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2. 교육관의 개념

교육관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가 교육관의 개념적 포괄성과 모호성으로 명 료화ㆍ구체화하지 못하고 있고, 일정한 기준에 의한 교육관 유형이 정립되어 있지 못한 것이 특징이다.

이인효(1981)는 교육 행위를 하나의 사회적 행위로 보고, 구조기능론과 현 상학에서의 사회적 행위 모형을 각각 다르게 설명하고 있다. 두 가지 대비되

는 행위이론인 구조ㆍ기능주의적 입장과 현상학적 입장에서 교육관의 위치 와 개념을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가. 구조ㆍ기능주의적 행위이론에서 본 교육관의 개념

대표적 구조기능론자인 Parsons(1962)의 행위이론은 초기이론과 후기이론 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초기이론은 단위 행동의 자발성에 그 초점을 두었으 며, 목표 추구의 과정에서 끊임없이 계속되는 선택 결정 과정이 작용한다 보 았다. Parsons는사람들의 행위를 행위자 개개인들의 주관적인 의사결정 과 정으로 보고, 그 과정을 <그림-1>과 같이 도식화하였다.

규범적제약 (가치, 규범, 사상)

상황적 조건

(생리적, 외적, 환경적 제약조건)

행위자 목적

수단 1 수단 2 수단 3

규범적제약 (가치, 규범, 사상)

상황적 조건

(생리적, 외적, 환경적 제약조건)

행위자 목적

수단 1 수단 2 수단 3

<그림-1> 구조ㆍ기능주의적 행위 모형

출전: 이인효(1980), 교육관의 유형ㆍ갈등 및 행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

Parsons(1962)가 후기에 제안한 ‘사회적 행위모형’은 <그림-2>와 같다.

나. 현상학의 행위이론에서 본 교육관

구조기능론이 객관적 실체로서의 현실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는 반면, 현 상학은 주관적으로 해석된 것으로서의 현실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따 라서 사람들의 ‘상식적인 생각’ 혹은 ‘세계에 대한 지식’이 행위모형의 중심 을 이루게 된다.

대표적인 현상학자 중의 한 사람인 Schutz(1973)의 행위모형은 <그림-3>

와 같이 도식화될 수 있다.

당면한 실용적 이해관계 ↓

세계에 대한

“지식” →

미래의

경험투사 → 행동

한 개인의 사회 안에서의 일반적 상황

<그림-3> Schutz의 행위 모형

출전 : 이인효(1980), 교육관의 유형ㆍ갈등 및 행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0

Schutz(1973)에 있어서는 개인이 세계의 중심이 되며, ‘의미의 주관적 해 석’과 ‘상황을 정의하는 방식’ 자체가 으뜸가는 행위 양식이다. Schutz가 말 하는 지식은 ‘일상생활의 지식’, ‘상식적인 생각’ 등과 같은 말이며, 사람들이 세상과 상호작용하면서, 사회적 경험을 통하여 체득한 지식을 의미한다.

Schutz의 사회적 행위 이론의 관점에서 볼 때 교육관을 ‘세상과의 상호작

용을 통하여 형성된, 그리고 사회적 경험을 통하여 해석된 교육에 대한 지 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 교육학자들이 본 교육관의 개념

박준희(1975)는 교육관을「교육이라는 특별한 작용과 행위를 지배하는 가 치관」이라고 정의하여 교육관을 가치관의 하위 개념으로 다루었으며 교육 관을 교육 가치관, 교육 목적관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종재(1980)는 교육관을「교육 현실에 대한 주관적 의미구성」이라고 규 정하고 있다. 주관적인 의미구성은「무엇이 보다 가치로운가?」에 관한 주관 적 가치 의식과 상황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보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상황 인식이란 ① 교육에 비추어진 상(象) ② 교육에 대한 문제의식

③ 상황과 실제에 대한 평가 의식 ④ 교육 상황에 대처하는 전략 등을 말한 다. 개인은 가치와 상황 인식의 상호 작용의 결과 자신의 행위를 선택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를 도표화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교 육 가 치

상 황 인 식

행 위 선택

<그림 4> 교육관의 개념

출전: 조홍기(1990), 교원의 교육관ㆍ교직관 조사 연구. 홍익대학교교육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p.10

이러한 교육관의 개념과 연관하여 교육관에는 가치론적 측면과 인식론 적 측면이 포함된다고 했다. 가치론적 측면에서는 교육의 목적, 내용, 방 법 및 기타 교육에 관련된 분야에 대하여 바람직한 방향을 규정하는 것 이고, 인식론적 측면에서는 교육의 제현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느냐의 문제에 해당되는 것이다(배천웅 외, 1986).

이돈희(1985)는 교육관을 「교육 행위의 전반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가치 선택과 판단의 기준 체계」라고 정의하여 교육관에서 교육이 지향하여 야 할 방향 선택에 있어서의 가치 의식과 신념으로서 판단의 기준이 포함되 는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그는 교육관은 적어도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 어 고찰할 수 있다고 하였다. 하나는 제도적 교육의 주체인 국가가 추구하는 교육관으로서 그것은 흔히 ‘교육 이념’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그것은 바로

‘제도적 교육관’이라 할 수 있을 것이며 교육을 국가적 사업으로 전개할 때 그 사업의 목적과 방향이 어떤 기준을 만족시켜야 하는가에 대한 답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교육의 현장에서 교육 활동을 전문적으로 맡아서 실천하는 교원이나 교육 이론가의 교육관으로서 고도의 이론적 체계를 가졌 을 때 ‘교육 사상’이라 불리기도 한다. 또 다른 하나는 일반 대중의 ‘통속적 교육관’이다. 자녀를 교육시키고자 하는 부모들이나 교육을 받고자 하는 피 교육자들이 교육에 대하여 가지는 관점이나 기대 등 교육적 선택이나 판단 의 과정에 작용하는 신념이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교육관의 개념을 종합하여 보면, 구조기능론의 입장에서 교육관은 그 문화에서의 교육에 대한 가치규범, 그 사회에서의 교육체제에 대한 역할 기대, 그리고 개인의 교육에 대한 요구의 세 요인이 교육관에 포 함될 수 있다.

사회적 행위 이론의 관점에서 교육관은 ‘세상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형성

된, 그리고 사회적 경험을 통하여 해석된 교육에 대한 지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박준희(1975)는 교육관을 「교육이라는 특별한 작용과 행위를 지배하는 가 치관」이라고 정의하였다.

이종재(1980)는 교육관을 「교육 현실에 대한 주관적 의미구성」이라고 규 정하고 있다. 주관적인 의미구성은 「무엇이 보다 가치로운가?」에 관한 주 관적 가치 의식과 상황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보고 있다.

이돈희(1985)는 교육관을 「교육이 지향하여야 할 방향 선택에 있어서의 가치 의식과 신념으로서 판단의 기준」이 포함되는 개념으로 보았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