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균형능력의 변화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7-51)

I. 서 론

2. 균형능력의 변화

1) 눈뜨고 두발로 지지하면서 선 동작(NSEO)에서 정적 균형능력의 변화

(1) 압력중심의 내-외(Med-Lat) 경로에 대한 동요 속도 변화

<표-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력중심의 내-외(Med-Lat) 경로에 대한 동요 속도 변화는 운동집단에서 운동 전 8.12 ± .54m/s, 운동 후 7.12 ± .42m/s 로 나타났고, 통제집단에서 사전7.23± .214m/s, 사후 7.55 ± .34m/s로 나 타났다. 측정시기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고(p<.001) 측정시기와 그룹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는 것으 로 나타 났으 며(p<.001), 그룹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11> NSEO 내-외 경로 변화에 대한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단위 :m/s) Group pre post F-valuesintwowayrepeatedANOVA

effect F p

EG 8.12± .54 7.12± .42 Time(A) 18.235 .001***

A×B 21.321 .001***

CG 7.23± .21 7.55± .34 Group(B) .234 .755

그림 10. NSEO Med-Lat의 변화

(2) 압력중심의 전-후(Ant-Post) 경로에 대한 동요 속도 변화

<표-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력중심의 전-후(Ant-Post) 경로에 대한 동 요 속도 변화는 운동집단에서 운동 전 9.21 ± .52m/s, 운동 후 8.22 ± .12m/s 로 나타났고, 통제집단에서 사전 9.22 ± .21m/s, 사후8.34 ± .51m/s로 나타 났다. 측정시기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p<.001) 측정시기와 그룹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그룹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표-12> NSEO 전-후 경로 변화에 대한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단위 : mm) Group pre post F-values in two way repeated ANOVA

effect F p

EG 9.21 ± .52 8.22 ± .12 Time(A) 20.221 .001***

A×B 19.854 .001***

CG 9.22 ± .21 8.34 ± .51

Group(B) 7.334 .211*

그림 11. NSEO Ant-Post의 변화

(3) 압력 중심의 움직임 영역(Velocity moment) 경로에 대한 동요 속도 변화

<표-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력중심의 움직인 영역(Velocity moment) 경로에 대한 동요 속도 변화는 운동집단에서 운동 전 20.22 ± 1.75m/s, 운동 후 17.21 ± 4.12m/s로 나타났고, 통제집단에서 사전 20.33 ± 1.12m/s, 사후 20.12 ± 1.89m/s로 나타났다. 측정시기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측정시기와 그룹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그룹에 따른 주 효과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표-13> NSEO 움직인 거리에 대한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단위 : mm) Group pre post F-values in two way repeated ANOVA

effect F p

EG 20.22 ± 1.75 17.21 ± 4.12 Time(A) 222.742 .001***

A×B 67.222 .001***

CG 20.33 ± 1.12 20.12 ± 1.89 Group(B) 6.221 .422*

그림 12. NSEO Velocity moment의 변화

2) 눈뜨고 우측 다리로 지지하면서 선 동작(OLREO)에서 정적 균형능력의 변화

(1) 압력중심의 좌-우(Med-Lat) 경로에 대한 동요 속도 변화

<표-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력중심의 좌-우(Med-Lat) 경로에 대한 동요 속도 변화는 운동집단에서 운동 전 27.21 ± 1.32m/s, 운동 후 25.11 ± 1.21m/s 로 나타났고, 통제집단에서 사전 28.84 ± 1.11m/s, 사후 27.41 ± 1.83m/s로 나타났다. 측정시기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고(p<.001) 측정시기와 그룹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그룹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표-14> OLREO 좌-우 경로 변화에 대한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단위 : mm)

Group pre post F-values in two way repeated ANOVA

effect F p

EG 27.21 ±

1.32 25.11 ± 1.21 Time(A) 90.214 .001***

A×B 25.754 .001***

CG 28.84 ±

1.11 27.41 ± 1.83 Group(B) 9.311 .013**

그림 13. OLREO Med-Lat의 변화

(2) 압력중심의 전-후(Ant-Post) 경로에 대한 동요 속도 변화

<표-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력중심의 전-후(Ant-Post) 경로에 대한 동요 속도 변화는 운동집단에서 운동 전 23.41 ± 2.23m/s, 운동 후 20.97 ± 4.41m/s 로 나타났고, 통제집단에서 사전 22.32 ± 1.67m/s, 사후 22.25 ± 2.94m/s로 나타났다. 측정시기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p<.001) 측정시기와 그룹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그룹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15> OLREO 전-후 경로 변화에 대한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단위 :mm)

Group pre post F-values in two way repeated ANOVA

effect F p

EG 23.41 ± 2.23 20.97 ± 4.41 Time(A) 120.222 .001***

A×B 50.211 .001***

CG 22.32 ± 1.67 22.25 ± 2.94

Group(B) 1.668 .365

그림 14. OLREO Ant-Post의 변화

(3) 압력 중심의 움직임 영역(Velocity moment) 경로에 대한 동요 속도 변화

<표-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력중심의 움직인 영역(Velocity moment) 경로에 대한 동요 속도 변화는 운동집단에서 운동 전 150.23 ± 1.45m/s, 운동 후 139.22 ± 2.42m/s로 나타났고, 통제집단에서 사전 149.22 ± 8.54m/s, 사후 148.12 ± 6.54m/s로 나타났다. 측정시기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측정시기와 그룹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그룹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표-16> OLREO 움직인 거리에 대한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단위 : mm) Group pre post F-values in two way repeated ANOVA

effect F p

EG 150.23 ± 1.45 139.22 ± 2.42 Time(A) 37.552 .001***

A×B 26.889 .001***

CG 149.22 ± 8.54 148.12 ± 6.54

Group(B) 10.311 .010**

그림 15. OLREO Velocity moment의 변화

3)

눈뜨고 좌측 다리로 지지하면서 선 동작(OLLEO)에서 정적 균형능력의 변화

(1) 압력중심의 좌-우(Med-Lat) 경로에 대한 동요 속도 변화

<표-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력중심의 좌-우(Med-Lat) 경로에 대한 동요 속도 변화는 운동집단에서 운동 전 24.22 ± 2.88m/s, 운동 후 22.55 ± 1.29m/s 로 나타났고, 통제집단에서 사전 23.23 ± 1.12m/s, 사후 23.22 ± 2.43m/s로 나 타났다. 측정시기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p<.001) 측정시기와 그룹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그룹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표-17> OLLEO 좌-우 경로 변화에 대한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단위 : mm) Group pre post F-values in two way repeated ANOVA

effect F p

EG 24.22 ± 2.88 22.55 ± 1.29 Time(A) 60.211 .001***

A×B 69.221 .001***

CG 23.23 ± 1.12 23.22 ± 2.43

Group(B) .715 .298

그림 16. OLLEO Med-Lat의 변화

(2) 압력중심의 전-후(Ant-Post) 경로에 대한 동요 속도 변화

<표-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력중심의 전-후(Ant-Post) 경로에 대한 동요 속도 변화는 운동집단에서 운동 전 23.22 ± .24m/s, 운동 후 18.23 ± .32m/s로 나타났고, 통제집단에서 사전 22.23 ± .18m/s, 사후 22.67 ± .08m/s로 나타났 다. 측정시기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p<.001) 측정시기와 그룹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그룹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표-18> OLLEO 전-후 경로 변화에 대한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단위 : mm) Group pre post F-values in two way repeated ANOVA

effect F p

EG 23.22 ± .24 18.23 ± .32 Time(A) 80.244 .001***

A×B 114.233 .001***

CG 22.23 ± .18 22.67 ± .08

Group(B) 16.444 .001***

그림 17. OLLEO Ant-Post의 변화

(3) 압력 중심의 움직임 영역(Velocity moment) 경로에 대한 동요 속도 변화

<표-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력중심의 움직인 영역(Velocity moment) 경로에 대한 동요 속도 변화는 운동집단에서 운동 전 139.23 ± 4.22m/s, 운동 후 133.22 ± 6.04m/s로 나타났고, 통제집단에서 사전 141.64 ± 4.98m/s, 사후 141.99 ± 1.44m/s로 나타났다. 측정시기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측정시기와 그룹의 상호작용 효 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그룹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표-19> OLLEO 움직인 거리에 대한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단위 : mm)

Group pre post F-values in two way repeated ANOVA

effect F p

EG 139.23 ± 4.22 133.22 ± 6.04 Time(A) 70.843 .001***

A×B 69.433 .001***

CG 141.64 ± 4.98 141.99 ± 1.44

Group(B) 4.346 .030*

그림 18. OLLEO Velocity moment의 변화

Ⅴ. 논 의

본 연구는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코어 안정화 트레이닝을 실시하여 SFT 체력과 균형능력 변화에 대한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1. SFT 체력의 변화

사람은 노화가 진행되면 신체의 대부분의 기능이 떨어지고 근력약화와 근육감 소로 인해 신체구성의 균형이 무너진다. 따라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선 운 동은 필수적이다(설민신, 2000).

기본적인 체력요소에는 근력과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신체구성으로 정의할 수 있 으며, 전문적인 선수들에게 필요한 체력요소에는 순발력 협응력, 민첩성 등이 있다.

노인들에게 필요한 체력이란 일상생활을 안전하고 정상적으로 영위하기 위한 것으 로 상·하체의 근력, 상·하체의 유연성, 전신지구력, 민첩성을 말하며 이러한 체력 요소들은 나아가 증가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육체적 수행력과 함께 감소되어 진다.

본 연구에서 코어 안정화 트레이닝 후 노인여성의 운동그룹이 통제그룹 보다 SFT 체력의 대부분 측정항목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SFT 체력 측정항복 중 운동군의 하지근력 변화와 상지근력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다. 이와 관련하여 장영복(2001)의 연구에서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코어 트레이닝 을 실시하였는데 사전 사후 검사에서 운동집단의 근력이 상승하여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본 연구를 지지해 주었고, 김범수, 안병훈(2008)의 연구에서도 고령 여성을 대상으로 실험 전 후 SFT체력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운동 후 근력 변화에 서 향상 된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근력은 인간의 삶속에 질을 상승시키고 안정적인 신체활동을 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다리의 굽힘과 폄 운동은 걷기, 달리기, 던지기와 같은 신체활동 에 매우 중요한 근육 운동일 뿐만 아니라 스포츠 활동이 아니더라도 일상생활의 신 체적 움직임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이긍세, 1991).

본 연구의 SFT 체력의 전신지구력 측정항목에서도 운동군의 집단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신지구력은 인간이 생활하는데 신체활동에 의한 근 력 부하에 대하여 같은 강도로 지속적으로 수행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데 고령 여성에 있어서 전신지구력은 일상생활을 하는데 꼭 필요한 있는 능력, 그리고 신체 활동량의 부족과 낙상예방을 낮추데 상당히 중요하다. 김정훈(2012)의 연구에서 는 여자 테니스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코어 안정화 트레이닝 후 운동 집 단에서 전신지구력과 근력의 향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고 보고하였고, 김홍수(2012)는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8주간 코어트레이닝 유무 에 따른 운동 전후 체력변인들을 분석한 결과 운동전후 비교에서 전신지구력이 코어 운동군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해주었 다. 문희상(2012)의 연구에서도 여성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전신지구 력, 근력, 상체유연성이 증가하였다고 보고 하였고, 권은겸(2010)은 코어 안정화 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낙상관련 체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에서 체력 요인에서 전신지구력과 하지근력을 향상시켜 코어 안정화 복합운동이 체력뿐만 아니라 노인들의 낙상예방에도 효과적인 운동방법임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민첩성 및 동적평형성의 변화에 있어서 운동군은 사전 사후를 비교 한 검사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민첩성은 어르신들이 시간에 맞게 버스에서 내리거나 부엌에서 어떤 일을 하기 위해 일어나거나 신체활동을 무리 없이 빠르 게 일을 처리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중요한 체력 요인이다.

이와 관련하여 문희상(2012)의 연구에서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밴드운동프로그 램을 실시한 결과 근력, 전신지구력, 민첩성 및 동정평형성 능력이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고 보고하였고, 김도연(2004)의 연구에서는 노인여성들에게 태극권 수련을 실시한 결과 균형능력 및 민첩성 및 평형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으

며, 김병철(2003)의 연구에서도 중년여성들의 건강 체력의 대부분의 항목과 민첩 성 및 평형성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해 주었다. 이재문(2003)은 고령여성의 나이가 듬에 따른 건강체력 변화 연 구에서 SFT 체력검사 방법을 이용하여 나이증가에 따른 변화를 알아 본 결과 건 강관련 체력의 대부분의 요소가 연령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떨어졌으며, 주로 75 세를 기점으로 급격하게 떨어졌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상민(2005)의 연구에서 도 고령자를 대상으로 민첩성을 측정한 결과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전반적인 체 력이 유의하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에 있어서 이러한 신체적 능력의 저하는 사회적 능력의 저하로 직결되며, 결국 일상생활의 질적 능력이 저하 된다 고 하였다(이미숙, 2003). 따라서 노인들에게 있어서 코어 안정화 트레이닝과 같 은 높은 강도의 운동이 아닌 노인의 특성을 고려해 낙상 예방과 부상의 위험도가 낮은 트레이닝을 실시 할 경우 노인들의 체력 향상과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 다고 사료된다.

노인들에게 있어서 유연성의 중요성은 연령 증가에 따른 개인의 체력 수준과 연관되어 있다. 유연성이 감소하면 일상생활 동작에 필요한 기능이 손상되며, 특 히 하체의 유연성과 고관절 및 슬관절의 유연성은 요통과 근 골격계의 손상을 예 방한다. 또한 비정상적인 보행을 예방하고 낙상의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의 SFT 체력 요소 중 하지 유연성 측정항목에서도 운동군은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령에게 있어 체력과 근력 및 유연성이 떨어지면 평형유지 능력이 저하된다고 하며, 정적 평형능력의 향상을 위한 유연성 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조상근 등, 2006). 김경래(2005)는 12주 코어 운동 처치 후 운동군에서 하지 유연성의 유의한 차이를 보고하였고, 김이순(2004)는 10주간의 코어스트레칭 프로그램 후 트레이닝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연성 향상을 보고 하였으며, 윤규태, 이범규(2000) 의 연구에서도 코어 운동프로그램 후 운동집단에서 하지 유연성 능력이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해 주었다.

심폐지구력 측정 항목에서는 코어 안정화 트레이닝 실시 후 운동집단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권오범(2012)의 연구에서는 여성노인의 코어 안 정화 운동이 척추 및 운동관련체력 요인의 사전 사후를 비교한 결과 체력의 전반 적인 요인과 심폐지구력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고, 권은겸(2010)의 연구에서도 코어 안정화 운동이 노인여성의 균형능력과 낙상관련체력, 심폐지구력 또한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해주었다.

따라서, 코어 안정화 트레이닝의 실시 후 SFT 체력에 관해서 선행논문과 일치 하는 점을 찾을 수 있었다. SFT 체력의 증가는 여성 노인의 신체적 기능의 발전 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발전은 삶의 질적인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 으로 사료된다.

2. 균형능력의 변화

인간은 생활을 하면서 필요한 에너지원 및 체력 등이 노화가 진행됨으로써 감 소가 되는데 이러한 현상으로 균형능력 또한 약해지는 현상이다(장영복, 2013).

이러한 균형능력이 중요한 이유는 균형감각을 손실 되면 노인들은 큰 부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균형은 기저면 위에 중력 중심을 유지하는 능력으로(Bompa, 2009) 신체가 균 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균형감각의 정상적인 입력과 고위중추에서 적절한 통합 조절이 요구되는데 이는 신체의 생체역학적 측면인 근골격계의 지지작용이 필요 하다(Horak, 1987). 그리고 적절한 균형조절을 위해서는 전정계, 시각계, 고유수 용성 감각계 및 인지능력의 상호작용이 요구되므로 균형은 자세를 유지하고 수의 적 운동을 하는 동안 자세를 안정시킴으로써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Cohen et al., 1993; Kraemer & Rantamess, 2004). 또한 상체 및 하체근력 그리고 순발력은 자세와 균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Hoffman, 2002).

본 연구에서는 코어 안정화 트레이닝 운동 군의 균형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균형능력 검사 장비를 이용하여 양쪽 눈뜨고 두발로 지지하면서 서있는 동 작(NSEO), 우측 다리로 지지하면서 서있는 동작(OLREO), 좌측 다리로 지지하면 서 서있는 동작(OLLEO)의 전-후(Ant-Post), 내-외(Med-Lat), 움직인 거리 (Velocity Moment)에 대해 측정을 실시하였다.

코어 안정화 트레이닝 운동집단에서는 눈뜨고 두발로 지지하면서 서있는 동작 (NSEO), 눈뜨고 우측 다리로 지지하면서 서있는 동작(OLREO), 눈뜨고 좌측 다리로 지지하면서 서있는 동작(OLLEO)에서의 내-외(Med-Lat), 전-후(Ant-Post), 움직인 거리(Velocity Moment)의 대부분 측정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권은겸(2010)의 코어 안정화 운동이 고령노인 의 낙상관련 체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에서 하지 근력과 균형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일치하였다.

하상우(2010)의 연구에서도 낙상관련 체력 요소인 일어나 걷고 돌아오기, 좌우 한발서기, 전후 ․ 좌우 최대 보폭 검사 등 모든 항목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 다 하였고, 권오범(2012)은 여성노인의 코어 안정화 운동이 척추형태 및 낙상관 련체력을 향상시킨다고 하여 이 또한 코어 운동이 균형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과 일치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코어운동 안정화 운동 실시 후 균형능력에 대해 선행연구와 동일한 결과라는 점을 찾을 수 있었다.

고령노인들의 원만한 생활을 위해서는 자기 스스로 자세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는 평형능력이 필요하지만, 활동하는 시간이 줄어 드므로 평형능력이 무뎌지고 근육의 힘이 약화되고 유연성 및 전체적인 신체기능이 나빠지면서 부상의 위험도 가 상승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나이가 먹음으로써 신체활동은 체력적인 증가를 가 져오며 이로 인해 평형능력이 상승하고 낙상예방 위험도를 낮추는데 상당한 효과 를 나타낸다. 코어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은 고령인 들에게 알맞은 운동이라고 볼 수 있어 평형능력을 높여 노인들의 낙상의 위험에서 벗어나게 해줄 것이라고 기 대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7-5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