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통 불편익 비용 추정결과 종합

문서에서 촛불시위의 사회적 비용 (페이지 77-82)

□ 각 항목별로 산정된 불편익을 합한 결과 시위상황 1에서는 주야간대의 경 우 시간당 약 600만 원, 심야 시간대의 경우 시간당 약 114만 원의 교통관 련 불편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남. 시위상황 2에서는 주야간대의 경우 시간당 약 150만 원, 심야 시간대의 경우 시간당 약 26만 원의 교통관련 불 편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남.

□ 전체적으로 통행시간과 관련한 비용의 불편익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 며, 그 밖에 운행비용, 환경비용, 사고비용 등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남. 시간비용과 달리 여타의 항목에서는 편익이 발생하 기도 하고 시간대별로 그 크기가 서로 역전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긴 하 나,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해 그 영향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 되며, 향후 조사의 추가와 모형의 보완을 거쳐 이를 보정할 수 있을 것임.

구 분 운행비용 시간비용 환경비용 사고비용 합계

시위상황 1 (전면 통제)

주야간(07시~24시)

1시간 동안의 불편익 790.7 4598.9 167.3 402.9 5,959.8 심야(00시~07시)

1시간 동안의 불편익 127.2 910.7 69.3 29.8 1,137.0

시위상황 2 (부분 통제)

주야간(07시~24시)

1시간 동안의 불편익 24.4 1494.6 18.2 (41) 1,496.2 심야(00시~07시)

1시간 동안의 불편익 26.2 187.8 34.8 10.8 259.6 주: ( ) 안의 수치는 편익을 의미함.

<표 32> 시위 1시간 동안의 교통 불편익 비용 추정결과 종합 1 (2006년 말 기준가격)

(단위: 천 원/1시간, ‘06년 말 기준 가격)

□ 위의 결과는 2006년 말을 기준시점으로 했을 때의 가격이므로, 소비자 물 가지수를 적용하여 2007년 말을 기준시점으로 했을 대의 가격으로 환산하 면 다음의 표와 같음.

구 분 운행비용 시간비용 환경비용 사고비용 합계

시위상황 1 (전면 통제)

주야간(07시~24시)

1시간 동안의 불편익 811.0 4717.1 171.6 413.3 6113.0 심야(00시~07시)

1시간 동안의 불편익 130.5 934.1 71.1 30.6 1166.2

시위상황 2 (부분 통제)

주야간(07시~24시)

1시간 동안의 불편익 25.0 1533.0 18.7 (42.1) 1534.7 심야(00시~07시)

1시간 동안의 불편익 26.9 192.6 35.7 11.1 266.3 주: 1) 2006년 말 기준가격에 소비자 물가지수(1.0257)를 적용하여 ’07년 말 기준가격

으로 환산함.

2) ( ) 안의 수치는 편익을 의미함.

<표 33> 시위 1시간 동안의 교통 불편익 비용 추정결과 종합 2 (2007년 말 기준가격)

(단위: 천 원/1시간, ‘07년 말 기준 가격)

<부록 2> 시위건수와 경제변수의 상관계수 추정결과

종속변수 = GDP 종속변수 = GDP 대비 설비투자

C -1.9707(-3.047) C -16.5126(-6.126)

근로자 비중 0.8710(3.447) 회사채 금리 0.1241(4.426)

투자 0.0543(1.976) 근로자 비중 3.3076(5.869)

개방도 0.1897(3.282) 전기 설비투자 0.6831(13.702) 노사분규일수 -0.0041(-3.527) 노사분규일수 -0.0086(-2.419) 전기 GDP 0.7748(11.143) 전기 GDP 0.1705(3.371)

대미환율 0.0829(3.394)

R2 0.998 R2 0.945

DW 1.759 DW 1.633

<표 34> 회귀분석결과 1

- 추정방식은 분기자료의 자기상관을 감안하여 Newey-West HAC (Heteroskedasticity Autocorrelation Consistent) 기법을 이용하였음.

- 근로자 비중은 경제활동인구 대비 취업자 수, 투자는 총고정자본형성, 개 방도는 GDP 대비 수출입 총액 비중, 회사채 금리는 장외3년 AA- 등급 을 나타내며, 괄호 안의 숫자는 t-value임.

-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통계청 및 한국은행에서 발췌함.

- 1997년 외환위기 효과를 감안하여 1997년 4분기부터 1998년 4분기를 제 외한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를 가져옴.19)

19) 투자와 GDP와의 동시성(simultaneity)를 감안한 시스템 분석 또한 동일한 결과를 보 였으나, 지면제약으로 생략함.

종속변수 = GDP 종속변수 = GDP 대비 설비투자

C -1.3888(-3.742) C -14.8590(-7.087)

근로자 비중 0.5433(5.267) 회사채 금리 0.1961(4.429)

투자 0.0250(1.224) 근로자 비중 2.7784(6.738)

개방도 0.1072(4.081) 전기 설비투자 0.5686(8.613)

노사분규일수 -0.0021(-2.779) 노사분규일수 -0.0092(-2.548) 전기 GDP 0.8806(27.936) 전기 GDP 0.2471(3.762)

대미환율 0.0409(3.590)

R2 0.999 R2 0.936

DW 2.024 DW 1.669

<표 35> 회귀분석결과 2

<부록 3> 조경엽(2007) CGE 모형의 개략

□ 조경엽(2007) 모형은 동태적 연산 가능한 일반균형(CGE: Computable General Dynamic Equilibrium) 모형으로서 9개의 공공부문과 6개의 산업, 6개의 소비 재화, 10개의 소득계층으로 구성됨.

산업부문 소비재화 소득계층

공 공 부 문

S01. 공공행정 및 국방 C01. 음식료 Ⅰ. 0~10%

S02. 교육 C02. 주거 및 광열료 Ⅱ. 10~20%

S03. 연구개발 C03 보건의료 Ⅲ. 20~30%

S04. 보건 C04. 교육・문화・오락 Ⅳ. 30~40%

S05. 사회복지 C05. 교통 및 통신 Ⅴ. 40~50%

S06. 환경 C06. 기타 소비재화 Ⅵ. 50~60%

S07. 문화 및 오락 Ⅶ. 60~70%

S08. SOC Ⅷ. 70~80%

S09. 공공주택건설 Ⅸ. 80~90%

민 간 부 문

S10. 농림수산업 Ⅹ. 90~100%

S11. 제조업

S12. 전력・가스・수도 S13. 수송 및 통신 S14. 금융 및 보험 S15. 기타 서비스업

<표 36> 분석 대상 산업, 소비재화, 소득계층 및 자본

□ CGE모형은 경제주체들의 최적화 행위를 수식화하고 이를 컴퓨터 프로그 래밍하여 정책모의실험을 통해 정책변화의 파급효과를 추정하는 모형 임.20)

20) 모형의 구조는 조경엽(2007)의 부록에 수식을 통해 자세히 설명되어 있음.

문서에서 촛불시위의 사회적 비용 (페이지 77-8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