 예선, 도선 및 접안과 이안 기기 제조, 서비스 Ÿ 무인 환경에서의 화물 보안 장비, 솔루션 제조 및 서비스 Ÿ 무인 환경에서의 최적 화물 관리 장비 솔루션 제조 및 서비스 Table 14 자율운항선박 관련 10대 해양수산업 중 신규 일자리 예시

자료: 윤익로 외(2018), 자율운항선박 기술영향평가, 저자 편집

(5) 육상관제요원

선박에 승선하지 않고 육상에서 선박의 운항을 모니터링하고 원격조종하는 육상관제요원이라는 새로운 일자리가 필요할 것이며, 육상관제요원은 현재의 선원에게 요구되는 역할과 직무지식․기술과 다른 기술이 필요할 것이다. 지금까 지 육상관제요원, 육상선박운항관리자, 육상운항담당자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 리고 있으나 대부분은 선박에 승선하지 않고 통신을 통해 선박을 원격조종하는 담당자를 말한다. 육상관제요원이라는 일자리는 선박의 승선 경험과 해기능력 을 갖춘 선원일 가능성이 높으나(D’agostini et al., 2017) 그러한 일자리의 규 모가 현재 선원 일자리와 질적, 양적으로 동등할 것으로 기대되지 않는다(윤익 로 외, 2018). 기술이 발전하고 통신과 인공지능, 지능정보통신 등이 발전한다면 어려움 없이 소수의 육상관제요원은 다수의 선박을 담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육상관제요원이라 하면 선박에 승선하지 않고 육상에 서 선박의 운항을 감독하고 원격조종하는 담당자를 말하며, Stock flow 다이어 그램에서는 자율운항선박 1척당 3명이 3교대 근무와 0.5명의 예비원이 배치되

Ÿ 선박과 선박(ship to ship) 전기 충전용 기기 및 장비 Ÿ 자율운항선박용 기기 및 장비의 실증과 인증 컨설팅

해상항만운송

Ÿ 자율운항선박을 활용한 중소 화주 맞춤형 비즈니스 Ÿ 자율운항선박을 활용한 공유경제 비즈니스

Ÿ Ship to ship 등 운송수단간 화물 자동 환적 및 연계 솔루션

해상항만물류

Ÿ 해운전문 사이버 보안 기술 및 컨설팅

Ÿ 자율운항선박을 위한 항만 전체 과정에서의 통합플랫폼 및 서비스 제공 기업

Ÿ 항만 하역 등 자동화 장비 원격 조작, 시스템 운영관리 서비스 제공 기업

Ÿ 신규 통신서비스 제공 기업

Ÿ 기타 정부, 국제기구 등의 새로운 규제로 인해 새롭게 등장하는 기업 등

는 것으로 모델링 하였다. 관련 직무에 대한 전문교육을 이수 후 육상관제요원 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전문교육 이수율 90%로 한정하여 가정하였다.

(6) MASS 교원

신규 일자리로 창출되는 육상관제요원을 교육하는 MASS 교원은 피교육생(육 상관제요원) 10명 당 1명의 교원이 필요할 것으로 모델링하였다. MASS 교원은 육상관제요원이 소요되는 시점 이전에 양성될 수 있도록 시간 조정하였고 결과 적으로 본 연구에서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변수의 정의와 범위는 아래와 표 15와 같다.

변수 정의 및 시뮬레이션 범위

시나리오 4개의 유형

- 초기발전형, 중반기 발전형, 후반기 발전형, 기간비례형 시뮬레이션 설정 기간 2018년부터 2035년

MASS 기술발전수준 4단계(IMO 자율도를 기준으로 함)

연간 MASS 선복 증가량 시나리오 1,2,3 및 4에 따라 선박이 건조, 최대 연간 10척 건조됨을 가정함

척당 취업유발효과

자율운항선박 1척당 919명 신규 일자리 창출

- 조선업(806명), 조선기자재업(53명), 해운항만물류업(7명), 수산업(10명), 해운자원개발업(38명)

선원

2018년 한국 선원 취업 현황(실제값) - 해기사(21,777명), 부원(13,319명)

국적선과 해외취업선(외항, 내항, 상선, 어선 포함)

육상관제요원 자율운항선박 1척당 3.5명이 필요, 전문교육 이수율은 90%로 가정함

MASS 교원 피교육생(육상관제요원) 10명 당 1명의 교원 배치 연간 선원 일자리 감소 매년 선원의 일자리 감소(2018-2035)

누적 선원 일자리 감소 누적되는 선원의 일자리 감소치(2018-2035)

MASS 연관 산업 총 고용 인력

매년 MASS 연관 산업 총 고용 인력(2018-2035)

- 조선업+조선기자재업+해운항만물류업+수산업+해양자원개 발업+육상관제요원+MASS 교원

MASS 연관 산업 총

고용 인력 누적 MASS 연관 산업 총 고용 인력들의 연간 누적치(2018-2035) MASS 도입에 의한 연간

순수 고용 인력 MASS 연관 산업 총 고용 인력 - 연간 선원 일자리 감소 MASS 도입에 의한 연간

순수 고용 인력 누적치 MASS 연관 산업 순수 고용 인력의 매년 누적치(2018-2035) Table 15 적용된 변수들의 정의 및 범위

(1) 육상관제요원의 MASS 전문교육 이수율 0.9

(2) MASS 교원 소요량 CEIL(RUNMAX('MASS 교육 대상 육상관제요원 인력 규모') / 'MASS 교원 인당 교육 인원수')

(3) MASS 교원 인당 교육 인원수 10

(4) MASS 교육 대상 육상관제요원 인력 규모'육상관제요원 소요량' / '육상관제요원 MASS 전문교육 이수율'

(5) MASS 기술수준 변화 시나리오_초기 발전형 1 (6) MASS 기술수준 변화 시나리오_기간 비례형 1 (7) MASS 기술수준 변화 시나리오_중반기 발전형 1 (8) MASS 기술수준 변화 시나리오_후반기 발전형 1

(9) MASS 기술수준 시나리오 적용 IF( 'MASS 적용 시나리오 선택'=0, 'MASS 기술수 준 변화 시나리오_S1', IF( 'MASS 적용 시나리오 선택'=1, 'MASS 기술수준 변화 시나리오_S2','MASS 기술수준 변화 시나리오_S3', 'MASS 기술수준 변화 시나리오 _S4'))

(10) MASS 도입에 의한 연간 순수 고용 인력 ABS('MASS 연관 산업 총 고용인 력' - '연간 선원 일자리 감소')

(11) MASS 연관 산업 총 고용 인력 'MASS 교원' + '육상관제요원’ + '기간별 MASS 관련 산업 고용효과'

(12) MASS 선박 대당 SCO인원 3+0.5 (13) MASS 선박 선령 40

(14) MASS 선복 감소량 0*'MASS 선복량'/'MASS 선박 선령'

(15) MASS 선복 증가량 GRAPH ( 'MASS 기술수준 시나리오 적용 '[INDEX(INTEGER(NUMBER(TIME)))], 0, 0.4,{0,0,0,0.9,2.55,4.5,6.46,7.95,9.15,9.5,9.65//Min:-1;Max:11//})

Table 16 시뮬레이션에 적용된 수식의 정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5-7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