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북한지 를 편찬한 성능(聖能)은 발문(跋文)에서 사라져 가는 것들 혹은 잊혀져 가는 것들에 대한 집착 을 표현하였다.14) 그는 결국 문자 언어와 지명이라 는 도구를 통해 그가 평생 가꾸어 온 업적 그리고 그 , 이름과 명예를 남기고 싶어 했다 그 결과물이 결국 . 여 년 후 본 글의 연구대상으로 남아 생전의 그의 300

인생과 공훈을 기념하고 평가할 수 있게 하였다 인간. 에게 끊임없이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형상과 빛깔 그, 리고 형상과 색( )色으로서의 이름을 남긴다는 것은 불 가의 색즉시공‘ (色卽是空)’의 신념에 일면 부합되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그가 남긴 풍부한 . 지명 기록을 통해 북한산성은 영원히 살게 되었으며‘ ’ , 북한산성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려는 노력에 뚜렷 한 형상과 빛깔을 제공해 주고 있다.

성능의 북한지 편찬 의도를 헤아려 본 글은 북 , 한산성 안에 분포하는 지명들의 지리적 분포와 문화 적 역사적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고 나아가 지명 변, , , 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특성을 기초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실현하기 . 위해 먼저 북한산성을 포함한 산성 내부의 지명들을 대상으로 자연 지명과 인문 지명으로 구분하여 시대 별 고문헌 및 고지도 등에 기재된 지명 표기를 정리하 여 지명 변천 도표를 작성하였다 이 작업에서 현존하. 는 지명 자료 중 가장 많은 북한산성 지명을 담고 있 는 북한지 (1745)를 중심으로 시대별 지명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지명 자료들을 바탕으로 지명 분. 포 및 유형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살펴본 후 북한, ‘ 산 등의 주요 지명들을 선정하여 지명의 의미와 그 변’ 천 양상을 전부 지명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연. 구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대체로 북한지 에 수록된 지명들은 자연 지명 중 산지와 하천 지형을 가리키는 지명들과 이러한 지리 적 환경에 자리 잡고 있는 산성 관련 각종 인공 시설 물들 특히 이 책을 편찬한 승려 성능을 통해 매개된 , 불교 이데올로기를 담은 많은 불교 관련 지명들이 다

수를 차지하고 있다 즉 북한지 에는 약 . 165개의 지 명이 수록되어 있으며 이 중 자연 지명의 지형 지명, 이 약 104 , 개 인문 지명의 행정 지명이 개 인공 지명0 , 이 약 61개가 나타나고 있다 지형 지명에는 산지 지. 형들 중 산봉우리를 뜻하는 봉( ) 峯 지명이 약 38 , 개 산 정상이나 높은 곳에 위치한 바위를 가리키는 대

지명이 약 개 그리고 하천 지형의 골짜기나 계

( ) 臺 8 ,

곡을 뜻하는 동( ) 洞 지명이 약 개가 분포하고 있어14 , 북한지 라는 지리지 편찬의 공간적 대상이 산지 지 형에 자리 잡고 있으며 특히 북한산성의 입지가 계곡, 을 둘러싼 산봉우리를 따라 축조된 포곡식 산성임을 추정할 수 있다.

인문 지명의 경우 약 , 61개가 분포하고 있으며 후, 부 지명소로서 행정구역 명칭을 포함하고 있는 행정 지명은 나타나고 있지 않다 그 이유는 북한산성이란 . 관방시설 자체가 중앙 정부의 국가적 스케일에 의해 특수한 군사적 위상과 함께 국왕의 행궁 입지를 위한 기능을 부여받았고 축성이 이루어진 , 1711년을 전후 하여 훈련도감 금위영 어영청이라는 지방 행정 차원, , 과는 별개의 군사 기관들에게 축성과 그 이후의 성곽 관리 임무가 주어지면서 기존의 행정 체계와는 별도 로 특수하게 운영되었기 때문이다.

북한지 에 수록되지 않은 행정 지명은 앞선 시대 에 북한산군 북한산주로 나타나기도 하였고 북한지, , 이후에는 북한리(1914 ), 년 북한동(1992 )년 으로 북한‘

이라는 전부 지명소를 계승하여 존속하고 있 (北漢)’

다 한편 북한지 에는 행정 지명 중 민간인들의 거주. 지인 자연 촌락을 가리키는 지명이 나타나고 있지 않 다 그러나 . 18세기 후반까지도 산성 내에 많은 자연 촌락들이 존재했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반영한 촌락 , 지명들 예컨대 서문안 하곡 하골 하창 양짓말 음, ( , , ), , 짓말 상곡 상골 중곡 중골 강남모탱이 보국골 등, ( ), ( ), , 을 북한지 이후에 기록된 문헌 및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인공 지명의 경우 인공 시설물인 산성과 관련하여 , 약 개의 다양한 지명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즉 성곽 61 . 축조와 관리 시 국가에 의한 공식적인 지명 명명 행, 위가 새롭게 건설된 행궁 성문 장대 유영 창고 다, , , , , 리 누각 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여기에 축성 및 , ,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던 승려들에 의한 불교 관련 지명의 수용과 명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졌을 것이다 이를 반영하듯 인공 지명 중 후부 지명소로서 .

곳 암문을 포함한 성문 시설 명칭이 약 , 16개가 나타 나며 장대 곳 유영 곳 창고 곳 정자 곳 등의 명, 3 , 3 , 5 , 1 칭이 기록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북한산성의 가장 핵. 심적인 시설이자 북한산성의 위상을 높여주는 인공 시설로서 행궁이 곳 있었으며 현재는 행궁지 또는 1 , 행궁터라는 지명으로 남아 있다.

북한산성에 분포하는 지명들의 의미와 변천 양상을 주요 지명들의 전부 지명소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삼국시대에 적극적으로 이용되던 북. 한산이란 지명은 고려시대 수도가 개경으로 결정되면 서 개경 쪽에서 바라다 보이는 산의 형상을 표현한 지 명 즉 삼각산으로 활발하게 통용되었던 것으로 이해, 된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들어와 수도가 한양으로 이. 전되면서 다시금 북한산 북산 이란 지명으로 적극‘ ’, ‘ ’ 적으로 이용되어 표기되기에 이른다 특히 . 1711년 남 한산 및 남한산성과 상대를 이루는 북한산성이 축조 되면서 북한산이란 지명 사용이 공식화되고 더 활발 하게 통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대신 삼각산은 전국 . 명산대천에 제사를 지내는 사전 제도 하에서 그리고 , 기우제를 지내는 장소나 지식인들의 문학 작품 속에 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면서 북한산의 경합 지명으로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한편 북한산 관련 지명의 형성 . 과정을 지명의 역사적 명명 과정과 지리적 인식 그리, 고 지명 텍스트의 맥락을 고려한 결과 한산 ‘ ⇒ 북한 산 남한산 순서로 추정할 수 있었다’ .

마지막으로 북한산성에 분포하는 지명들 중에는 전 부 및 후부 지명소를 모두 고려할 경우 고유 지명 민, 속 지명 불교 지명 유교 지명 도교 지명 풍수 지명 , , , , 등이 혼재 되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북한산성 축성 . 이후 현재까지 이 일대의 중요한 지명 언중 역할을 해 온 승려들에 의해 많은 불교 관련 지명들이 명명 및 통용되었고 동시에 불교 이데올로기와 정체성에 의, 한 강력한 지명 동일시 현상과 의미 부여가 이루어져 왔다.

1) 견아상입지는 군현의 경계선이 서로 交入하여 마치 犬 개의 치아 가 위아래로 해 있는 모습과 같은 구

( )

牙 相錯

된 이후 종전의 屬縣 鄕 所 部曲 , , , 등의 任內가 분리, 독립하거나 혁파 정리되면서 생성되기 시작하였다, . 15 세기 이래 행정구역의 개편문제가 거론될 때마다 그 정 비 문제가 제기되었지만 지방통치체제의 미비 수취체, , 제의 모순 군현 토착세력과 주민의 이해관계 등이 얽, 혀 있어서 끊임없이 생성 소멸하는 과정을 되풀이하다, 가 光武 10 (1906) ‘년 地方區域整理件’에 관한 勅令에 따라 완전 정리되었다 월경지와 견아상입지의 차이점. 은 전자는 ‘越在他邑’한 데 반해 후자는 ‘侵入他境’한 데 있으며 조선초기의 자료에서는 양자가 혼동되는 경우, 가 있었다 이수건( , 1989, 148-150). 본 연구 지역에서 는 1711년 북한산성의 축조 이후 일어났던 조선시대 말의 산성 기능의 상실과 관할 문제 그리고 정치적 격, 동 및 행정구역 개편 등의 결과 서울시 경기도 양주시, , , 고양시 사이에 현대판 견아상입지가 잔존하고 있다. 2) 한편 북한산국립공원이 지정된 1983년 이후부터는 공

원 구역에 포함된 도봉산 일대 도봉 지구 또한 북한산( ) ‘ ’ 의 지명 영역에 포섭되기에 이른다 북한산 지명이 생. 성 된 이래 이 지명이 경험한 지명 영역의 확대와 축소 등, 의 변화 과정은 추후의 정밀한 연구를 기다리고 있다. 3) ‘지명 형태소 의 준말인 지명소 는 지명을 구성하는 의’ ‘ ’ ‘

미 있는 최소 단위 를 뜻하는 용어로 이는 다시 전부 지’ , 명소와 후부 지명소로 구분된다 가령 개의 형태소로 . 2 구성된 절골‘ (寺洞)’은 절‘ ( )’ 이 전부 지명소 골, ‘ ( )’ 이 후부 지명소가 되며 한절골, ‘ (大寺洞)’은 한절‘ (大寺)’

이 전부 지명소 골, ‘ ( )’洞 이 후부 지명소가 된다 그런데 . 한절 만을 다룰 때는 한 이 전부 지명소 절

‘ (大寺)’ ‘ ( )’大 , ‘ 이 후부 지명소가 된다 김순배

( )’寺 ( , 2012, 22).

4) 본 글에서 인용하거나 참고한 고 문헌과 고 지도 등( ) ( ) 의 약호는 다음과 같다: 三國史記 地理志( ) (1145)=

, ( ) (1451

三國 高麗史 地理志 ~54)= 高麗 , 世宗實 ( ) (1454)= , (1530) 錄 地理志 世宗 新增東國輿地勝覽

= 新增 , 東國輿地志 (1656~73)= 東國 , 北漢誌 (1745)= 北漢 , ≪海東地圖≫(1750~51)=≪海東≫,

(1757

輿地圖書 ~65)= 輿地 , ≪地乘≫(1776~86)

=≪地乘≫, 戶口總數 (1789)= 戶口 , ≪靑邱圖≫ (1834)=≪靑丘≫ ≪, 東輿圖≫(1850~63)=≪東輿≫,

(1861)= , (1861

大東輿地圖 大圖 大東地志

≪ ≫ ≪ ≫ ~

년 지방지도

66)= 大志 , 1872≪ ≫ ≪= 1872 , ≫ 東國 (19세기)= ,

輿地備攷 東攷 ≪舊韓末 韓半島 地形圖≫ (1894~1906)=≪舊圖≫ , 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

(1912)= ,

覽 舊韓 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 (1917)= ,

稱一覽 新舊 ≪近世韓國五萬分之一地形圖 (1:50,000) (1919)=≫ ≪近圖≫ 「, 京畿道高陽郡郡勢一 (1930)= , 17( ) (1985) 班」 「郡勢」 韓國地名總覽 京畿篇

다음 지도

= 韓國 , 高陽市史 (2005)= 高陽 , ≪ ≫ 국토지리정보원 지도검색서비 (2016)= Daum , ≪ ≫ ≪

(2016)=국토.

5) 산성 내 행궁의 건설이 마무리되던 1712 (년 숙종 38) 4 월 10일에 숙종이 직접 북한산성을 시찰한 이후 관리 운영상의 부작용으로 원성의 대상이 되었고 영조 대에 ,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