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별설교의 중요성

문서에서 요한복음의 고별설교 연구 (페이지 39-42)

세 부분으로 구성된 고별설교는 그 내용이 뚜렷한 문학적 주제의 관련성을 갖는 다. 고별설교 세 부분에는 다음과 같은 반복귀가 나타난다. 보혜사와 진리의 영(14:

16, 17, 26; 15: 26; 16: 7-15), 예수와 아버지와의 관계(14: 6, 7, 7, 28; 15: 10, 23, 24; 16: 15), 그의 이름으로 하는 기도에 대하여(14: 13, 14; 16: 23, 24, 26), 기쁨(14:

28; 15: 11; 16: 22, 24), 나는 너희에게 이것들을 말했다 와 그 변형들(14: 5, 29;

15: 11; 16: 1, 4, 6, 25, 33) 이러한 공통된 주제와 상이한 형식은 내용상 동일한 배 경을 내포하고 전개됨을 보여준다65). 이는 제 2, 3 고별설교가 제 1 고별설교를 기 초하여 전개됨을 보여준다66).

또한 제 1 고별설교와 제 3 고별설교에는 보혜사와 진리의 영이 사용되고 회상 을 통한 믿음의 예고주제(14: 29; 16: 4a), 예수의 말씀과 계명의 강조(13: 34; 14:

15, 21, 23, 24; 15: 12, 17), 계명과 사랑의 주제(14: 15, 21-24; 15: 8-10), 순종과 보 호(13: 34f; 14: 21, 27; 15: 1-7) 주제는 공통된다67). 특히 제 1 고별설교 제 3 고별 설교는 14: 18에 나타난 제자들의 좌절을 강조함에 있어 밀접한 주제적 연결성을 보여준다. 제 1 고별설교에서 떠나는 예수를 보혜사와 진리의 영이 대신하는 방식 을 강조하는데, 제 3 고별설교에서는 예수의 떠남으로 인한 좌절된 경험이(16: 5, 16, 28)강조된다.

결국 제 3 고별설교에서는 베드로의 부인을 채택하여(13:38) 제자들이 배신할 것을 예고한다. 즉 새로운 위기에서 제 3 고별설교는 제 1 고별설교에 나타난 주제, 즉 일시적인 결별(13: 33; 14: 19; 16: 1)을 알리고 위로의 약속(16: 6, 20, 22, 23)을 강 조한다68).

예수의 새로운 형태의 현존과 세상에 대한 승리는 위로를 가져온다. 그날에 모든 것은 변할 것이다69).

이 연관성은 제 3 고별설교가 제 1 고별설교를 근거로 발전시켜 가고 있음을 보여

65. 이상근, 「요한복음」(서울: 예장총회교육부, 1985), 267.

66. J. Painter, "Glimpses of the Johannine Community in the Farewell Discourse," ABR 28 (1980): 21-38.

67) Ibid.

68. 한종호, “요한복음에 나타난 예수의 고별설교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서울신학대학 신학대학원, 1990), 15.

69. J. Painter, "The Farewell Discourse and the History of Johannine Christianity,"

NTS 27(1900): 530.

준다. 제 1 고별설교가 제자들의 좌절감을 극복하는 방식을 보여주지만, 제 3 고별 설교는 믿지 않는 세상을 극복함을 보여주고 있다는데서 그것을 넘어서고 있다(16:

8-11, 33f). 또한 제 2 고별설교와 제 3 고별설교가 제 1 고별설교와는 공통되지 않 다는 것을 제 2, 3 고별설교가 제 1 고별설교를 근거로 전개됨을 보여준다70).

정리하면 이들 고별설교들은 각기 다른 삶의 정황에서, 이들 고별 설교들이 연속 적으로 전개되어졌고, 전통적 자료를 새로운 정황에 맞게 재구성함으로써 확정되었 음을 보여준다71).

리히터는 이처럼 고별설교가 보여주는 변이에 대해서 각 고별설교의 신학적 차이 로 간주하고 있다. 제 1 고별설교와 이후 고별설교들과의 신학적 차이를, 제 1 고별 설교는 기독론적, 구원론적 주제가 지배적인데, 외부의 공격에 대한 변증과 공동체 신자들의 믿음을 강화시키기 위해 예수가 메시아라는 신앙을 강조하는 변증적, 고 백적이며, 제 2, 3 고별설교는 윤리적 권면의 주제로 제자들의 행위의 기준으로 사 랑과 순종의 주제가 나타난다고 보았다.72)

베커는 고별설교의 구조와 신학적 경향, 삶의 정황을 밀접히 통합시켜 분석한 다. 제 1 고별설교를 원기자의 저작으로 보고 원 기자의 신학을 그 후 편집자들이 제 2, 3 고별설교에서 강조 점을 변화시켰다고 보았다.73) 즉 제 1 고별설교에서 예 수의 현존을 강조했던 기독론적 관점을 후에 제 2, 3 고별설교에서 공동체의 보전 에 관심 하여 교회론 적으로 중심점을 옮겨갔다고 본다.

고별설교의 신학적 주제는 요한 공동체가 타 공동체들과 대립, 갈등, 극복의 과

70. 윤경문, “요한복음서 고별설교의 하나됨 주제”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연 합신학대학원, 1989), 18.

71. Painter는 특히 보혜사, 진리의 영 전승이 재구성되는 핵심자료로 보고 있다.

72. G. Richter, “Die Dentung des Kreuzestodes Jesu in der Leidensgeschichte des Johannesevangeliums(Jn 13-19)," Bibel und Leben 9(1986): 21-23. quoted in B. E.

Brown,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Ⅱ, 588.

73. J. Becker, "Die Abschiedsreden Jesu im Johnnesevangelium," ZNW 59 (1970): 244.

정 속에서 보여주는 요한 공동체의 고백적이며 변증 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고별설교의 전개가 보여주는 변이나 발전은 단순히 신학적 관점의 차 이 뿐 아니라 요한 공동체의 역사적 발전단계에서 각기 다른 경험의 요구를 반영하 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Ⅲ. 고별설교의 내용분석

문서에서 요한복음의 고별설교 연구 (페이지 39-4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