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청소년 수련활동은 청소년의 균형적 성장을 위하여 청소년의 능동적 참여에 기 초를 두고 생활권 또는 자연권에서 심신을 단련하고 자질을 배양하며, 다양한 취미 를 개발하고, 정서를 함양할 뿐만 아니라 사회봉사 활동을 통해 배움을 실천하는 조직적인 체험활동을 말한다(박용준, 2009 : 61-63). 청소년수련활동의 기반이 되는 각종 청소년 수련시설의 확충과 효율적인 운영은 청소년활동의 기본적 조건이다.

그러나 제주지역 청소년 수련시설은 경영의 전문성이나 합리적인 경영체계에서 운 영되어왔다기보다는 비효율적인 요인에 의해 시설운영을 현상 유지하기에 급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청소년 수련시설 중 청소년수련관 및 청 소년문화의집 23개소의 현황 및 청소년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 분석 하고 문제점을 제시하여 청소년들이 능동적이고 창의적이며 활동적으로 수련시설 프로그램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국내의 서적과, 연구보고서, 논문 등 자료를 활용하였고, 인터넷을 활 용하여 본 연구와 관련한 최근 자료 및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특히 만족도 조사는 제주지역 청소년수련관 및 청소년문화의집에서 프로그램 운영 후 참여자에게 만족 도 조사를 하고 보고된 운영결과 공문서를 바탕으로 제주지역 청소년수련관 및 청 소년문화의집의 현황과 프로그램 만족도 및 선호도와 면담 조사를 통해 분석하여 이에 대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수련시설 이용실태와 현황분석 결과 청소년들 개인의 특기와 개성 을 계발할 수 있는 수련활동 프로그램이 부족하고, 전문적인 지도인력이 부족하며 시설공간이 협소하거나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전문교육을 통한 청소년 지도자들의 전문성을 기르는 전문인력 양성체계 확립을 제안한다.

둘째, 청소년 수련시설 중 청소년수련관과 청소년문화의집은 공공기관에서 운영 되고 있어 독점적 지위체계에서 비효율성이 고착화 되어있었다. 특히 청소년지도자 의 전문성 결여는 프로그램 만족도에서 특정 계층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민간위탁을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경쟁력 강화를 통한 질

셋째,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인 제주지역 청소년들이 청소년 수련시설을 이용하면 서 조사대상의 변화에 대한 결과를 횡단적 접근을 통하여 전체적인 조사 대상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으나 조사대상의 지속적이고 계속적인 변화과정을 파악 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참고문헌

강병연(2005). 청소년 수련시설 활성화 결정요인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교육부(2015). 2015년 인성교육 강화 기본계획. 서울: 교육부.

구태익(2000). 한국청소년 수련첵에 관한 연구: 수련시설 운영을 중심으로. 서울대 학교 박사학위 논문.

국가청소년위원회·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07). 2007년 청소년활동 참가 실태조사 연구. 서울: 국가청소년위원회.

권두승(2000). 청소년지도자의 철학적 태도와 지도양식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청 소년개발원.

권일남·최창욱(2011). 청소년활동 개념 재정립에 관한 연구-역량계발을 중심으 로.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권일남(2012). 청소년정책과 성과와 반성, 그리고 향후 과제. 오늘의 청소년, 28(1): 6-19.

김성수·권일남(1994). 청소년활동지도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정대(2002). 청소년참여를 통한 리더십 생활기술 프로그램 개발. 동국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김정주·천정웅·김영지·임지연(1998). 지역청소년센터 운영 모델:지역사회 청소년육 성 거점으로서 청소년센터 운영 방안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김진화(2000). 청소년지도사의 전문성과 자격검정제도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창현(2008). 청소년 수련활동의 만족도와 성취도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 논문.

김용균(2009). 청소년복지 증진을 위한 청소년 수련시설 실태운영 연구 : 고양시 청소년 수련관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창현(2008). 청소년 수련활동의 만족도와 성취도에 관한 연구. 포천 대진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도종수·이광호·구정화·박정화(1992). 청소년 수련터전 실태조사와 소요실태 분석 에 관한 연구;생활권 수련터전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8(3): 136-153.

문화체육부(1993). 청소년육성 5개년 계획. 서울: 문화체육부.

박언서(1999). 공공서비스 민간위탁의 효과와 영향요인. 부산대 박사학위논문.

박옥식(2003). 청소년수련관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청소년시설환 경. 청소년시설환경, 1(1): 49-59.

박용준(2009). 청소년 수련시설 개선방안 연구.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석사 학

위 논문.

서귀포시여성가족과(2015). 2015년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프로그램 운영결과보고서. 제주특별자치도.

송성수(1998). 서울시 청소년 수련시설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

사 학위논문.

신은설(2004). 청소년수련활동의 실태와 활성화방안:제주도수련시설을 중심으로. 제 주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미자(2010). 평택시 청소년 수련시설 이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여성가족부(2015). 2015년 청소년백서. 서울: 여성가족부.

오치선·김진화(1999). 청소년의 직업 및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 人文科學硏究論叢, 20(12): 187-211.

유진이(2002). 청소년수련관의 공간 분석을 통한 시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유진이(2009). 민간 청소년 수련시설 활성화 가이드라인을 위한 연구. 청소년시설 환경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논문집, 7(4): 77-84.

이승렬(2013). 청소년 동아리 조직유형별 활동 참여의 결정요인 분석. 청소년학연 구, 20(10): 407-431.

이승렬(2014). 청소년동아리 활동과 진로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 위 논문.

임윤택(2003). 청소년의 수련활동 프로그램 몰입을 위한 영향요인분석. 명지대 학교 석사학위 논문.

임지연(1997). 지역중심 청소년활동 활성화를 위한 청소년 수련시설 운영실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석사학위논문.

전명기·박창남·김영한(1998). 청소년 수련시설 특성화 방안연구. 서울: 청소년개발 원.

제주시여성가족과(2015). 2015년 제주시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프로그램 운 영결과보고서. 제주특별자치도.

조영승(1996) 21세기 우리청소년 어떻게 육성할 것인가 : 한국 청소년 육성정책의 방향과 과제.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주범·유진이(2009). 청소년시설의 현실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논문집. 7(2): 73-82.

천정웅·김정주(1999). 청소년활동의 정책적 특성 비교연구 : 청소년정책과 교육정 책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6(2): 101-122.

하의환(2000). 청소년복지증진을 위한 청소년 수련시설의 개선방안. 부산대학교 석 사

학위논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01). 공공청소년 수련시설의 민간위탁실태와 위탁기준에 관 한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상철(2003). 생활권 청소년 수련시설에 대한 운영 컨설팅 결과분석과 대안 제시 : 남부지역 중심. 청소년학연구, 10(1): 19-44.

현 주(2000) 청소년기의 발달특성과 인성교육. 경기교육, 147(6): 6-11.

홍영균(2008). 지역청소년지원체계를 위한 복합청소년시설 건립방안 연구. 청소 년시설환경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논문집, 6(1): 59-67.

○ 기타 자료

교육부 홈페이지 http://www.moe.go.kr (2016년 4월 2일 검색) 법제처 http://www.moleg.go.kr (2016년 4월 2일 검색)

서귀포시 청소년문화의집 http://sgpycc.sgpyouth.or.kr (2016년 5월 27일 검색) 여성가족부 홈페이지 http://www.mogef.go.kr (2016년 4월 2일 검색)

제주특별자치도 청소년활동진흥센터 http://www.jejuyouth.net (2016년 4월 2일 검 색)

제주특별자치도청 홈페이지 http://www.jeju.go.kr (2016년 4월 2일 검색) 한국청소년 수련시설협회 http://www.youthnet.or.kr (2016년 4월 16일 검색)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https://www.kywa.or.kr (2016년 4월 2일 검색)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http://www.nypi.re.kr (2016년 4월 16일 검색)

ABSTRACT

A Study on Problems with the Programs of Youth Facilities in Jeju and Improvement Plan

Oh, Chang hui Department of Public Adminstration Graduate School Jeju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a way to vitalize youth facilities in Jeju for the reasonable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facilities by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s and use of the facilitie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delivered by them.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grams of 24 youth training centers and youth cultural centers among youth facilities in Jeju.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 higher proportion of the participants in the program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rograms included too many simple experience activities. In addition, there were not sufficient education and training for specialized instructors who could help youth instructors to improve their instruction capabilities. Furthermore, youth facilities did not make enough effort to publicize their programs. As a result, participants included too man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seen in an examination in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among participants. Youth facilities were also found

to be in poor financial condi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vitalize the youth facilities in Jeju.

First, an analysis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preference for programs from youth facilities found that there was not enough professional manpower to develop programs that help adolescents to develop their personalities and specialt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a professional manpower cultiv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help youth instructors to improve their skills through specialized education.

Second, as youth training centers and youth cultural centers among youth facilities were directly operated by public institutions, the centers enjoyed exclusive rights; and thus, inefficiency become general in the centers. This study, therefore, suggests that the centers be contracted out to maximize their efficiencies and provide high quality services through enhanced competitiveness.

Third, it was thought that a passive publicizing effort of youth families resulted in a higher propor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users of the facilities. Currently, youth facilities publicized their programs only through their Internet website. This study suggests that facilities should make aggressive publicizing efforts using SNS and TV advertisements.

Fourth, currently, youth facilities are not receiving enough financial support.

Especially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the government needs to willingly provide financial support that enables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programs that satisfy adolescents' various desires.

시설유형 시 설 명 설립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