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상인자의 단순상관분석

문서에서 청정지역 대기질 특성의 평가 (페이지 63-66)

4.2 대기질 평가

4.2.3 기상인자의 단순상관분석

Table 14는 각 지역에 대해서 오염물질 농도와 기상인자간의 상관관계를 분 석한 결과를 나타냈다. 제주지역에서 가장 규모가 큰 도시지역에 위치한 이도동 에서 오염물질들간의 상관성을 보면 1차 오염물질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SO2, NO2, CO들 간에는 양의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나 2차 오염물질인 O3와 이들 1차 오염물질간에는 상관성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오염물질 농도와 기상인자 사이의 상관성을 보면, SO2와 NO2는 기온과 상대습도에 대하여 음의 상관성을 보이고, 일사량과는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O3는 일사량과는 양의 상관 성을 보이고 습도와는 음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그렇지만 CO는 기상인자들과는 상관관계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동홍동을 보면 O3와 NO2 사이에서는 상관성을 보이나 1차 오염물질들과 관련 이 있는 SO2, NO2, CO들 사이에서는 상관성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오염물질과

기상인자 사이에서는 O3, SO2 및 NO2는 상대습도와 음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나 CO는 이도동과 마찬가지로 기상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동 홍동에서 일사 관측결과가 없어 직접 파악할 수 는 없지만 O3와의 상관성은 비 교적 큰 것으로 예상된다.

고산리 해안변 지역에서의 상관성 분석의 결과를 보면, 도시지역과 다소 다른 특징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즉, CO가 O3, SO2 및 NO2 등 모든 대기오염물질과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지만 SO2를 제외한 CO, NO2, O3 모두 습도와의 상관성을 거의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제주도의 서쪽 끝 해안가의 절벽위에 위치한 고 산리 측정소의 주변지역은 특징적인 오염원이 없을 뿐 아니라 평소 바람이 심한 지역으로서, CO, SO2, NO2가 아주 저 농도로 거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데 비해 O3은 비교적 높은 농도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고산리 지역의 대기 질은 국지배출원에 의해 지배되는 것은 아닐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앞에서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제주지역에서 도시지역이나 해안지역 모두 각 오염물질 및 기상인자들간의 상관성이 그다지 크지 않은데, 이는 제주지 역은 전반적으로 대기순환이 원활하기 때문에 국지 배출과 국지 배출에 따른 국 지지역의 광화학 반응의 결과가 아주 미미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도 시지역에서도 1차 오염물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SO2, NO2, CO의 농도가 낮은데 비해 2차 오염물지인 O3 농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음은 제주지역 의 도시 대기질도 대기교환에 따른 외부 공기의 유입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판단된다(장광미 등, 1996).

56

-Table 14.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oncentration of pollutant and meteorological parameter

Site O3 SO2 NO2 CO Temp. W.S Hum. Rad.

Ido O3 1

SO2 0.038 1

NO2 0.066 0.529 1

CO 0.172 0.245 0.305 1

Temp. 0.094 -0.337 -0.141 0.020 1

W.S 0.037 0.164 -0.019 -0.010 -0.292 1

Hum. -0.217 -0.446 -0.363 -0.084 0.359 -0.321 1

Rad. 0.323 -0.031 0.081 0.012 0.453 -0.151 -0.256 1 Dong

hong

O3 1

SO2 0.031 1

NO2 0.240 0.033 1

CO 0.173 0.170 0.072 1

Temp. -0.074 0.044 -0.179 -0.265 1

W.S -0.012 0.171 0.211 0.255 -0.128 1

Hum. -0.459 -0.238 -0.321 -0.172 0.443 -0.279 1 Gosan O3 1

SO2 0.146 1

NO2 0.174 0.343 1

CO 0.310 0.332 0.261 1

Temp. 0.278 -0.219 0.127 0.223 1

W.S 0.064 0.039 -0.252 -0.053 -0.160 1

Hum. -0.117 -0.288 0.039 0.119 0.471 -0.230 1

Rad. 0.398 -0.022 0.030 0.196 0.471 -0.148 -0.088 1

문서에서 청정지역 대기질 특성의 평가 (페이지 63-6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