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5

4 3.5

3 2.5

2 1.5

1 0.5

구 분 생활관(신) 생활관(구) 병영식당 사무실 아파트 5년이하 5~10년 10년이상

Fig. 9. 라돈농도와 건축물 유형별 및 연도별 상관관계 (증평군)

5.1.3 경기도

5.1.3.1 안양시

측정한 날짜는 12년 9월 24일부터 26일 까지 실시하였으며 48시간을 측정 하였고 측정값은 0.93 ~2.62 pCi/L, 34.41 ~ 96.94 Bq/㎥ 까지 범위가 보였으며 모두 최대허 용농도(MPC)를 초과 하지 않았고 우리나라 지역별 주택 내 연평균 라돈농도와는 비슷 한 결과가 나왔고 건물의 유형 및 준공연도별 다양한 분포를 나타냈다.

Table 23. 경기도 안양시 군 병영시설 라돈농도 조사결과 (12. 9. 24 ~ 26)

구 분 캐니스터

번호

라돈 농도

준공연도 비 고

(MPC : 4pCi/L) Bq/㎥ pCi/L

병영생활관

(신형) EHC-037 34.41 0.93 5년 이하

병영생활관 (구형)

EHC-017 92.13 2.49

5 ~ 10년 EHC-043 35.52 0.96

EHC-036 96.94 2.62

EHC-027 44.77 1.21

EHC-033 52.54 1.42 10년 이상

병영식당 EHC-075 60.31 1.63 5 ~ 10년

사무실

EHC-077 70.30 1.90 10년 이상

EHC-089 66.23 1.79 5 ~ 10년

EHC-003 59.20 1.60 5년 이하

평 균 61.23 1.66

Table 24. 건물 연도별 및 유형별 분석

구 분

라돈 농도 (평균) 비 고

(MPC : 4pCi/L) Bq/㎥ pCi/L

건물 유형별

병영생활관 (신형) 34.41 0.93

병영생활관 (구형) 64.38 1.74

병영식당 60.31 1.63

사무실 65.24 1.76

아파트 -

-건물 연도별

5년 이하 46.805 1.265

5 ~ 10년 65.971 1.783

10년 이상 61.42 1.660

pCi/L

5 4.5

4 3.5

3 2.5

2 1.5

1 0.5

구 분 생활관(신) 생활관(구) 병영식당 사무실 아파트 5년이하 5~10년 10년이상

Fig. 10. 라돈농도와 건축물 유형별 및 연도별 상관관계 (안양시)

제 6장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군 병영시설에 대한 라돈농도의 측정 및 분석을 위해 강원도, 충청북 도, 경기도에 소재한 군 병영시설 중 생활관(25개소), 사무실(8개소), 병영식당(5개소), 군 아파트(2개소) 를 대상으로 2012년 9월 24일부터 12월 3일까지 차콜캐니스터를 이용 하여 실내공기 중 라돈농도를 측정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강원도 지역의 군 병영시설에서 측정된 라돈농도는 0.51 ~5.01 pCi/L, 18.87 ~ 185.37 Bq/㎥를 보였다. 홍천군 지역의 군 병영시설에서 측정된 라돈농도는 3.02 ~ 5.01 pCi/L, 111.74 ~ 185.37 Bq/㎥ 으로 나타났고 이는 최대허용농도(MPC) 4pCi/L, 148㏃/㎥ 보다 높은 수치였으며 건물 형태별 분석에서는 병영생활관 보다 사무실에서, 준공연대별 분석에서는 5~10년 된 건물에서 비교적 높은 결과를 보였 다. 양구군 지역의 군 병영시설에서 측정된 라돈농도는 0.51 ~3.18 pCi/L, 18.87 ~ 117.66 Bq/㎥ 으로 나타났으며 최대허용농도(MPC)를 초과하지 않았지만 병영생활 관 일부에서 비교적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또한 건물 유형별 및 준공연도에 따라 다양한 분포를 보였다. 우리나라 지역별 주택 내 연평균 라돈농도와는 비슷한 결과 가 나왔다.

2. 충청북도 증평군 지역의 군 병영시설에서 측정된 라돈농도는 0.05 ~2.83 pCi/L, 1.85

~ 104.71 Bq/㎥ 까지 범위가 보였으며 모두 최대허용농도(MPC)를 초과 하지 않았고 타 지역에 비하여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건물의 유형 및 준공연도별 다양한 농도의 분포를 나타냈다. 우리나라 지역별 주택 내 연평균 라돈농도와는 많이 낮은

결과가 나왔는데 이것은 측정 시 장소의 밀폐상태의 정도로 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라돈농도와 환기여부가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경기도 안양시 지역의 군 병영시설에서 측정된 라돈농도는 0.93 ~2.62 pCi/L, 34.41

~ 96.94 Bq/㎥ 까지 범위가 보였으며 모두 최대허용농도(MPC)를 초과 하지 않았고 경기 일대의 타 지역에 비하여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건물의 유형 및 준공 연도별 다양한 농도의 분포를 나타냈다. 또한 우리나라 지역별 주택 내 연평균 라돈 농도와는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결과 라돈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은 화강암이 발달한 강원도 지역에 서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라돈 측정 시 공기의 순환을 억제하고 밀폐의 유무와 습도에 따라 농도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이번 군 병영시설에 대한 라 돈 조사결과는 라돈에 대하여 막연하게 불안감을 갖고 있는 군인들에게 라돈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시키고 설득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현재 국방부에서는 실내 라돈 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군 시설물 2,000 곳에 대하여 라돈 농도를 측정할 예정이며,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군 시설물의 실내 공간 라돈 측정 및 관리에 매우 중요한 기 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 고 문 헌

1. 국민 방사선 위해도 평가 및 전국 실내 라돈 방사능 조사, 한국원자력 안전 기술원 2. 환경부, 2010, “실내공기질공정시험기준”, 환경부고시 제2010-24호, 환경부 3. 지하수내 라돈 저감 효과에 관한 연구(2011), 연세대학교

4. 이진영, 2006, “활성탄과 알지네이트로 제조한 비드에 의한 페놀과 구리의 흡착”, 전남대학교대학원

5. 통계청 홈페이지, 사망원인 통계, http : www.nso.go.kr

6. 강영호, 박장식, 김도성(1982).□Alpha 입자 비적법에 의한 라돈 측정, 방사선 방어학회지.

7. NCRP(1987), Ionizing Radiation Exposure of the Population and THE United States, National Council on Radiation Protection and Measurements, NCRPREPORT 93.

8. UNSCEAR(1988), Sources, Effects and Risks of Ionizing Radiation,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1988 Report on the General Assembly, with Annexes, United Nations, New York.

9. KINS(1989), 1989년도 한국원자력 안전기술원 사업종합보고서, 한국 원자력 안전기 술원, KINS/AR-001

10. Puskin, J.S., Nelson, C.B. (1995). "Estimating radiogenic cancer risk", Health Phys, 69(1), 93-101

11. ICRP(1994), Protection against Radon-222 at Home and at Work,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Publication 65,Annals of the ICRP23(2), Pergamon press.

12. Becker, K., 2004, "One century of radon therapy", International Journal of Low Radiation, 1, 333~357

ABSTRACT

A study on the noxiousness of radon exposure on military facilities

Yoon, Gil Sang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Environment Yonsei University

As the abrupt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of today's society resulted in the increase of pop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ies and economy, many social problems, including the increase of atmospheric pollutants, have arisen. Especially, the indoor environment is an essence to the human surroundings.

Since the danger of radon, a natural radionuclide, has been well announced through a diversity of public media, people are getting more and more interested in radon's harmness and countermeasures against it.

Radon is one of the most dominant natural radionuclides in our environment. Radon is colorless, odorless, and a chemically inert gas, which decays to daughters emitting alpha particles. The exposure does due to radon is attributed to alpha particles which are deposited on the

wall surface of respiratory organs. Thus, the main contributor is not radon itself but its short-lived daughters. Likewise, radon is a well-known carcinogen, and prolonged exposure to high levels of radon gas is a direct cause of lung cancer.

Despite the efforts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research facilities, not enough research has been accomplished and people, not well aware of radon, are getting more and more anxious. Most of all, an investigation into the military facilities, whose living environment is inherently old, unstable, and exclusive, has not been conducted.

As such is the case, the objective of this work is to select 4 regions that have high levels of radon gas and to conduct a survey on their military facilities, thereby establishing a cornerstone for the future nationwide research in 2013 which will target the entire 2,000 military facilities.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of this work, charcoal canister has been selected as a standard measure of radon concentration. In order to make the investigation efficient and consistent, military facilities located in Yang-Goo and Hong-Cheon of Gangwon Province, Gwe-San of Choong-book Province, and Anyang of Gyeonggi Province, all of which have high levels of radon gas, are selected as target regions, and a total of 40 charcoal canisters, one in each of military facilities' underground boiler rooms, have been installed.

Furthermore, military facilities have been assorted, according to their oldness, into less than 5 years, less than 10 years, and more than 10 years, and separate estimators have been installed. Also, estimators have

been installed separately in dining halls, offices, renewed barracks and old barracks.

Radon concentrations of Gangwon Province have been measured in military facilities of Yang-Goo and Hong-Cheon. A total of 20 charcoal canisters, 10 in each region, have been installed.

As target facilities, 10 barracks, 4 dining halls, 3 offices, 1 warehouse, and 2 apartments have been measured, 65% of which were more than 5 years old. As a result, an average radon concentration was shown as 3.265 pCi/L, which is close to maximum permissible concentration (MPC) 4pCi/L, and two facilities in Hong-Cheon even exhibited rates exceeding MPC.

Radon concentrations of Choong-Book Province have been measured in military facilities of Zeng-Pyeong, and a total of 10 charcoal canisters have been installed.

As target facilities, 8 barracks, 1 dining hall, and 1 office have been measured and roughly 70% of these facilities were more than 10 years old. As a result, an average radon concentration was shown as 1.012pCi/L, which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MPC. As most of the target facilities were old and thus were barely airtight, they exhibited such a low rate. On the other hand, bachelor officers' quarters, which were relatively new, exhibited rates that are 5-6 times higher than the average.

Radon concentrations of Gyeonggi Province have been measured in military facilities of Anyang, and a total of 10 charcoal canisters have been installed.

As target facilities, 8 barracks, 1 dining hall, and 3 offices have been measured and around 80% of these facilities were more than 5 years old.

As a result, an average radon concentration was shown as 1.655pCi/L, which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MPC. Radon concentrations of each facility were mostly consistent,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ose of Gangwon and Choong-Book Provinces, and thus were concluded as safe.

This work's results regarding the harmness of radon exposure on military facilities will help soldiers understand the danger of radon and relieve their anxiety. Having realized the importance of radon research,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s planning to conduct a nationwide radon survey, targeting the entire 2,000 military facilities across the nation. In preparation for the upcoming survey, this work's result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cornerstone for the establishment of more systematic and in-depth research in the futur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