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경기에 대한 종합 판단

문서에서 美 통화정책의 변화와 파급효과 (페이지 56-61)

■심리지표들도 완만한 개선추세 지속

- 기업과 가계, 수출과 내수 등의 분리된 경기상황과 완만한 경기 회복세가 지속됨에 따라 심리지표들도 완만한 개선추세 지속

작년 9월부터 상승세를 유지하던 소비자기대지수가 2월에는 103.8로 전월(104.5) 에 비해 다소 하락했으나 여전히 기준치인 100 이상을 시현

작년 8월 이후 기준치 이상을 나타냈던 기업경기실사지수(전경련 BSI)가 작년 말 부터 기준치 상회부분이 점차 줄어들기도 했으나 금년 3월에는 118.9를 기록하여 전월(102.4)에 비해 크게 호전

<그림 Ⅰ-16> 소비자기대지수와 기업경기실사지수 추이

자료: 통계청, 전경련

8. 2006년 경제전망

(1) 대외 여건

■2006년 세계경제는 하향조정 속에 4% 내외의 성장 전망

- 미국경제 성장세의 소폭 둔화, 중국경기의 조정국면 진입

예상보다 저조한 작년 4분기 미국경제 성장률과 올해 초까지 이어지는 정책금리 인상은 미국경제 성장에 힘입은 전년도 세계경제 성장의 양상에 변화 시사

미국경기의 조정과 위안화 평가절상 압력으로 무역호조 둔화 예상에 따라 중국경 제 성장세도 완화될 전망

- 반면 일본경제와 유럽경제는 회복 전망

일본경제는 지난해의 빠른 성장세로 제로금리 탈피가 논의될 정도로 회복세가 본 격화

유럽경제 역시 완만한 회복 조짐에 따라 지난 3월 ECB(유럽중앙은행)는 금리를 2.5%로 인상

<표 Ⅰ-32> 주요국의 경제성장 전망

(%)

2004년 2004년 2005년1)

2006년3) IMF OECD World Bank

세계성장률 4.0 5.1 4.3 2.62) 3.1 4.3

미국 2.7 4.2 3.5 3.6 3.9 3.3

일본 1.4 2.7 2.0 1.5 0.8 2.0

유로 0.7 2.0 1.2 1.2 1.5 1.8

중국 9.5 9.5 9.0 9.0 8.2

주: 1) 발표시점은 IMF는 ’05년 9월, World Bank는 ’05년 4월, OECD는 ’05년 5월 2) OECD 세계성장률 전망은 OECD회원국 성장률

3) 2006년 전망은 IMF ’05년 9월 보고서 인용

■산유국들의 정세불안, 수요의 지속적 증가 등으로 고유가 지속

- 이라크와 나이지리아 정세불안 해결 지연과 세계경제의 호조로 유가상승 요인이 우세

최근 미국 동절기 기후의 온난화 등 수요감소 요인도 존재하나, 산유국 불안요인 에 대한 우려 확산으로 유가상승 가능성 확대

올해 유가전망은 두바이 유가 기준으로 55달러에서 60달러 사이가 지배적 (2) 국내경제전망

■성장률: 4.0%(2005년) → 4.9%(2006년)

- 내수: 완만한 회복세

민간소비: 고용개선, 가계부채 조정 마무리 단계 등으로 점차 회복 설비투자: 투자압력 증가 등으로 회복세

건설투자: 부동산가격 억제정책, 재정의 중립기조로의 전환 등의 영향으로 저조한 증가세

- 수출: 증가세 둔화, 하지만 약 9%의 견조한 증가세 전망 수출제품의 비가격경쟁력 강화, 중국경제의 성장세 지속 등

■소비자물가: 2.7%(2005년) → 2.9%(2006년)

- 내수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누적된 디플레이션 갭으로 인해 총수요압력이

■금리와 환율

- 회사채수익률(3년):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연간 5.6%

정책금리의 인상과 경기 회복세의 영향 등

- 원화환율: 지속적인 하락(절상)추세를 보일 전망 2006년 상반기중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 마무리 미국의 재정 및 경상수지 적자 확대

위안화의 추가 절상 가능성 등

<표 Ⅰ-33> 2006년 국내경제전망

(전년동기비 %, 억 달러)

2004년 2005년 2006년

연간 연간 1/4 2/4 3/4 4/4 연간

GDP 4.6 4.0 5.1 4.7 4.8 5.0 4.9

민간소비 -0.5 3.2 4.5 4.6 4.9 5.0 4.7

건설투자 1.1 0.3 0.4 1.0 1.8 2.2 1.5

설비+무형고정자산 3.1 4.7 5.0 5.1 6.8 7.7 6.2

소비자물가 3.6 2.7 2.6 2.9 3.1 3.2 2.9

생산자물가 6.1 2.1 2.1 2.3 2.1 2.1 2.1

경상수지(억 달러) 281.7 165.6 14.2 11.1 -5.5 8.1 27.8

상품수지(억 달러) 375.7 334.7 63.2 74.6 60.4 57.3 255.4

수출(억 달러, BOP 기준) 2,577.1 2,890.0 745.1 772.0 786.6 841.1 3,144.8

증가율% 30.6 12.1 9.5 9.3 8.7 7.9 8.8

수입(억 달러, BOP 기준) 2,201.4 2,555.2 682.0 697.4 726.2 783.9 2,889.4

증가율% 25.6 16.1 15.8 12.5 12.1 12.2 13.1

서비스 및 기타수지 -94.0 -169.1 -49.0 -63.5 -65.9 -49.2 -227.6 환율(원/달러, 평균) 1,143.7 1,024.1 980.7 986.5 975.8 969.9 978.2

회사채수익률(3년, AA-) 4.7 4.7 5.4 5.5 5.7 5.9 5.6

실업률(%) 3.6 3.7 3.8 3.7 3.6 3.6 3.7

자료: 한국경제연구원 분기모형

이슈분석

- 美 연준 의장 교체에 따른

美 통화정책의 변화와 파급효과

문서에서 美 통화정책의 변화와 파급효과 (페이지 56-6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