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뇌졸중을 앓고

있는 만성질환자들을 대상으로영양표시 이용률과 영양교육과의 관련성 그리고

각각의 질병군별로 관심을 갖는 영양소에 대해 알아보았고 영양표시 이용

여부에 따라 인구사회학적 관련 변수와 건강행태에 차이가 있는지 또한 실제

영양소의 섭취량에 차이가 있었는지를 비교하였다.

만성질환자에서 영양표시를 읽는 비율은 10.4 % 였다. 초등학생 이상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2009 년 국민건강 영양조사 결과에서는 영양표시 이용률이 23.8%

였으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19 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21.9%로24)이는 식생활조절이 질병관리를 위해 중요하므로 영양표시 이용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성질환자에서 영양표시 이용률이 정상성인에 비해 크게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고혈압과 당뇨병 또는 고지혈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71.2%)이 질병이 없는 정상성인(59.9%)에 비해 높은 영양표시 이용률을

보이는 미국의 연구 15)나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비만을 갖고 있는 환자군이

정상성인에 비해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이나 이용과 식품의 영양소 확인을 더

많이 하는 것을 보여준 연구14) 와는 반대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만성질환자들의 영양표시 이용률이 낮은 이유로 만성질환자중 고령자가 많으며

우리나라 고령자에서 영양표시 이용률이 적음을 들 수 있다. 21,23,25)또한

고령자에서 영양표시 자체를 알지 못하는 못 하는 경우가 많으며24)그 이유로서

영양표시에 대한 홍보나 교육을 받을 기회가 부족21)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6

17

18

19

연구의 장점으로는 연구를 위해 잘 구성된 국가 표본자료를 이용하여 대표성을

띌 수 있으며 또한 병원에서 진단을 받아 본인이 만성질환자임을 인식하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각 질환 별로 관심영양소의 차이가 있는 지와 실제 섭취량의

차이를 처음 보여준 연구로 질병 조절을 위해 영양 관리가 중요한

만성질환자에서 현재 영양표시의 활용의 실태와 향후 영양표시 활용을 위해

개선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우리나라의 만성질환자들의 영양표시 이용률은 정상성인 보다도 낮았으며

질병군별로 관심영양소에 차이를 보였다. 관심영양소와 실제섭취항목의 차이는

보여주진 못했으나 영양표시 이용 여부와 올바른 식이가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에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특히 고령자를 대상으로 좀 더

적극적인 영양표시 이용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인과관계 확인을 위해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20

ABSTRACT

1) Background

Nutrition label reading is helpful for healthy diet. Nutrition label use and its

related factors have been studied in a lot of Korean articles, but their

research sample was general population not chronic disease patients. Thus,

this study is aimed to exploring them in chronic disease patients and

comparing nutrition intake according to nutrition label reading.

2) Methods

A total 3161 respondents aged ≥20 years from the 2008-2009 fo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IV)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had hypertension, hyperlipidemia, coronary

artery disease, diabetes and/or stroke and were interviewed their use of

nutrition label. Also, nutrition intake was estimated by 24-hour dietary

recalls.

3) Results

Chronic disease patients reported nutrition label use in 10.4%. Their

preference of first selected nutrients on reading the nutrition label were total

calories(25.6%), fat(24.7%), and cholesterol(23.6%).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tion label use were relatively younger age, women,

21

urban residence, higher education and family income, and high body mass

index. Also, the results revealed lower frequency of alcohol intake and

smoking. The nutrition label users showed lower carbohydrate consumption

in total (P=0.0238) as well as in both diabetes (P=0.011) and stroke group

(P=0.0156), lower sodium in the hypertension (P=0.0299) and CAD group

(P=0.0406), and lower total calories in the diabetes group. (P=0.0149)

4) Conclusions

Significantly lower rate of nutrition label use in the chronic disease patients

group was demonstrated in Korea, thus strategies need to be developed to

improve clinical application of nutrition label in chronic disease patients.

22

요약

1) 연구배경

식이조절은 만성질환의 치료의 한 방법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적절한 식이를

위한 영양표시의 유용성과 이용실태는 많이 알려져 있는데 한국에서는 주로 일

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자에서 영양표시

이용에 대한 실태와 관련인자 그리고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방법

2008년과 2009년의 4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한 단면연구이며 고혈압 또는

고지혈증, 심혈관계질환, 당뇨병, 뇌졸중을 갖고 있으며 영양관련 설문과 조사를

시행한 20세 이상 성인 31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질병군의 영양표시 이용

의 빈도 분석과 영양표시 이용관련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건강행태 변수의 확인

을 위해 회귀분석과 χ2 분석을 영양표시 이용에 따른 섭취량의 분석은 다변량선

형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3) 결과

만성질환자의 영양표시 이용률은 10.4%였으며 관심영양소는 열량(25.6%), 지방

(24.7%), 콜레스테롤(23.6%) 순서였다. 영양표시를 읽는 그룹은 상대적으로 나

이가 적고 여성과 도시거주자, 고학력자, 높은 1인당 가계수입의 비율이 높았으

며 음주와 흡연의 빈도는 낮고 높은 체질량지수를 보였다. 또한 고혈압군

(3875.35mg VS 4360.95mg, P=0.0299)과 심혈관계질환군(3038.30mg VS

23

4560.91mg, P=0.0406)에서는 나트륨 섭취량이 당뇨병군에서는 열량

(1493.32kcal vs 1706.41kcal, P=0.0149) 과 탄수화물 섭취량(266.70g vs

303.15g, P=0.011)이 뇌졸중군(226.31g vs 293.08g, P=0.0156)과 만성질환군

(278.14g vs 297.90g, P=0.0238)에서는 탄수화물 섭취량이 영양표시를 읽는 군

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4)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만성질환자들에서 영양표시 이용률이 낮으나 영양표시

사용이 올바른 식이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만성질환자의 영양표시

이용을 늘리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24

참고문헌

1) Hye-Kyung Park. Nutrition policy in South Korea. Asia Pac J ClinNutr

2008;17(S1):343-345.

2) Soowon Kim, Soojae Moon, and Barry M Popkin. The nutrition transition in

South Korea.Am J ClinNutr 2000;71:44–53.

3) Young –sook Park, Sook-Mee Son, Wha-Jae Lim, Sook-Bae Kim,

Yeon-Sun Chung.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intake by

gender and age.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1):1-12.

4)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Report

of the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 on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WHOTechnical Report Series 916.

Geneva: WHO; 2002.

5) Hu FB, Willett WC. Optimal diets for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JAMA. 2002;288(20):2569-78.

6) Hu FB, Stampfer MJ, Manson JE, Rimm E, Colditz GA, Rosner BA, et

al.Dietary fatintake and the risk of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N

Engl JMed 1997;337:1491-9.

7) Sung-Hee Park,Kwang-Soo Lee, Hyun-Young Park. Dietary carbohydrate

intake i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in Korean: Analysis

of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2010;139: 234-240.

25

8) Chobanian AV, Hill M.NationalHeart, Lung, and BloodInstituteWorkshop on

Sodium and BloodPressure: a criticalreview of

currentscientificevidence.Hypertension2000;35:858-863.

9) Hani Kang, Eun-Jung Shin, Hae-Na Kim, Kwon-Yong Eom, Kwang-Il

Kwon, Seo-Young Kim, et al. Food Nutrition Labeling(Processing Food,

Food Service Business) in Korea.Food Science and Industry

2011;44(1):21-27.

10) Kreuter MW, Brennan LK, Scharff DP, Lukwago SN.Do nutrition label

readers eat healthier diets? Behavioral correlates of adults' use of food

labels.Am J Prev Med. 1997;13(4):277-83.

11) Neuhouser ML, Kristal AR, Patterson RE.Use of food nutrition labels is

associated with lower fat intake.J Am Diet Assoc. 1999;99(1):45-53.

12) Temple JL, Johnson K, Recupero K, Suders H.Nutrition labels decrease

energy intake in adults consuming lunch in the laboratory.J Am Diet Assoc.

2010;110(7):1094-7.

13) Variyam JN.Do nutrition labels improve dietary outcomes?.Health Econ.

2008;17(6):695-708.

14) Lewis JE, Arheart KL, LeBlanc WG, Fleming LE, Lee DJ, Davila EP, et al.

Food label use and awareness of nutritional information and

recommendations among persons with chronic disease.Am J Clin Nutr.

2009;90(5):1351-7.

15) Post RE, Mainous AG 3rd, Diaz VA, Matheson EM, Everett CJ.Use of the

nutrition facts label in chronic disease management: results from the

26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J Am Diet Assoc.

2010;110(4):628-32.

16) Hyon SM, Kim JW. Improvementof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by nutritionlabeling education. Korean J Community Nutr

2007;12:168-177.

17) Cho SH, Yu HH.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nutrition label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7;12:519-533.

18) Kyoung-Ae Lee, Hyun-Jin Lee, Eunju Park. The effect of use of nutrition

labelling on knowledge and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ling, and

awareness of nutrition labelling usefulness with among college students.J

Korean Soc Food SciNutr 2010;39(2):253-266.

19) Lee-Hye Young, Kim-Mi Kyung.Dietary behavioral correlates of nutrition

label use in koreanwomen. Korean J Nutr 2008; 41(8): 839-850.

20) Chang SO. A study on the perception, use, and demand of housewife-

consumers for nutritionlabel. Korean J Nutr 2000;33:763-773.

21) Na-Young Kim, Jeong-Sook Lee. A study on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food-nutrition labeling by age in busan residents.J Korean Soc Food

SciNutr2009;38(12):1801-1810.

22) Kim Sung-Yong, LeeJung-Hee. Effect of nutrition labeling use on

consumers’ food choice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010;21(3):107-128.

23) MyoSung Kim, JungSoon Kim, JungOk Yu. Factors relating to use of Food

Labels among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Korean J Health

27

EducPromot 2012;29(5):1-12.

24) Kang HT, Shim JY, Lee YJ, Linton JA, Park BJ, Lee HR.Reading nutrition

labels is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The 2007-2008 Korean NHANES.Nutr Metab Cardiovasc Dis.

2013;23(9):876-82.

25)

KoreaHealthStatistics2009:KoreaNationalHealthandNutritionExaminationS

urvey(KNHANESIV-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6) Chung Jayong, Kim Mi Jin. Using and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s

and related factors among female adults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7;12(4):417-425.

27) SarahCampos, Juliana Doxey, David Hammond. Nutrition labels on

pre-packaged foods: a systematic review.Public Health Nutrition; 14(8):1496–

1506.

28) Ollberding NJ, Wolf RL, Contento I.Food label use and its relation to

dietary intake among US adults.J Am Diet Assoc. 2010;110(8):1233-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