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2. 1한천유역

현장관측 결과를 제외하고 2012년 4월 21일 발생한 사상에 대하여 제2동산교에 위치한 고정식 수위-유속 관측기기의 유량관측 결과를 이용하여 모델의 결과와 비 교․분석하였다.

2012년 4월 21일에 발생한 호우 사상은 무강우 상태에서 발생한 강우로 인하여 유출이 발생하였다.유출은 120mm의 유역평균 강우량이 발생하여 오전 7시경에 시 작되었으며,각 지점별로 제주 45.5mm,아라 101.5mm,어리목 52mm,진달래밭 290.5mm,윗세오름 236mm가 발생하여 유출이 시작되었다.유출지속시간은 22시간, 첨두유량까지 도달시간은 4시간이었으나, 강우의 영향으로 2차 첨두유량(139.55

)이 발생하였다(Fig.3.11).오후 2시경에 강우가 종료되면서 유출수문곡선은 하 강하였으며 4월 22일 오전 5시에 유출은 종료되었다.

Fig.3.11FlooddischargehydrographofheavyrainfallinApril2011(2nd Dongsanbridge-stationary)

2. 2. 2외도천 유역

외도천 유역의 최종 출구지점에 위치한 외도 정수장의 고정식 수위-유속 관측자 료를 이용하여 무강우 이후 강우-유출 사상은 2012년 4월 21일 집중호우,선행강우 이우 강우-유출 사상은 태풍 “카눈”으로 선정하여 모델의 결과와 비교․분석하였 다.

2012년 4월 21일 집중호우로 인하여 외도천 유역에서는 오전 11시경에 유출이 시 작되었다.유출이 시작되기 전까지 유역평균 강우량 133.0mm가 발생하였으며,지점 별로 제주 61.0mm,유수암 77.0mm,어리목 120.5mm,윗세오름 309.5mm가 발생하 였다.유출이 시작되기 전 오전 7시부터 시간당 14.26~ 34.20mm의 강우가 오후 4 시까지 집중되었으며,오후 6시에 강우는 종료되었다.유출지속시간은 20시간,첨두

유량까지 도달시간은 5시간으로 분석되었다.외도천 외도정수장에 설치된 고정식 Kalesto로 홍수유출 수문곡선을 도출한 결과는 Fig 3.12와 같다.첨두유량은 오후 3시경에 156.66 으로 관측되었으며,10분 단위로 관측되는 자료지만 많은 결측 치를 포함하고 있었다.

Fig.3.12FlooddischargehydrographofheavyrainfallinApril2011(Oaedo waterpurificationplant-stationary)

선행강우 이후 강우-유출 사상에 대하여 2012년 7호 태풍 “카눈”에 대하여 관측 자료를 구축하였다.태풍 “카눈”발생 전 유역 내 71.98mm의 5일 선행강우가 존재 하였으며,103.2mm의 강우로 유출이 시작되었다.오전 7시부터 시간당 31.42 ~ 11.66mm의 강우가 오전 10시까지 발생하였으며,강우가 감소하다가 오후 4시경에 부터 점차 증가하여 유출수문곡선이 상승하였다.유출지속시간은 20시간,첨두유량 도달시간은 3시간으로 분석되었다.고정식 Kalesto로 홍수유출 수문곡선을 도출한 결과는 Fig3.13와 같으며,첨두 유량은 오후 9시 경에 147.15 로 관측되었다.

Fig.3.13Flooddischargehydrographoftyphoon"Khanun"in2012(Oaedowater purificationplant-stationary)

한천과 외도천 유역의 6개의 호우 사상을 이용하여 유출량을 관측한 결과 유출 지속시간은 20~26시간,첨두유량 도달시간은 3~9시간으로 분석되었다.유출 시작 시점에서의 누적강우량을 분석한 결과 무강우 이후 강우-유출 사상은 120.0~

133.0mm,선행강우 이후 강우-유출 사상은 98.6~105.3mm로 나타났다.선행강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평균적으로 약 18%의 강우량이 추가로 발생하여야 유출이 시작되었다.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보다 많은 사상의 자료를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 하여야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적용된 강우,손실,유역추적매개변수,단 위도 매개변수 조합의 결과를 적용하여 산정된 유출량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다 지점에서 현장 관측한 자료를 최대한 이용하였으며,그 외 사상에 대하여는 제주도 에서 운영하는 1지점 Kalesto자료를 이용하였다.1지점에서 관측하는 자료는 태풍 및 집중호우 시 무인 실시간 유량 관측이 가능해 수위 관측만으로 수위-유량관계곡 선을 이용한 유량 산정이 어려운 제주도 하천의 특성을 고려할 때 적합한 방법이 다.그러나 1개 지점의 수위-유속을 측정하여 유량 산정에 오차가 발생하는 원인이 되므로 향후 관측자료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는 다지점 관측자료를 확보하여 1지 점-다지점 관측자료의 보정식을 개발하여야 한다.

Ⅳ.유출량 산정 모형의 분석 및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