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KICCE 유아기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NASA 의 Mission-X 프로그램이 모태가 되어 개발되었고, 「KICCE 초등연계 건강증진 프 로그램」으로 확장되어 개발되었다. NASA 의 Mission-X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해외 여러 나라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각 나라의 실정에 따라 크고 작은 변형을 거쳐 국가별로 정착되어가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를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들에서는 본 프로그램의 특색을 살려 각국의 우주관련 기구들이 운영하며 자연스럽게 과학활동과 연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대한민국에 서는 우리 연구소가 주관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기존 프로그램이 3학년 이 상을 대상으로 한 것을 유아 및 초등 저학년으로 확대 적용한 의의는 살릴 수 있었으나 산체활동을 과학영역으로의 접목은 상대적으로 미진하였다. 본 연구에

104

서 제시한 것처럼 전국의 국립과학관에서 이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과학적인 흥미를 살려 신체활동을 더욱 다양하게 강조할 수 있을 것으 로 본다.

특히 신체활동 및 건강증진 활동이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유아 및 아동 들에게 설득적으로 제시되고, 한편으로는 우주 및 우주인에 대한 관심을 통해 신체활동을 더욱 적극적인 호기심의 대상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경향신문(2017. 5. 15.). [문재인 정부 출범]아이들 “밖에 못 나가니 실내서라도 놀고 싶어요” 문 대통령 “체육관마다 공기정화장치 설치할게요.”

고성식·소위영(2015). 비만아동을 위한 보건소 운동프로그램의 실효성: 파일럿 스터디. 한국웰니스학회지, 10(3), 221-229.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2015). 2015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2015). 2015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2015).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초등통합)(제 2015-74호).

교육통계서비스 (2017) 유초중등 학급수. http://kess.kedi.re.kr/index 에서 [2017년 10월 20일 검색].

국립환경과학원(2016). 대기환경연보2015.

기상청 국가기후데이터센터(2017). 한반도기후통계 http://sts.kma.go.kr/ [2017 년 10월 20일 검색].

길혜지(2016). OECE 주요국의 체육교과 학습시간 비교. 교육정책포럼(2016. 10) 김길숙‧박원순‧송신영(2015) 유아기 건강증진 지원방안 연구: 신체 건강증진 프

로그램을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김길숙‧박진아‧최윤경‧임현정‧이세용(2016) 유아기 신체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I): 프로그램 효과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김봉서(2009). ‘즐거운 생활’ 신체활동 영역의 교육과정 운영과 개선방향. 석사학 위청구논문.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김태영·이상호(2008). 비만초등학생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참여가 혈중지질과 체력 요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7(2), 907-913.

내일신문 (2014. 5. 30.). 학교 세 곳중 한곳, 실내체육관 없어. http://m.naeil.

com/m_news_view.php?id_art=109375 에서 [2017년 10월 21일 인출].

106

대한비만학회(@017). 미래세대 건강관리를 위한 정책제언.

문화체육관광부 (2016). 2016년도 문화체육관광부 국고보조사업 현황.

민정원‧김길숙‧임현정‧송신영(2014) 유아기 신체건강 증진방안: 소아 비만 예방 을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박경애·김성수(2009). 초등학교 학생들의 음악줄넘기가 신체구성과 체력요인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25(4), 54-71.

박명선·홍성택·양광희(2015). 초등학생의 틈새신체활동 프로그램 참가에 따른 자 기인식과 신체적 자기개념 효과.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1(2), 57-68.

박상봉·손천택(2012). ‘즐거운 생활’ 교과의 내·외재적 분석에 따른 저학년 체육 교과 발전방향.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8(2), 257-271.

서문희·신나리‧김문정(2006) 지역사회 영유아 건강‧영양‧안전 지원 시범사업: 보 육시설을 중심으로. 육아정책개발센터.

심유진·김진순·지세민·손태용·황진아·정은정(2010). 초등학교 건강한 학교 만들기 사업에서 수행한 영양 및 신체상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영양학회 지, 43(3), 382-394.

엄우섭·장보원(2016). 초등체육수업에서 SPARK 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생의 체 육수업 만족도와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 27(1), 311-328.

위키백과 (2017). 20세기 폐교. https://ko.wikipedia.org/wiki/%EB%B6%84%EB%

A5%98:20%EC%84%B8%EA%B8%B0_%ED%8F%90%EA%B5%90에서 [2017년 10월 20일 검색].

윤양진·박정유(2009). 줄넘기 인증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이 초 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건강체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 학연구, 13(1), 133-151.

이광무·나광채(2002). 생활·식습관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비만아동의 체격과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8(1), 87-98.

이정림‧민정원‧조혜주(2014) 저소득층 영유아 및 임산‧수유부의 건강과 영양 지 원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임수진(2015).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수-학습방법 탐색: 1학년 표현활동을 중심으

로.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1(3). 99-114.

임은숙·고미자·강광순·한유정(2008). 튼튼이교실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비만아동 의 신체조성, 신체균형, 체력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전남 목 포시의 일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9(1), 17-31.

임종은(2005). 초등학교 저학년의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체육놀이 활동과 가정 체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체육연구, 15, 117-150.

임종은(2006). 초등학교 저학년의 사설 및 가정체육활동 실태조사. 한국사회체육 학회지, 27, 327-341.

장용규·이정택(2014). 초등학교 저학년 체육교과 분리에 대한 당위성 고찰. 한국 초등교육, 25(4), 129-147.

전종귀·이왕록·박희근·정준현·이영란·신동원·이경숙(2006). 복합 운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체 육과학연구, 23(1), 123-130.

전지애(2013). ‘즐거운 생활’ 수업은 얼마나 즐거운가?: ‘즐거운 생활’의 문제점 및 대안.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5(1), 183-192.

정진욱·권미애(2012). 현대무용프로그램이 여자초등학생의 신체조성, 체력 및 골 밀도 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30(3), 257-307.

조미혜·신기철(2010). 초등학교 저학년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한국 스포츠교육학회지, 17(4), 19-37.

최민성·김성곤(2012). 초등학교 ‘즐거운 생활’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개선 방 안.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8(2), 157-173.

티브로드-수원 (2017. 9. 12. 방송). 시사기획 화두 37회. 지곶동 초등학교 설립문제.

Demarest, S., Van Oyen, H., Roskam, A., Cox, B., Regidor, E., Mackenbach, J., & Kunst, A. (2014). Educational inequalities in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in 15 European countries,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4(2), 199–204.

Devaux, M. & Sassi, F. (2013). Social inequalities in obesity and overweight in 11 OECD countries,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3(3), 464 –469.

108

e-나라지표 (2017) 초중등 교육시설 현황, http://www.index.go.kr/potal/main/

EachDtlPageDetail.do?idx_cd=1538 에서 [2017년 10월 20일 검색].

Mackenbach, J. & McKee, M. (2013). A comparative analysis of health policy performance in 43 European countries,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3(2), 195-344.

O'Loughlin, J., Gray-Donald, K., Paradis, G., & Meshefedjian, G. (2000).

One-and two-year predictors of excess weight gain among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multiethnic, low-income, inner-city neighborhood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52(8), 739-746.

Sigmundova, D., Sigmund, E., Hamrik, Z., & Kalman, M. (2014). Trends of overweight and obesity,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ur in Czech schoolchildren: HBSC study,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4(2), 210–215.

Sothern, M. S., Hunter, S., Suskind, R. M., Brown, R., Udall Jr, J. N., &

Blecker, U. (1999). Motivating the obese child to move: the role of structured exercise in pediatric weight management. Southern Medical Journal, 92(6), 577-58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Global status report on noncommunicable diseases 2010. Geneva, retrieved from http://www.who.int/nmh/

publications/ncd_report2010/en/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Population-based approaches to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Geneva, retrieved from http://www.who.int/

dietphysicalactivity/childhood/approaches/en/

Child Health Improvement Policy Plan(II): Focusing on Diffusing the Plan

Wonsoon Park, Eun-Young Choi, Sangbong Park, Yoonkyung Choi

The problem of obesity in young children is serious.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obesity is increasingly correlated with lower education and income levels. It is pointed out that a decrease in physical activity is a major cause of obesity. Therefore, this study was planned to be implemented in three years to develop "KICCE early childhood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spread it. This year, we intend to diffuse the program so that the program can be use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cience museums.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1st and 2nd grade is composed of Korean language, Mathematics, Proper Life, Wise Life, Joyful Life, and Safety Life, and it lacks connection with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Domain of Nuri Curriculum. Therefore, in this study, KICCE health promotion program was reconstructed for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KICC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based on NASA's Mission-X program. Unlike the existing physical activity program, this program is composed of interesting programs through storytelling based on astronaut’s training. It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Nuri Curriculum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and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The KICC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designed to enable students to experience the movement, non-movement, and manipulation exercises, which are the basic movements of physical activity.

This study also constructed a physical activity program that can be operated by the science museum. This program aims to disseminate the

110

KICCE physical health program as part of a science museum program for young children including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operated by the science museum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program focusing on short-term experiential activities. Second, i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group size of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large group activities led by the teacher, small group activities led by the child, and a program to be executed by individual child. Third, we developed a video manual to explain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various applications, so that we can easily watch the videos i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physical activity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s insufficient.

First,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oes not include enough physical activity. Currently, elementary school curricula for 1st and 2nd grade do not have independent physical education subjects. First and secon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are growing physically active have a developmental desire for physical activity. Teachers, however, consider their pupils as objects of control rather than perceiving it as having a lot of energy. Children are thirsty for physical activity, but they are not enjoying enough physical activity due to the curriculum, limited space and constrained insufficient time.

Second, teacher training for physical activity is need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low understanding of physical activity needs and physical development of students, especially younger students. Therefo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specially lower grade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be provided with more opportunities for physical activity and athletic training.

Third, the kinds and quantity of the physical activity tools that each school has are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disseminate the basic tools for

physical activity to the total number of children.

Fourth, space is one of the major reasons of the lack of physical activity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First, the size of the playground in elementary school is small. The size of the existing elementary school playground is based on the number of students. However, despite the steady decline in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room, the number of classes has increased. Even though playground is used by classes, the regulation for playground sized is based on the number of students. Considering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change regulation should consider the size of the playground by the number of classes rather than by the number of students.

Second, the lack of space for physical activity is caused by the lack of indoor gymnasium. One third of schools in South Korea do not have gyms.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gymnasiums. Third, it is not an ideal place for physical activity, but inevitably it is necessary to perform physical activities in the classroo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election criterion for activities to use the classroom as a space for physical activity.

부록1. 초등학교 저학년 교수ㆍ학습 과정안

부록2.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 프로그램 동영상 예시

부록3. 연구 참여 안내 및 동의서

부록1. 초등학교 저학년 교수ㆍ학습 과정안

116

118

120

122

124

126

128

130

132

134

136

138

140

142

144

146

부록2.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 프로그램 동영상 예시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프로그램 동영상 1차시

제목 활동 안내 동영상

우주 비행사에 도전하기

1) 누워 팔다 리 들어올리 기

2) 옆으로 회 전 점프 후 균형 잡기

3) 10M 왕 복달리기

59) 튼튼한 심장 만들기

148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프로그램 동영상 2차시

제목 활동 안내 동영상

우주 기지로 돌아오기

4) 직선 모양 의 길 이동하 기

5) 원 모양의 길 이동하기

6) 지그재그 모양의 길 이 동하기

51) 우주 기 지로 돌아오 기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프로그램 동영상 3차시

제목 활동 안내 동영상

우주에서 물건 주고받기

7) 스카프 던 지고 받기

8) 둘이서 스 카프 던지고 받기

9) 공 던지고 받기

(64) 떨어지 는 스카프 잡 기

150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프로그램 동영상 4차시

제목 활동 안내 동영상

균형을 유지하며

화성 탐사하기

10) 제자리 에서 균형 잡 기

11) 선 따라 균형 잡고 이 동하기

56) 여러 가 지 균형 잡기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프로그램 동영상 5차시

제목 활동 안내 동영상

우주 비행을 위한 힘

기르기

12) 엎드려 팔꿈치로 버 티기

13) 쪼그려 앞으로 나란 히 하기

52) 스쿼트 자세

60) 윗몸 일 으키기

152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프로그램 동영상 6차시

제목 활동 안내 동영상

달 표면에서 점프하기

14) 제자리 에서 점프하 기

16) 움직이 는 줄 피해 점프하기

54) 줄 뛰어 넘기

55) 줄넘기 하기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프로그램 동영상 7차시

제목 활동 안내 동영상

금성에서 술래잡기

하기

17) 술래 피 하며 이동하 기

18) 둥지 뺐 기 게임

154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프로그램 동영상 8차시

제목 활동 안내 동영상

목성의 중력 극복하기

19) 벽 밀어 내기

20) 팔굽혀 펴기

53) 팔 힘 기르기

55) 줄넘기 하기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프로그램 동영상 9차시

제목 활동 안내 동영상

무중력 상태에서

정해진 곳으로 물체 보내기

21) 과녁에 콩 주머니 던 지기

22) 한 발로 서서 비석치 기

23) 한 발로 서 서서 공 던지고 두 발 로 서서 공받 기

24) 플라잉 디스크 던지 고 받기

156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프로그램 동영상 10차시

제목 활동 안내 동영상

무중력 상태에서 운동하기

25) 누워서 자전거 타기

26) 누워 다 리 들어 올려 뒤로 뻗기

27) 누워서 스카프 위로 던지고 받기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프로그램 동영상 11차시

제목 활동 안내 동영상

암석 옮기기

28) 줄 지어 공 옮기기

29) 원형 모 양으로 서서 공 이어주기

30) 공 대고 이동하기

158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프로그램 동영상 12차시

제목 활동 안내 동영상

우주 코스 여행하기

31) 콘 사이 를 빠르게 이 동하기

32) 제자리 에서 회전한 뒤 빠르게 이 동하기

66) 줄넘기 하면서 달리 기

67) 다리 힘 기르기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프로그램 동영상 13차시

제목 활동 안내 동영상

우주에서 동물처럼 이동하기

33) 곰처럼 걷기

34) 꽃게처 럼 걷기

35) 캥거루 점프

36) 토끼 점 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