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 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56)

A. 항산화 효과(산화스트레스 지표)의 변화

Ⅵ. 결 론

본 연구는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저항성 트레이닝을 실시하여 운동그룹과 통 제그룹에서 항산화효과 및 체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중년여성 20명으로 이들은 운동그룹과 통제그룹으로 각각 10명씩 무선 배치되었으며, 피험자 모두 12주동안 운동그룹에서 주 3회 운동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실험 전과 실험 후 총 2회에 걸쳐 모든 피험자들로부터 항 산화효과 및 체력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항산화효과의 변화는 두 집단 내 비교에서 실험 전 보다 실험 후에 유의하 게 감소하였으며(p<.01), 집단간 비교에서는 사후측정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 다(p<.05).

3. 체력의 변화는 운동그룹에서 실험 전보다 실험 후에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순발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p<.01), 통제그룹에서는 실험 전과 후 심폐지구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론을 종합하면, 저항성 트레이닝이 항산화 효과와 체력(근력, 근지 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민첩성)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결론 을 얻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저항성 운동으로 활성산소와 항산화효과를 동시에 중점을 두고 중년여성들의 건강한 신체와 스트레스 없는 삶이 되도록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고영완, 김광래, 박규태, 서충진(1998). 트레이닝 방법론. 태근문화사.

교육부(2005). 학교 체력검사 실시요강.

김동제, 권기옥, 윤종대(2002). 유산소 운동과 유산소운동 및 저항성근력 병행 운동프로그램이 비만중년여성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산업기술연구논문지.

제5권 제1호. pp. 49-56.

김동현(2015).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이 여자대학생의 체력, 신체조성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김문희(2000). 저항 운동이 중년여성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한국체육학회지, 39(4):402-413.

김완수 등(2014). 운동검사․운동처방지침. 서울: 도서출판 한미의학.

김은혜, 이동권(2009). 인삼의 항산화 작용. J. Ginseng Res, 33, 1-7.

김정태, 임인수(2009). 12주 지구성 훈련과 Rooibos-tea 투여가 산화적 DNA 손상 및 지질과산화와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운동영양학회지, 13(2), 141-145.

김현수, 김남정(2003). 고무밴드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 활동 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42(5): 649-655.

노기성(2004). 중년여성의 단계적 웨이트 트레이닝이 건강체력과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하교 대학원.

류승필, 이수천(2004). 운동시 타우린 섭취가 고지방식이 흰쥐의 혈중 지질대사 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3(5), 351-356.

문종일(2012). 규칙적인 운동참여가 고령자의 활성산소, 항산화 물질 및 혈관 탄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남부대학교 대학원.

문화관광부(1998). 국민체력실태조사. 부산대학교 문화체육관광부(2011). 국민체력실태조사.

박경호(2009). 일회성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운동이 중년여성의 혈관탄성도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상갑, 권유찬, 윤미숙(2001). 근저항 트레이닝이 비만중년여성의 복부지방에 미치는 영향. 제38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 p.555.

박찬칠(2007). 저항성운동과 평형성운동 그리고 복합운동이 자세조절능력과 공기권총 사격술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서지원(2012). 저강도 혈류제한 저항성 운동을 통한 체력과 신체조성 및 혈중 지질의 변화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서영환, 이윤관(2014).운동처방과 질환별 운동치료프로그램, 서울, 대경출판사.

서영환, 손연희(2010). 퍼포먼스향상을 위한 스포츠영양학, 서울, 대경출판사.

성혜련(2005). 복합운동이 파킨슨병 환자의 장애평가 척도, 기능적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송민(2012). 학생 건강 체력평가시스템(PAPS)에 따른 남녀중학생의 체력 분석.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오장록(2014). 밴드운동을 통한 CoQ10 섭취가 성인여성의 활성산소 농도, 신체구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위승두(2005). 스포츠생물학. 출판: 대경북스.

유복희(2013) 사상체질에 따른 비만과 우울의 체력 매개모형 비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동현(2011). 규칙적인 운동과 홍삼 복합처치가 산화적 스트레스 및 항산화 방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윤수현(2009). 6주간 탄력밴드운동이 여성 노인들의 건강관련 체력과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이승범(2003). 노인종합복지관의 운동프로그램이 노화,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한경(2006). 몸매 만들기와 보디빌딩. 서울, 도서출판 홍경.

임채성(2011). 9주간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댄스스포츠 선수인 여고생의 체력, 혈액성분, 산화적 스트레스 및 항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장경태(1997). 웨이트트레이닝. 서울, 대한미디어.

정덕조, 주기찬(2003). 탄력밴드를 이용한 저항운동프로그램이 고령여성의 활동 체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정성태, 전태원(1994). 운동생리학실험, 서울, 태근문화사.

조용득, 이상직, 류승필, 조대승, 이기철, 장응찬, 민경선, 이수천(2001). 덤벨 체조가 여고생의 체조성 및 체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제82회 전국체전기념 제 39회 한국제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687-694.

최요환(2005). 운동유형이 운동 중 지방 연소 비율과 운동 후 초과산소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ACSM(2000).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8th, ed). Baltimore : Lippincott williams wilkins.

ACSM(2006).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7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PA.

Alessio, H. M., Goldfarb, A. H.,(1988). Lipid peroxidation and scavenger enzymes during exercise: adaptive response to training.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64, 1333-1336.

Alessio, H. M., Goldfarb, A. H., & Cao, G.(1997)

Aoi, W., & Sakuma, K.(2011). Oxidative Stress and Skeletal Muscle Dysfunction with Aging. Curr Aging Sci., Jan 14.(Epub ahead of print).

Bank, W., & Chance, B.(1994). An oxidative defect in metabolic myopathies: diagnosis by noninvasive tissue oximetry. Ann Neurol, 36(6), 830-837.

Borders, C. L. Jr, Saunders. J. E., Blech. D. M., & Fridovich, I.(1985).

Essentiality of the active-site arginine residue for the normal catalytic activity of Cu, Zn superoxide dismutase. Biochemistry Journal, 230(3), 771-776.

Buttke, T. M. & Sansdtorm, P. A(1994). Oxidative stress as a mediator of apoptosis. Immunology Today, 15, 7-10.

Carpo J. D., Tierney DF.(1974). Superoxide dismutase and pulmonary oxygen toxicity. Am. J. Physiol., 226(6), 1401-1407.

Cooper, K. H., Gallman, J. S., & McDonald, J. L., Jr.(1986). Role of aerobic exercise in reduction of stress. Dent Clin North Am, 30(4 Suppl), S133-142.

Davies K, Quintanila A, Brooks G, Packer L(1982). Free radicals and tissue damage produced by exercise. Biochem Biophys Res comm.

107:1198-1205.

Deviatkina TA, Tarasenko LM, Kovalenko EG.(1989). Antioxidant deficiency and reaction of tissues on the acute emotional-pain stress. Vopr. Med. Khim., 35(5), 45-49.

Fleck, S. J., Kraemer, W. J.(2001) Designing Resistance Training Programs. p.180.

Griffith W. H.(1988). Membrane properties of cell types within guinea pig basal forebrain nuclei in vitro. J. Neurophysiol. 59(5), 1590-1612.

Jenkins, R. R.(1988). Free radical chemistry. Relationship to exercise.

Sports Med, 5(3), 156-170.

Ji, I. L.(1996). Exercise,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Am J. Sports Med, 24:S20-S24.

Ji, L. L.(2002). Exercise-induced modulation of antioxidant defence.

Annals of the New Yo가 Academy of Sciences, 959, 82-92.

Kang, D. H., McCarthy, D. O.(1994). The Effect of phychological stress on neutrophil superoxide release. Res. Nurs. Health., 17(5), 363-370.

Kanter, M. M., Nolte, L. A., & Holloszy, J. O.(1993). Effects of antioxidant vitamin mixture on lipid peroxidation at rest and postexercise. J. Appl. Physiol., 74, 965.

Konig, D., Weinstock, C., Keul, J., Northoff, H., & Berg, M. A. (1998).

Zinc, iron, and magnesium status in athletes-influence on the regulation of exercise induced stress and immune function.

Exercise Immunology Review, 4, 2-21.

Kraemer W, Drutsa V, Jansen HW, Kraemer B, Pflugfelder M, Fritz HJ(1984).

The gapped duplex DNA approach to oligonucleotide-directed mutation construction. Nucleic Acids Res. 12(24):9441-56.

Lim, I, S(2002). The Approach of Antioxidant, Endocrine, & Immune System on Exercise & Aging. Exercise science. 11, 1226-1726.

Lioyd, D.(1999). How to avoid oxygen. Science, 286, 249.

Machlin LJ, Bendich A(1987). Free radical tissue damage: protective role of antioxidant nutrients. FASEB J. 1(6): 441-5. Review.

Masaki h., Skaki S., Atsumi T. and Sakurai H(1995). Active 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Biol Pharm Bull. 18, 162-166.

McCloy(1964) Test and Measurement in Health and Physical Education.

128-136.

Maxwell, S. R.(1995). Prospects for the use of antioxidant therapies.

Drugs 49(3):345-361.

Meerson FZ, Pshennikova MG, Ugolev AA(1982). Role of stress in the

pathogenesis of ischemic heard disease. Kardiologiia. 22(5):54-61.

Ohno, H., Yamashita, H., Ookawara, T., Saitoh, D., Mimira, K., &

Taniguchi, N.(1992). Effects of brief physical exercise on the concentrations of immunoreactive superoxide dismutase isoenzymes in human plasma. Tohoku J Exp Med, 167(4), 301-303.

Perez, D. D., Strobel, P., Foncea, R., Diez, M. S., Vasquez, L., Urquiaga, I., Castillo, O., Cuevas, A., San, A., Martin, A. & Leighton, F.(2002). Wine, diet antioxidant defenses, and oxidative damage.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957. 136-145.

Power, S. K., Criswell, D., Lawler, J., Ji, L. l., Martin, D., Herb, R. A., &

Dudley, G.(1994). Influence of exercise & fiber type on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 rat skeletal muscle. Am. J. Physiol., 266(2), 375-380.

Reznick AZ, Witt E, Matsumoto M, Packer L(1992). Vitamin E inhibits protein oxidation in skeletal muscle of resting and exercised rats.

Biochem Biophys Res Commun. 189:801-806.

Ryan. M. J., Dudash, H. J., Docherty, M., Geronilla, K. B., Baker, B. A., Haff, G. G., Cutlip, R. G. & Always, S. E.(2008). Aging-dependent regulation of antioxidant enzymes and redox status in chronically loaded rat dorsiflexor muscle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63, 1015-1026.

Sjodin, B., Westing, Y. H., & Apple, F. S.(1990). Biochemical mechanisms for oxygen free radical formation during exercise.

Sports Medicine, 10(4), 236-254.

Tanskanen, M. M., uusitalo, A. L., Kinnunen, H., hakkinen, k., kyrolainen, H., & Atalay, M.(2011). Association of military training with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5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