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흐름도

문서에서 차 례 (페이지 129-200)

1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안내

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방향

선택과목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학생의 진로 및 적성에 따른 학업 설계 지도가 이루어지며 학생이 희망하는 과목 이수를 최대한 보장하는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운영

진로 및 학업 설계 상담을 내실화하고 과목의 선택과 이수가 진로・적성, 학업 역량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 진로·학업 설계 지도

선택과목의 수업을 개선하고 수업과 연계한 과정 중심 평가를 활성화하며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를 통한 학생 맞춤형 책임 지도 강화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교사의 역할 변화 및 교사, 학생, 학부모 간의 협력적 문화 형성과 학생의 자율·책임 문화 조성 등 학교 문화 및 운영 혁신

다양한 형태의 교과 수업과 에듀테크 기술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가능한 학습 공간과 학생 자율 활동 및 휴식 등이 가능한 지원·공용 공간 등을 조성

학생선택형 교육과정 운영, 맞춤형 학습 관리 지원 등의 과제로 3년간 연구학교 운영

나.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내용

표 Ⅰ-1-1 2022학년도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중점 운영 과제

구분 중점 운영 과제 비고

준비 단계

· 학교 규칙, 교육과정 편성 규정, 학업성적관리규정 등 정비

· 교육과정 전담 부서 설치

· 교육과정 이수 지도팀 구성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운영

· 선택과목 안내

· 선택과목 수요조사 및 수강신청 대상 과목 확정

· 수강신청, 다음 년도 교육과정 확정

진로·학업 설계 지도

· 진로 및 학업상담 내실화

· 학업 설계 지도 강화

· 진로집중학기제 운영을 통한 고1 학사운영 구안

학생 수업 및 평가 내실화

· 선택과목 수업 개선

· 온라인 활용 수업 내실화 및 활성화

· 과정 중심 평가 활성화 및 학생부 기재 내실화

· 성취평가 내실화

· 학생 맞춤형 책임 지도 강화(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학교 문화 및 운영 혁신

· 교사 역할 변화

· 협력적 문화 형성

· 학생 자율 책임 문화 조성

· 온라인 활용 학교 운영

학점제형 학교공간 조성 · 다양한 학습 공간 조성

· 홈베이스 및 도서실 활용

공간 사업 참여 학교

자율 주제

· 학교 자율 주제

· 시도 자율 주제

· 도서산간 지역에서의 학점제형 학사 운영 사례 해당지역

출처 교육부(2022)

(1) 준비 단계

v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운영, 진로 및 학업 설계지도, 수업 개선 및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운영 등 고교 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운영을 위한 여건 조성

※ 학교 내부 규정 정비, 부서 및 팀 구성 등 학교 조직 정비 등

(교육과정 규정 마련) 교과협의회, 교육과정위원회 등 의견수렴과 협의를 통해 교육과정 자체 규정 마련 및 교사·학생·학부모 대상 사전 안내

소인수 과목 개설 기준, 수강신청 정정 기간 및 절차, 공강 시간 활용 방안 등

(학교 내부 규정 정비) “고교학점제 단계적 이행 계획”(’21.8)에 따른 고교학점제 요소의 단계적 적용을 위한 학교 내부 규정 정비

2023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되는 수업량 적정화(204단위 → 192학점),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등 / 학교 규칙, 교육과정 편성 규정, 학업성적관리규정 등 정비

(교육과정 전담 부서 조직) 부장, 진로·학업 설계 지도 교사, 행정 지원 인력 등으로 구성된 교육과정 전담 부서를 설치하여 교육과정 제반 업무 담당

교육과정 편성 총괄, 교육과정·선택과목 연수 및 지도, 공동교육과정 운영·관리, 선택과목 수요 조사, 수강신청 및 시간표 작성 등

(교육과정 이수 지도팀 구성) 교육과정 이수 지도팀을 구성하여 진로·학업 설계 지도 및 이와 연계한 교육과정 이수 지도 총괄

교육과정 이수 지도팀 운영 방안 예시

■ (역할) 진로·학업 설계 지도 및 교육과정 이수 지도 총괄

■ (구성) 교육과정부장, 수석교사, 진로전담교사, 담임, 교과부장 등 학교 특성에 따라 구성

■ (내용) 학생 맞춤형 진로·학업 설계 지원 방안(계획) 수립 및 운영 - 학생의 진로·적성 탐색 지원 및 상담

- 진로집중학기제 등 고1 학사운영 방안 수립 및 운영

- 진로 연계 3개년 학업 설계 상담·지도(과목 이수 계획, 학업계획서 작성 등)

- 3개년 교육과정 이수 과정 상담·관리(예: 진로·선택과목 변경 상담, 학업성취 정도에 따른 미이수 예방 상담, 교육과정 이수 조건 충족 확인 등)

(2)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운영

v 학생 진로 및 적성, 수요를 기반으로 학생 희망에 따른 과목 개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운영

<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 절차 예시 >

1 2 3 4 5 6

선택과목

안내 진로·학업 설계지도

선택과목 수요조사

수강

신청 교육과정

확정

개인별 시간표에 따른 선택과목 수업 수강신청

대상 과목 확정

(선택과목 안내) 교육과정박람회, 상담, 안내서 등을 통해 선택과목의 성격, 내용, 위계, 이수경로, 연계 진로 등에 대하여 충실하게 안내

교과별 균형있는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생들을 직접 상담을 하는 담임, 교과 교사 등을 대상으로 사전 연수 실시

(진로·학업 설계 지도) 학생별 상담을 통해 진로·적성 탐색 및 3개년간의 과목 이수 경로 및 순서, 이수 시기 등 진로·학업 설계 지도

(선택과목 수요조사) 수강신청 대상 과목 선정을 위해 전체 선택과목에 대한 학생 수요조사 실시(학교 여건에 따라 범위 결정)

(수강신청) 수요조사 결과, 학교 자체 규정에 따라 수강신청 대상 과목을 확정하고, 실제 수강 과목 직접 선택 및 개인별 시간표 작성

교수학습계획서(Syllabus) 제공(과목 성격 및 내용, 수업·평가 계획, 과목 이수기준 등)

(교육과정 확정) 수강신청 결과를 바탕으로 최대한 학교 내 다양한 과목 개설, 필요 시 공동교육과정·지역 연계 등을 통해 학생 희망 과목 이수 보장

(개인별 시간표에 따른 선택과목 수업) 블록타임제·무학년 수업 등 선택과목별 이동 수업 운영, 공강 발생 시 자기주도적 학습 지원

(3) 진로·학업 설계 지도

v 진로 및 적성 탐색, 진로와 연계한 학업계획서 작성, 이수가 필요한 과목 안내 및 이수 지도 등 진로·학업 설계 지도 내실화

(진로 및 적성 탐색) 진로·적성 검사, 상담, 특강, 멘토링, 지역사회 연계 활동 등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여 학생 진로·적성 탐색 지원

(체계적 학업 설계 지도) 과목 선택·이수가 학생 진로 및 적성과 연계될 수 있도록 담임, 교육과정 이수 지도팀 등을 통한 체계적 지도

(진로집중학기제 운영) 학생들의 진로·학업 설계를 지원하기 위해 교육과정 편성, 진로 프로그램 제공 등 고1 진로집중학기제 운영

(예) 진로와 직업 과목 편성, 진로 연계 수업, 창의적 체험활동(자율, 진로, 동아리 활동)과 연계한 진로 탐색 및 설계 지원 프로그램, 또래 멘토링 활동 등

고1 진로집중학기제 운영 예시

■ (교과 시간 연계) 교과 교사에 의한 해당 교과의 선택과목·교과교육과정의 특성 등 안내, 진로 연계 학생 참여 중심 수업 활동

■ (진로와 직업 또는 창체 진로 활동) 진로교육 일반, 진로·적성 탐색 활동, 교육과정 전반적 안내, 수요조사·

수강신청 실제적 지도 등

■ (창체 자율활동) 담임교사에 의한 학업 설계 밀착 상담·지도, 교육과정박람회 등

■ (창체 동아리활동) 학생 진로·적성별 동아리 활동, 지역사회 연계 활동 등

(4) 학생 수업 및 평가 내실화

v 선택과목 수업을 내실화하고, 과정 중심 평가 확대,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등 고교학점제 전면 적용에 대비한 책임 교육 실시

(선택과목 수업 개선) 학생 수요 및 과목 개설 취지를 반영한 수업 설계, 주제 중심 수업·교과 융합·온라인 활용 등 선택과목 수업 개선

(과정 중심 평가) 과정 중심 평가를 강화하고, 진로에 따른 과목 수강 및 과정 중심 평가 결과 등 학생 성장 과정을 학생부에 충실히 기재

(성취평가 내실화)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등을 통한 평가 전문성을 함양하고, 평가 계획 사전 안내 등을 통한 평가 타당도 및 신뢰성 확보

(최소 성취수준 보장) 미도달 예상 학생에 대한 맞춤형 학습지도를 실시하고, 미도달 학생에 대해서는 보충 학습 기회 제공

대상 교과 및 학생 선정, 교과별 최소 성취수준 설정, 미도달 예방 학습 및 미도달 보충 학습 프로그램 운영 등 연간 운영 계획 마련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예시

시기 단계별 주요 내용 예시

학기 시작 전

[준비단계] 수업 및 평가 계획

∙ 교과협의회를 통한 과목별 최소 성취수준 설정

※ ’23년부터의 공통과목(국,수,영)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운영에 대비하여 공통과목 (국,수, 영)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학교 여건에 따라 그 외 공통 과목 및 선택과목에 대한 최소 성취 수준 보장 지도 운영 계획을 수립

∙ 과목별 수업 및 평가 계획 수립 ※ 학업성적관리위원회

학기 초

[1단계] 미도달 예상 학생 파악

∙ 최소 성취수준 미도달 예상 학생 조기 발견(진단평가 등)

∙ 정상 이수를 위한 선제적 지도(상담, 맞춤형 수업 지도 등)

학기 중

[2단계] 미도달 예상 학생 지도

∙ 미도달 예상 학생의 과목 이수를 위한 수업·평가 다양화

∙ 지속적 학업 상담 및 컨설팅 진행

∙ 미도달 예방 지도(과제, 보충, 방과후학교, 학습동아리 등)

< (참고) 미도달 예방 방안 예시 >

■ (사전 고지)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에 대한 사전 고지(교수학습계획서, 가정통신문 등) ■ (제공 유형) 온라인 강의, 학교 내 별도 프로그램, 학생별 맞춤 과제

■ (제공 시기) 학기 중

학기 말

[3단계] 미도달 학생 지도

∙ 학기말 평가 후 미도달 학생 파악

※ 학업성적관리위원회를 통해 대상자 확정 및 통보

∙ 최소 성취수준 도달을 위한 보충 지도 프로그램 운영

∙ 새 학기 시작 전 프로그램 이수 여부 확정 및 결과 안내 ※ 학업성적관리위원회를 통해 이수 여부 확정

2025 미이수 도입 방안

◦ (과목 이수기준) 과목출석률(수업횟수의 2/3 이상 출석)과 학업성취율(최소 40% 이상)

◦ (미이수 도입) 과목 이수기준 충족 시 학점 취득, 미이수자 발생 시 보충이수 지원 ※ 단,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해서는 과목 이수기준을 달리 적용할 수 있도록 허용

<현행>

성취율 성취도

90%이상 A

80%이상~ 90% 미만 B 70% 이상 ~ 80%미만 C 60% 이상~ 70% 미만 D

60% 미만 E

<향후(’25~)>

성취율 성취도

90%이상 A

80%이상 ~ 90% 미만 B 70% 이상 ~ 80%미만 C 60% 이상~ 70% 미만 D

40% 이상~ 60%미만 E ↑이수

40% 미만 ↓미이수

- 학교에서는 진단평가, 학습관리 등 미이수 예방에 중점을 두되, 미이수가 발생한 경우 보충이수* 지원을 원칙으로 하되, 대체이수도 가능

* 별도 과제 수행, 보충 과정 제공 등 본 과목의 내용이나 수업량을 축소하여 수강하는 방식(대학과 같이 미이수 과목을 다음 학기나 학년도에 수강하는 재이수 방식은 장기적 도입 검토)

- 보충이수는 학업결손 보완 뿐 아니라 학습동기 부여 등 정서적 지원까지 고려하여 운영, 학교·교육(지원)청 단위·온라인 활용 등 다양한 방법 가능

※ 기초학력 진단, 상담, 독서교육, 인성 함양 등이 결합된 최소 성취수준 지원과정 운영(연구학교 사례) - 보충이수 후 부여되는 성적에 상한을 설정하고(성취도 E), 보충이수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해당 과목

미이수(I, Incomplete의 약자) 처리

출처 교육부(2021a)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운영 방안

◦ (운영 내용) 학점 이수 기준인 학업성취율 40%(’25 적용)를 기준으로 하여, 미도달 예방 프로그램 및 해당 기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 대상 보충과정 운영

◦ (운영 과목) 학생들의 기초역량 함양을 위해 선택과목 이수 전에 수강하는 국어·수학·영어 공통과목에 대해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강화

※ (’23) 공통과목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 (’25) 전 과목 미이수(I학점) 도입

출처 교육부(2021b)

문서에서 차 례 (페이지 129-20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