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계량분석

문서에서 청년 실업의 현황과 원인분석 (페이지 32-36)

III. 청년실업 원인에 대한 계량분석

3. 계량분석

본 절에서는 신규 졸업자를 중심으로 앞서 언급한 청년실업의 제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계량분석을 통하여 살펴본다. 특 히 최종학교를 마친 후 첫 직장에 취업할 때까지의 기간(이후 미취업 기간)을 종속변수로 그리고 미취업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을 설 명변수로 한 생존분석(survival analysis)을 활용하여 청년층이 실업상 태를 벗어날 수 있는 확률(hazard rate)에 이들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는 <표 III-2>의 변수들과 경 제성장률 및 임금증가율을 차례로 고려하였다. 하지만 본 계량분석에 서는 <표 III-3>의 제 변수를 사용할 수가 없었는데 이는 이들 변수의 결측치가 너무 많았고 또한 변수들 간의 수치가 일정치 않기 때문이 다. 이렇게 하여 분석한 결과가 <표 III-4>에 나타나고 있다. 먼저 (모 델 1)과 (모델 2)는 연령, 성별, 학력, 졸업연도, 직업교육, 구직활동, 성 장지역 및 가구주 여부에 대한 결과이다. 보다시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실업에서 벗어날 확률이 증가하고 여성이 상대적으로 남성보다 실업 탈출률이 크게 나타나고 있어 이는 앞에서 논의한 바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학력은 학력이 높을수록 장기간 실업상태에 머물 확률 이 높게 나타나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오고 있다. 또한 직업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을수록 실업탈출률이 높게 나타나 앞의 논의와 다소 배치되는 듯하나 본 계량분석은 타 조건을 통제한 후 순수 직업 교육의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그리고 구직활동을 하되 가능한 한 비 공식적인 방법을 택할수록 실업에서의 탈출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졸업 연도별로 살펴보면 경제위기 이후의 졸업생이 이전 의 졸업생에 비해 매우 유의하게 실업탈출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경 제여건 상 일자리가 줄어듦에 따라 자연 직장을 탐색할 겨를 없이 일 자리 제의가 오는 대로 취업하기 때문이라고 해석되어 진다. 또한 본 인이 가구원이 경우가 실업탈출률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있는데 이는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가구 구성원의 소득에 의존하는 캉가루족이 양 상 된다는 것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성장지별로는 예상을 뒤엎고 서울에 비해 도가 그리고 광역시에서 일자리를 보다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유의성이 떨어지고 있다. (모델 3)은 (모델 1)과 (모델 2)에 수요측면을 반영키 위해 졸업연도의 경제성장률 을 추가하여 추정한 결과 앞의 모델과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 모델의 초점은 경제성장률이 청년실업에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는 지를 보는 것인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오고 있지 않다. (모델 4)는 노동시장의 경직성을 반영하기 위해 졸업연도의 임금 증가율이 청년실 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으나 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는 않게 나오고 있다.

34

-<표 Ⅲ-4> 계량분석 결과

모델1 모델2 모델3 모델4

연 령 0.039(0.012)*** 0.420(0.130)*** 0.428(0.133)*** 0.423(0.134)***

연령X 연령 - -.0.008(0.003)*** -0.008(0.003)*** -0.008(0.003)***

성별 남성 -0.283(0.056)*** -0.275(0.056)*** -0.276(0.056)*** -0.275(0.056)***

학력 전문대 졸업 -0.051(0.073) -0.103(0.075) -0.105(0.076) -0.102(0.076) 대졸 이상 -0.072(0.081) -0.126(0.083) -0.127(0.083) -0.124(0.086)

졸업년도 1998년

이후졸업 0.295(0.078)*** 0.354(0.080)*** 0.361(0.084)*** 0.358(0.087)***

직업훈련

경험여부 경험있다 0.201(0.063)*** 0.196(0.063)*** 0.196(0.063)*** 0.196(0.063)***

구직활동 여부

구직활동경험

(공식) 0.111(0.102) 0.107(0.102) 0.106(0.102) 0.106(0.102) 구직활동경험

(비공식) 0.225(0.058)*** 0.225(0.058)*** 0.225(0.058)*** 0.224(0.058)***

성장지

서울이외

광역시 0.052(0.073) 0.046(0.073) 0.046(0.073) 0.046(0.073) 도지역 0.051(0.067) 0.038(0.067) 0.038(0.067) 0.038(0.067) 가구원

여부 가구원 -0.243(0.088)*** -0.259(0.088)*** -0.260(0.088)*** -0.260(0.088)***

경제성장률 - - 0.001(0.006)

-임금증가율 - - - -0.001(0.006)

실제 고학력 청년실업이 사회적으로 문제시 된 시기는 경제위기 이 후인 점을 감안하여 1998년을 포함한 이후 졸업자만을 대상으로 계량 분석을 해보면 <표 III-5>와 같은 결과를 얻게 된다. (모델 1)은 연령만 을 제외하고는 <표 III-4>의 (모델1)과 매우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모델 2)은 성별을 제외하고는 <표 III-4>의 (모델 2)와 다를 바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매우 흥미 있는 점 (모델 3)인데 <표 III-4>

의 (모델 3)와는 달리 경제성장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로 나왔다 는 점이다. 즉 경제위기 이후 졸업생의 취업난은 경제 악화가 큰 영향 을 미쳤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모델 4)도 또한 흥미로운 결과 를 보이고 있는데 임금 증가율이 청년실업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즉 노동시장에서의 insider 특히 노동조합들에 의한 임금상승 압력은 기업들의 신규채용을 기피하게 하 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 로 경제위기 이후의 청년실업은 개개인이 일자리를 찾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지만 노조로 인한 노동시장의 경직성에 따른 일자리 감소의 영 향1 8)이 크다고 볼 수 있다.

<표 Ⅲ-5> 계량분석 결과(1998년 이후 졸업자만 대상)

모델1 모델2 모델3 모델4

연 령 0.036(0.024) 0.699(0.261)*** 0.748(0.264)*** 0.736(0.263)***

연령X 연령 - -0.014(0.006)*** -0.015(0.006)*** -0.015(0.006)***

성별 남성 -0.176(0.095)* -0.122(0.097) -0.121(0.097) -0.123(0.097) 학력 전문대 졸업 -0.115(0.143) -0.088(0.161) -0.108(0.161) -0.105(0.161) 대졸 이상 -0.061(0.169) -0.111(0.179) -0.127(0.178) -0.122(0.178)

졸업년도 1998년

이후졸업 -0.099(0.054)* -0.068(0.055) 0.184(0.082)** -0.159(0.069)**

직업훈련

경험여부 경험있다 0.267(0.107)** 0.240(0.107)** 0.244(0.107)** 0.243(0.107)**

구직활동 여부

구직활동경험

(공식) 0.083(0.157) 0.081(0.156) 0.045(0.158) 0.045(0.157) 구직활동경험

(비공식) 0.237(0.101)** 0.263(0.101)*** 0.260(0.101)*** 0.263(0.101)***

성장지

서울이외

광역시 0.087(0.113) 0.086(0.113) 0.083(0.113) 0.085(0.113) 도지역 -0.031(0.110) -0.047(0.110) -0.037(0.110) -0.035(0.110) 가구원

여부 가구원 -0.366(0.176)** -0.443(0.178)** -0.471(0.178)*** -0.466(0.178)***

경제성장률 - - 0.018(0.009)**

-임금증가율 - - - -0.022(0.010)**

18) Lazard(1998)의 채용전략모델은 생산성에 따라 기업이 인사 결정시 해고가 용 이한 경우와 고용조정이 불가능한 경우를 상정에 어느 경우가 신규 노동 인력 (졸업자)이 쉽게 취업되는 지를 이론적으로 규명하고 있다. 그의 결론은 고용조 정이 용이할수록 신규인력에 대한 고용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6

문서에서 청년 실업의 현황과 원인분석 (페이지 32-3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