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과학 탑재체의 하우징 설계 및 구조해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39)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KMSL 큐브위성은 우주 환경에서 화염 전파 실험과 물곰 배 양실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2개의 과학 탑재체가 탑재되어야 한다. 화염 전파실험과 물 곰 배양실험을 하기 위해서는 실험장치 내부에 대기조성을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압 력용기의 설계가 필요하다.

압력용기를 설계하기 위하여 우선 압력용기 내부에 들어갈 구성품에 대하여 설계를 진행 하였다. 과학 탑재체1 내부에 화염점화를 할 수 있는 점화장치와 압력용기 내부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Thermistor와 압력센서를 구성하였다. 과학 탑재체2의 경우 마이 크로스코프카메라, 워터펌프를 구성하였다.

과학 탑재체1의 압력용기 윗단부에 BK7를 이용하여 광학창을 설치하고, 카메라로 촬영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설계 조건의 경우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을 0.3atm으로 유지시킨 후 실험을 진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지구환경의 경우는 0.7atm, 우주환경에서 는 0.3atm 정도의 차압을 고려하여야 한다. 광학창의 배치는 Figure 3.1형상과 같이 진 행 하였으며, 두께를 선정하기 위하여 식(3.1.1)을 이용하여 광학창의 두께를 선정하였 다. 추가적으로 우주환경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선정된 두께에 안전율 4를 고려하여 최종적인 BK7의 두께를 5mm로 선정하였다.[15]

  

×   (3.1.1)

T = Thickness of Window

L = Length for Rectangular Window P = Load per Unit Area

Fa = Apparent Elastic Limit or Rupture Modulus R =



≤ 

20

-Figure 3.1 BK7 Regulation Design[15]

압력용기 두께 또한 앞서 진행하였던 광학창의 두께와 같이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에 따라 두께를 산정하였다. 압력용기의 경우 Figure 3.2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이 진행되 기 때문에 관련 형상에 따른 KS규격을 이용하여 두께선정을 진행 하였다. Fig 3.3에서 의 A-B구간에 대한 피막응력(식3.1.2), 굽힘응력(식3.1.3)과 B-C구간에 대한 피막응력(식 3.1.4), 굽힘응력(식3.1.5)를 구하였다.[16] 각각 구간들에 대한 합성응력을 구한 후 압력 용기의 재질인 알루미늄 6061-T6의 허용응력과 안전율을 고려하여 최종적인 압력용기 의 두께를 5mm로 설계하였다. 위와 같은 조건들을 이용하여 Figure 3.3와 같이 과학 탑재체1을 최종 제작하였다.

 

 

(3.1.2)

 



       (3.1.3)

 



 

 

(3.1.4)

   





    sin   

  (3.1.5)

 = Weld Joint Quality Factor(0.98)

21

- = Radian Value for 

 =

 =  ×

Figure 3.2 Pressure Chamber Regulation Design[16]

Figure 3.3 Payload1 Design

물곰의 생활 패턴 분석을 위하여 압력용기 내부의 압력을 지구와 같은 압력인 1atm

22

-으로 유지를 시키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대기 환경을 구성하였다. 과학 탑재체2 설계 또한 과학 탑재체1의 두께 설계에 사용 되었던 식(3.1.2) ~ (3.1.5)를 이용 하여 두 께 설계를 진행 하였고, 내부 부품으로는 물곰이 활동할 셀과 물곰을 촬영할 카메라를 장착하였다. 물곰을 촬영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스코프 카메라와 램프가 함께 있는 카 메라를 이용 하여 물곰을 쉽게 촬영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부품들을 지지할 수 있는 홀더를 설계 하여 발사환경에서 받게 되는 충격과 진동에 대하여 카메라의 초점 이 틀어지거나 내부 부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최종적인 과학 탑재 체2는 Figure 3.4와 같이 설계를 진행 하였다.

Figure 3.4 Payload2 Design

최종적으로 과학 탑재체1,2에 대한 구조설계를 완성한 후 구조해석을 통하여 압력 용기의 압력 조건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조해석을 진행하기 위하여 과학 탑재 체1,2에 대한 Mesh를 Table 3.1와 같이 나누었으며, 실험 조건의 경우 과학 탑재체1은 압력용기 내부압력은 0.3atm으로 설정한 후 지구와 우주환경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 하 여야 하기 때문에 지구환경에는 외부 압력을 1atm으로 우주환경에서의 외부 압력은 0atm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과학 탑재체2 또한 내부 압력을 1atm으로 구성하였기 때문 에 외부 압력이 같은 1atm인 지구환경에 대한 구조해석은 생략하고 우주환경에 대한 구조해석을 진행하였다. 구조해석 결과 Figure 3.5, 3.6과 같이 등가응력을 구하였다. 구 조해석을 통하여 얻은 등가응력을 식(3.1.6)에 대입하여 안전여유율을 구하였으며, 과학

23

-탑재체1,2의 등가응력과 안전여유율을 Table. 3.2에 정리하였다.

 ×



  ≥  (3.1.6)

과학 탑재체1의 경우 최대 등가응력이 압력용기 광학창의 중심부분에서 발생하는 것 을 확인하였다. 광학창의 경우 BK7 재질로 허용응력 49MPa을 이용하여 안전여유율을 구하였다. 과학 탑재체2의 경우는 압력용기의 커버부분에서 최대 등가응력이 발생하였 으며, 재질의 경우는 알루미늄 6061-T6으로 허용응력은 276MPa을 이용 하여 등가응력 을 구하였다. 과학 탑재체1의 경우 지구환경에서는 22.17, 우주환경에서는 52.61의 안전 여유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과학 탑재체2의 경우는 우주환경에서 9.70의 안전여 유율을 확인 하여, 과학 탑재체1,2 모두 압력조건에 대하여 안전성을 확보한 것을 확인 하였다.

Table 3.1 Payload1,2 Mesh Property Payload 1

Nodes 224,965 Elements 122,246

Payload 2

Nodes 263,417 Elements 153,871

24

-(A) Result in Payload1 Analysis(Space)

(B) Result in Payload1 Analysis(Ground) Figure 3.5 Payload1 Analysis

25

-Figure 3.6 Payload2 Analysis(Space)

Table 3.2 Result in Payload1,2 Analysis Payload 1 (Space)

Max Equivalent Stress(MPa) 0.571 Margin of Safety (MOS) 52.61

Payload 1 (Ground)

Max Equivalent Stress(MPa) 1.321 Margin of Safety (MOS) 22.17

Payload 2 (Space)

Max Equivalent Stress(MPa) 16.128 Margin of Safety (MOS) 9.70

26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3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