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광섬유 레이저 PCF단 구성 및 제작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3-79)

제3절 광자 결정 광섬유를 이용한 대역폭 확장

LASERⅡ에 대한 공진기 출력과 PCF 통과 후 최종 출력 스펙트럼을 함께 보여주고 있 다. LASERⅡ의 경우 최종 출력의 스펙트럼은 공진기 출력 스펙트럼 대역폭 약 5 ㎚에 서 약 600 ㎚(스펙트럼 영역: 800~1400 ㎚)로 약 595 ㎚정도 확장되었다. 그림 3.29는 LASERⅡ의 입력 파워에 따른 PCF 통과 후 최종 출력 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 경우에도 PCF의 입력 파워가 증가함에 따라 최종 출력의 스펙트럼 대역폭이 확대됨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림 3.30은 LASERⅠ과 LASERⅡ에 대한 PCF 통과 후 최종 출력 스펙트럼을 함께 보여주고 있다. LASERⅡ의 스펙트럼이 LASERⅠ보다 약 50 ㎚정도 더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LASERⅠ과 LASERⅡ의 최종 출력 스펙트럼을 비교해보면 단파장 영역에서는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장파장 영역에서는 LASERⅡ의 파워 스펙트럼 밀도 (power spectral deity)가 LASERⅠ보다 더 큼을 알 수 있다. 이는 LASERⅡ의 장파장 영 역 변환 효율이 더 뛰어남을 의미한다. 또한 파워 스펙트럼 밀도의 전체적인 평탄도 또 한 LASERⅡ가 우수하여, 전반적으로 LASERⅡ의 출력 특성이 LASERⅠ보다 뛰어난 것 으로 판단된다.

그림 3.23 융착기에서 획득한 광자 결정 광섬유의 단면 사진

0 50 100 150 200 250 0

4 8 12 16 20

Output power [mW]

Pumping power [mW]

250 300 350 400 450 500

15 20 25 30 35 40 45

Output power [mW]

Pumping power [mW]

Output power [mW]

(a) 1단 (b) 2단

500 550 600 650 700 750

44 48 52 56 60 64

Output power [mW]

Pumping power [mW]

740 760 780 800 820 840 860 880 900

62 64 66 68 70 72 74

Output power [mW]

Pumping power [mW]

(b) 3단 (d) 4단

그림 3.24 각 증폭단별 펌핑 파워에 대한 PCF 출력 특성(LASERⅠ)

800 900 1000 1100 1200 1300 0

2 4

Intensity [a. u.]

Wavelength [nm]

OSC PCF

그림 3.25 공진기 출력과 PCF 통과 후 최종 출력의 스펙트럼(LASERⅠ)

800 850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1300 1350 0

1 2 3 4

OSC 40 ㎽ 140 ㎽ 330 ㎽ 390 ㎽

Intensity [a. u.]

Wavelength [nm]

(a)

800 850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1300 1350 -100

-80 -60 -40 -20 0 20

OSC 40 ㎽ 140 ㎽ 330 ㎽ 390 ㎽

Intensity [dB]

Wavelength [nm]

(b)

그림 3.26 입력 파워에 따른 PCF 통과 후 최종 출력의 스펙트럼(LASERⅠ) (a) 선형 스케일, (b) dB 스케일

0 50 100 150 200 250 0.0

0.5 1.0 1.5 2.0 2.5

Output power [mW]

Pumping power [mW]

PCF 1단

250 300 350 400 450 500 550

0 5 10 15 20 25 30

PCF 2단

Output power [mW]

Pumping power [mW]

(a) 1단 (b) 2단

550 600 650 700 750 800 850

30 35 40 45 50 55 60

PCF 3단

Output power [mW]

Pumping power [mW]

940 960 980 1000 1020 1040 1060

65 70 75 80 85

90 PCF 4단

Output power [mW]

Pumping power [mW]

(c) 3단 (d) 4단

그림 3.27 각 증폭단별 펌핑 파워에 대한 PCF 출력 특성(LASERⅡ)

800 900 1000 1100 1200 1300 1400 0

2 4

Intensity [a.u.]

Wavelength [nm]

OSC PCF

그림 3.28 공진기 출력과 PCF 통과 후 최종 출력의 스펙트럼(LASERⅡ)

800 900 1000 1100 1200 1300 1400 0

1 2 3 4

5 OSA

8 ㎽ 100 ㎽ 280 ㎽ 400 ㎽

Intensity [a. u.]

Wavelength [nm]

(a)

800 900 1000 1100 1200 1300 1400

-100 -80 -60 -40 -20 0 20

OSA 8 ㎽ 100 ㎽ 280 ㎽ 400 ㎽

log scale [dB]

Wavelength [nm]

(b)

그림 3.29 입력 파워에 따른 PCF 통과 후 최종 출력의 스펙트럼(LASERⅡ) (a) 선형 스케일, (b) dB 스케일

800 900 1000 1100 1200 1300 1400 0

2 4

Intensity [a. u.]

Wavelength [nm]

LASER LASER

(a)

800 900 1000 1100 1200 1300 1400

-100 -80 -60 -40 -20 0 20

LASER LASER

log scale [dB]

Wavelength [nm]

(b)

그림 3.30 LASERⅠ과 LASERⅡ의 PCF 통과 후 최종 출력 스펙트럼 (a) 선형 스케일, (b) dB 스케일

제4장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반도체 포화흡수체를 이용한 모드 잠금된 광섬유 레이저 공진기 와 4단 광섬유 증폭기를 제작하였다. 광자 결정 광섬유를 이용한 레이저 시스템의 출력 대역폭 확장 실험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였고 최종 제작된 광대역 광원의 출력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작한 레이저 공진기는 이득 매질인 이터븀이 첨가된 광섬유와 수동형 모드 잠금 소자인 포화흡수체를 이용하여 모드 잠금을 구현하였다. 포화흡수는 광의 세 기가 증가함에 따라 광의 흡수가 감소하는 현상이다. 광의 세기가 약한 펄스의 가 장자리 부분은 포화흡수체를 통해 흡수가 되어 큰 손실을 겪고 광의 세기가 강한 펄스의 중간 부분은 적은 손실이 일어나게 되어 결과적으로 좁은 폭의 펄스를 만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반도체 포화흡수체는 1030 ㎚의 파장대역에서 흡 수가 일어나는 반도체 화합물인 InGaAs를 양자 우물 구조로 증착되어있어 이터븀 을 이용한 모드 잠금 레이저 구현에 적합한 소자이다. 본 논문에서는 반도체 포화 흡수체의 주요 사양인 흡수율이 다른 2종의 포화흡수체(투과율 64%/변조깊이 13%, 투과율 52%/변조깊이 25%)를 사용하여 2종의 레이저 공진기(LASERⅠ, LASERⅡ) 를 제작하였고, 출력 특성을 비교하였다. LASERⅠ의 경우 안정적인 모드 잠금 최 대 출력은 12 ㎽이었으며, 펄스 반복률은 37 ㎒, 펄스 폭은 27 ㎰, 펄스 에너지는 0.3 nJ이었다. 공진기의 출력 스펙트럼은 1037 ㎚의 중심 파장에서 약 3 ㎚의 폭을 가졌다. LASERⅡ의 경우 안정적인 모드 잠금 최대 출력은 20 ㎽이었으며, 펄스 반 복률은 37 ㎒, 펄스 폭은 10 ㎰, 펄스 에너지는 0.5 nJ이었다. 공진기의 출력 스펙 트럼은 1034 ㎚의 중심 파장에서 약 5 ㎚의 폭을 가졌다. 전체적으로 LASERⅠ보 다 LASERⅡ의 성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광섬유 레이저 증폭기를 구성하고 2종의 레이저 공진기를 입력으로 사용하였을 경우에 대한 각각의 출력 특성을 조사하였다. 레이저 증폭기는 4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단부터 4단까지의 증폭기 펌핑 파워를 증가시킬 경우, 증폭기 출력 파워 또한 증가하였다. 2종의 레이저 공진기 모두에 대해 평균 출력 파워는 약 400 ㎽이 었다.

광자 결정 광섬유를 이용한 출력 대역폭 확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광자 결정 광섬유의 경우 입력시켜주는 펌프 광원이 높은 첨두 출력을 가질수록 강한

비선형 효과에 의해 넓은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광대 역 광원을 제작하기 위해 LASERⅠ과 LASERⅡ 공진기 각각에 증폭단을 연결하고 20 m 길이의 광자 결정 광섬유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레이저 모두 PCF 입력 파워를 점차적으로 증가시켰을 때 스펙트럼 대역폭 또한 증가함을 확인 하였다. LASERⅡ의 경우 약 800~1400 ㎚ 대역의 스펙트럼 출력을 보여 약 800~1350 ㎚ 대역의 스펙트럼 출력을 보인 LASERⅠ 대비 약 50 ㎚정도 더 넓은 대역폭확대를 보였으며, 전체적인 평탄도 또한 우수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작된 레 이저 시스템은 분광분해 간섭계의 광대역 광원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참고문헌]

[1] T. H. Maiman, “Stimulated Optical Radiation in Ruby,” Nature 4, 564 (1960).

[2] R. J Mears, L. Reekie, S. B. Poole and D. N. Payne, “Neodymium-doped silica single-mode fiber lasers,” Electronics Letters 21, 738 (1985).

[3] V. Cautaerts, D. J. Richardson, R. Paschotta and D. C. Hanna, “Stretched pulse Yb3+:silica fiber laser,” Optics Letters 22, 316 (1997).

[4] L. M. Zhao, D. Y. Tang and J. Wu, “Gain-guided solitono in a positive group-dispersion fiber laser,” Optics Letters 12, 1788 (2006).

[5] H. Lim, F. O . Ilday and F. W. Wise, “Generation of 2-nJ pulses from a femtosecond ytterbium fiber laser,” Optics Letters 28, 660 (2003).

[6] A. Chong, J. Buckley, W. Renninger and F. Wise, “All-normal dispersion femtosecond fiber laser,” Optics Letters 14, 10095 (2006).

[7] R. R. Alfano and S. L. Shapiro, “Emission in the Region 4000 to 7000 A Via Four-Photon Coupling in Glass,” Phys. Rev. Lett 24, 584 (1970).

[8] J. C. Knight, T. A. Birks, P. St. J. Russell and D. M. Atkin, “All-silica single mode optical fiber with photonic crystal cladding,” Optics Letters 19, 1547 (1996).

[9] A. Apoloki, B. Povazay, A. Unterhuber, W. Drexler, W. J. Wadsworth, J. C. Knight and P. St. J. Russell, “Spectral shaping of supercontinuum in a cobweb photonic-crystal fiber with sub-20-fs pulses,”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America B 19, 2165 (2002).

[10] J. M. Dudley, G. Genty and S. Coen, “Supercontinuum generation in photonic crystal fiber,” Reviews of Modern Physics 78, 1135 (2006).

[11] K. M. Hilligsoe, T. V. Andersen, H. N. Paulsen, C. K. Nielsen, K. Molmer, S.

Keiding, R. E. Kristiaes, K. P. Haes and J. J. Larsen, “Supercontinuum generation a photonic crystal fiber with two zero dispersion wavelengths”, Optics Letters 12, 1045 (2004).

[12] 김종두, 이기주, 전민용, 안성준, 최용규, “광자 결정 광섬유에서 펌프 광원의 파장과 입력파워에 따른 초 광대역 광원 발생의 특성,” 한국광학회지 16, 490 (2005).

[13] H. W. Etzel, H. W. Gandy and R. J. Ginther, “Stimulated Emission of Infrared Radiation from Ytterbium Activated Silicate Glass,” Applied Optics 1, 534 (1962).

[14] M. J. F. Digonnet, Rare-Earth-Doped Fibe Lasers and Amplifiers (Marcel Dekker, New York, USA, 2001).

[15] 엄성훈, 이터븀이 첨가된 광섬유 제작 및 이를 이용한 광섬유 레이저 특성 연 구 (석사학위청구논문, 한양대학교, 대한민국, 2012).

[16] R. Pashotta, J. Nilsson, A. C. Tropper and D. C. Hanna, “Ytterbium-doped fiber amplifiers,” IEEE Journal of Quantum Electronics 33, 1049 (1997).

[17] R. Royon, J. Lhermite, L. Sarger and E. Cormier, “High power, continuous-wave ytterbium-doped fiber laser tunable from 976 to 1120 ㎚,” Optics Letters 21, 13818 (2013).

[18] H. M. Pask, R. J. Carman, D. C. Hanna, A. C. Tropper, C. J. Mackechnie, P. R.

Barber and J. M. Dawes, “Ytterbium-doped silica fiber laser: versatile sources for the 1-1.2 m Region,” IEEE Journal of Photonics Society 1, 2 (1995).

[19] J. Nilsson, J. K. Sahu, Y. Jeong, W. A. Clarkson, R. Selvas, A. B. Grudinin and S. Alam, “High Power Fiber Lasers: New Developments,” SPIE Jounal of Advances in Fiber Lasers 4974, 50(2003).

[20] R. Paschotta, R. Haring, E. Gini, H. Melchior, U. Keller, H. L. offerhaus and D.

J. Richardson, “Passively Q-switched 0.1-mJ fiber lasers system at 1.53 m ,”

Optics Letters 24, 388 (1999).

[21] 김병태, 레이저공학 (상학당, 서울, 대한민국, 2001).

[22] D. Kuizenga and A. Siegman, “FM and AM mode-locking of the homogeneous laser-part 1: theory,” IEEE Journal of Quantum Electronics 6, 709 (1970).

[23] 모드잠금 이터븀 첨가 광섬유 레이저의 발진 특성 및 THz 응용연구(석사학위 청구논문, 충남대학교, 대한민국, 2017)

[24] A. E. Siegman, Lasers (University Science Books, Sousalito, USA, 1986).

[25] C. Honninger, R. Paschotta, F. Morier-Genoud, M. Moser and U. Keller,

“Q-switching Stability Limits of Continuous Wave Passive Mode Locking,” 1999 Optical Society of America. 16, 46 (1999).

[26] T. Brabec, Ch. Spielmann, P. F. Curley and F. Krausz, “Kerr Le Mode Locking,”

1992 Optical Society of America 17, 1292 (1992).

[27] V. J. Matas, T. P. Newson, D. J. Richardson and D. N. Payne, “Self-starting Passively Mode-locked Fiber Ring Soliton Laser Exploiting Nonlinear Polarization Rotation,” Electron Letters. 28, 1391 (1992).

[28] F. O . Ilday, F. W. Wise and T. Sosnowski, “High-energy Femtosecond Stretched Pulse Fiber Laser with a Nonlinear Optical Loop Mirror,” 2002 Optical Society of America 27, 1531 (2001).

[29] 김영진, 초고속 광학을 위한 광섬유 펨토초 레이저 고안정화 기술 개발 (일반 연구자지원사업보고서,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2013).

[30] C. Y. Chong, Femtosecond Fiber Lasers and Amplifiers based on the Pulse Propagation at Normal Dispersion (Ph.D. Thesis, Cornell University, USA, 2008).

[31] D. Anderson, M. Desaix, M. Lisak and M. L. Quiroga-Teixeiro, “Wave Breaking in Nonlinear-optical Fiber,” 1992 Optical Society of America 9, 1358 (1992).

[32] S. Gray and A. B. Grudinin, “Soliton Fiber Laser with a Hybrid Saturable Absorber,” 1996 Optical Society of America 21, 207 (1996).

[33] P. Maine, D. Strickland, P. Bado, M. Pessot and G. Mourou, “Generation of Ultrahigh Peak Power Pulses by Chirped Pulse Amplification,” IEEE Journal of Quantum Electronics 24, 398 (1988).

[34] U. Keller, K. J. Weingarten, F. X. Kartner, D. Kopf, B. Braun, I. D. Jung, R.

Fluck, C. Honninger, N. Matuschek and J. Aus der Au, “Semiconductor Saturable Absorber Mirror(SESAM’s) for Femtosecond to Nanosecond Pulse Generation in Solid State Laser,”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Quantum Electronics 2, 435 (1996).

[35] M. S. Alam, M. S. Rahman, M. R. Islam, A. G. Bhuiyan, and M. Yamada

“Refractive index, absorption coefficient, and photoelastic cotant: key parameters of InGaAs material relevant to InGaAs-based device performance,” Proceedings of 2007 IEEE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ium Phosphide & Related Materials, 343 (2007).

[36] BATOP optoelectronics, “Saturable absorber,”

https://www.batop.de/products/saturable-absorber/saturable-absorber.html.

[37] 조형수, 광자 결정 광섬유의 제작 및 특성 (석사학위청구논문, 경희대학교, 대 한민국, 2006).

[38] 조형수, 정해양, 김길환, 고동연, 이상배 “모세관 적층 방법에 의한 광자 결정 광섬유의 제작,” 한국광학회지, 18, 1 (2007).

[39] S. Coen, A. Chau, R. Leonhardt, J. Harvey, J. Knight, W. Wadsworth and P.

Russell, “Supercontinuum generation by stimulated Raman scattering and parametric four-wave mixing in photonic crystal fiber,” 2002 Optical Society of America 19, 753 (2002).

[40] W. J. Wadsworth, N. Joly, J. C. Knight, T. A. Birks, F. Biancalana and P. St. J.

Russell, “Supercontinuum and four-wave mixing with Q-switched pulses in endlessly single mode photonic crystal fibers,” 2004 Optical Society of America 12, 299 (2004).

[41] Z. Zhu and T. G. Brown, “Effect of frequency chirping on supercontinuum generation in photonic crystal fibers,” 2004 Optical Society of America 12, 689 (2004).

[42] NKT photonics, “Nonlinear photonic crystal fibers,”

https://www.nktphotonics.com/lasers-fibers/product/nonlinear-photonic-crystal-fibers/.

[43] 김승우, 김승만, 김영진, 김윤석, 박지용, 박상욱, 한승희, “비선형 편광 회전과 포화흡수체의 결합 모드잠금에 의해 생성되는 고출력 광섬유 펨토초 레이저 공진기,” 대한민국특허 출원번호 10-2012-0116127.

[44] G. P. Agrawal, Nonlinear Fiber Optics (Academic Press, New York, USA, 2006).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3-7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