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7-43)

C. CIGS 박막 태양전지

Ⅳ. 결론

본 논문에서는 태양전지의 버퍼층으로 쓰이는 인듐 셀레나이드 (InSe2) 박 막의 어닐링 온도에 따른 전기적인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RF-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이용해 인듐 셀레나이드 박막을 증착하고 전기적인 특성을 실험 하였다. 스퍼터링은 7.5x10-3 Torr의 진공에서 50sccm의 Ar 가스를 주입하며 증착하고 전압, 전류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박막 양 끝에 구리를 증착하여 전극을 만들어서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결론을 얻었다. RF마그네트 론 스퍼터링으로 5분 동안 증착된 인듐 셀레나이드 박막의 전압, 전류 특성 은 전압이 증가 할수록 전류도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성이 나타내었는데 완전한 선형적 증가는 아니고 약간의 물결모양 전압, 전류 곡선이 발견된 것 은 RT66A 특정 도중 주변의 진동에 의해 생긴 것으로 생각된다. RTA로 200℃ 열처리 후 전압, 전류 특성은 비열처리한 결과보다 비선형적으로 증가 하였지만 약 10 배정도의 전류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열처리 후 박막의 전기적 특성이 좋아졌음을 나타내었다. 400℃로 열처리한 박막의 전압, 전류 특성은 선형적으로 전압에 따른 전류가 증가하였으며 5 [V]시 전 류가 약 47 [uA]로 이전 200℃ 열처리 보다 1.5배 정도 증가함을 나타내어서 박막의 전기적인 신뢰성이 향상됨을 보였다. 비열처리한 경우와 200℃와 40 0℃로 열처리한 3가지 조건을 통합하여 나타낸 그래프로 열처리 온도가 올라 갈수록 전류가 증가하는 기울기가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 또한 400℃에서 선 형적으로 증가한데는 전기저항도 작아지면서 박막 내부의 불순물들이 제거되 면서 양질의 박막이 얻어짐을 나타내었다.

RF마그네트론 스퍼터링으로 15분 동안 증착된 인듐 셀레나이드 박막의 전 압, 전류 특성은 전압이 증가 할수록 전류도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성이 나타났고 5 [V] 전압 인가 시 약 3.6 [uA] 정도의 전류가 흐름을 알 수 있었 다. 또한 막 두께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전압 증가에 따른 전류

28

-는 5uA ∼ 50uA 사이에서 변동되었-는데 상온에서 보다 200℃ 어닐링 한 것 이 더 좋았고, 400℃ 어닐링 한 것은 200℃에서의 전류보다 더 높게 나타났 다. 박막을 RTA로 200℃ 열처리 후 전압, 전류 특성은 5 [V] 시 전류가 47 [uA] 정도로 비열처리한 경우보다 약 14 배정도의 전류가 증가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s-dep 상태에서 보다 선형적인 전류의 증가로 보아 200℃ 열 처리 경우가 비열처리보다 전기적 특성이 크게 향상된 것을 나타내었다. 20 0℃에서 RTA한 박막을 400℃로 열처리한 박막의 전압, 전류 특성은 5 [V]시 전류가 약 1.2 [m,A]로 이전 200℃ 열처리 보다 약 28배 정도 증가한 것을 나타냈다. 이는 앞서 실험한 5분 증착된 박막의 400℃ 열처리 조건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여서 400℃ 열처리 경우가 가장 좋은 전압, 전류 특성을 나타내 었다.

비열처리, 200℃ 및 400℃ 열처리의 3가지 조건에서는 열처리 온도가 올라 갈수록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서 기울기가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400℃

열처리 조건에서 전류의 양과 기울기가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매우 선형적인 증가를 보였다. As-dep 상태에서의 각 증착 시간별 박막의 전압, 전류 특성 은 3.7∼4 [uA] 정도의 아주 작은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전류의 증가 가 다른 열처리 조건들에 비하여 비선형적인 증가를 보였다. 각 증착시간에 따른 200℃ RTA 후의 전압, 전류 특성은 5 [V] 시 두께별 전류의 차이는 약 14 [uA]의 차이를 보였고 전류의 증가추이는 증착시간 증가와 무관하게 비슷 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증착시간에 따른 박막의 400℃ RTA 후 전압, 전류 특성은 5분 증착된 박막보다 15분 증착된 박막의 전류가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5 [V] 시 전류의 차이는 약 25배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박막의 두께가 두꺼우면 높은 온도의 열처리 조건에서 전기적 특성이 크게 증대됨을 알 수 있었다.

각 증착시간에 따른 열처리 온도별 박막의 전압, 전류 특성을 분석결과 as-dep 상태에서는 두께에 따른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열처리 후에 두께에 따른 변화가 나타났다. 5분 증착된 박막의 400℃ RTA조건과 15분 증

착된 200℃ RTA 박막의 전압, 전류 특성 곡선이 거의 일치함을 보여서 낮은 온도의 열처리 조건에서도 두께를 두껍게 하면 좋은 전기적 특성이 나타남을 보였다. 15분 증착된 400℃ RTA 후 박막은 5 [V]에서 1.2 [mA]의 대전류가 흘러서 가장 좋은 어닐링에 의한 전기적인 특성을 나타내었다.

Reference

[1] J. S. Hong, H. Maleki, S. Al Hallaj, L.Reddy, J. R. Selman, J.

Electrochem. Soc., 145, 1469 (1998)

[2] S. Tobishima, J. Tamaki, J. Power Sources., 81-82, 882 (1999) [3] M. Arakawa, S. Tobishima, Y. Nemoto, M. Ichimura, J. Power

Source., 43, 27 (1993)

[4] B. di Pieto, M. Patriarca, B. Scrosati, J. Power Source., 8, 289 (1982)

[5] M. Lazzari, and Scrosatti, J. Electrochem. Soc., 127, 773 (1980) [6] T. Nagaura, K. Tazawa, Progr. Batteries Solar Cells., 9, 20 (1990) [7] J. Reed, G. Ceder, A. Van Der Ven, Electrochem. Solid-State Lett.,

4, A78 (2001)

[8] A. Hirano, R. Kanno, Y. Kawamoto, Y. Takeda, K. Yamamura, M.

Takano, K.Ohyama,M. Ohashi, Y. Yamaguchi, Solid State Ionics., 78, 123 (1995)

[9] Z. Zhang, D. Fouchard, J. R. Rea, J. Power Sources., 70, 16 (1998) [10] J.R. Dahn, E.W. Fuller, M. Obrovac, U. von Sacken, Solid State

Ionics., 69, 265 (1994)

[11] KETI, 이차전지 기술산업동향 분석 및 전망예측과 경쟁력 강화 방 안수립 (2001)

[12] J. Desilvestro, O. Hass, J. Electrochem. Soc., 137, 5C (1991) [13] J.O. Besenhard, G. Eichinger, J. Electroanal. Chem., 68, 1 (1976) [14] M. Armand, Materials for Advanced Batteries, D. W. Murphy,

Broadhead and B. C. H. Steele eds., Plenum press., NY (1980) [15] Sony Lithium Ion Battery Performance Summary, JEC batt.

Newsletter., 2, 31 (1994)

[16] B. Scrosati, J. Electrochem. Soc., 139, 2776 (1992) [17] K.M. Abraham. Electrochim. Acta., 38, 1233 (1993)

[18] K. MIzushima, P.C. Jones, P.J. Wiseman, J.B. Goodenough, Mater.Res. Bull., 15, 783 (1980)

[19] S. Kikkawa, S. Miyazaki, M. Koizumi, J. Power Sources., 14, 231 (1985)

[20] T. Ohzuku, H. Komori, M. Nagayama, K. Sawai, T. Hirai. J.

Ceramic Soc Jpn.,100, No3, 346 (1992)

[21] D. Guyomard, J.M. Tarascon, U. S. Patent., 5, 192, 629 (1993).

[22] D.H. Jang, S.M. Oh, J. Electrochem. Soc., 143, 2204 (1996).

[23] A.K. Padhi, K.S. Nanjundaswamy, J.B. Goodenough, J.

Electrochem.Soc., 144. 4,1188 (1997)

[24] A.K. Padhi, K.S. Nanjundaswamy, C. Masguelier, S. Okada, J.B.

Goodenough. J. Electrochem. Soc., 144(5) 1609-1613 (1997)

[25] A. Yamada, S.-C. Chung, K. Hinokuma J. Electrochem. Soc., 148, A224 (2001)

[26] D. Wang, H.Li, Z. Wang, X. Wu, Y. sun, X. Huang, L. Chen:J.

Solid State Chem., 177, 4582 (2004)

[27] R. Dominko, M. Bele, M. Gaberscek, M. Remskar, D. Hanzel, J.M.

Goupil, S. Pejovnik, J. Jamnik. J. Power Sources., 153, 274-280 (2006)

[28] S. Tajimi, Y. Ikeda, K. Uematsu, K. Toda, M. Sato, Solid State Ionics., 175, 287 (2004)

[29] D.H. Kim, J. Kim,Electrochem. Soc., 9(9) A439-A442 (2006)

[30] H. Liu, Q. Cao, L. Fu, C. Li, Y. Wu, H. Wu: Electrochem.

Commun., 8, 1553(2006)

[29] D.H. Kim, J. Kim,Electrochem. Soc., 9(9) A439-A442 (2006)

[30] H. Liu, Q. Cao, L. Fu, C. Li, Y. Wu, H. Wu: Electrochem.

32 -Commun., 8, 1553(2006)

[31] G. Wang, S. Needham, J. Yao, J. Wang, R. Liu, H. Liu: J. Power Sources., 159, 282 (2006)

[32] H. Xie, Z. Zhou, Electrochim. Acta., 51, 2063 (2006)

[33] G. HU, X. Cao, Z. PENG, K. Du, X. Tan, Y. Liu, T. Nonferr.

Metal. Soc., 17, 296 (2007)

[34] M. Zhang, L. Jiao, H. Yuan, Y. Wang, J. Guo, M. Zhao, W.

Wang, X. Zhou, Solid State Ionics., 177, 3309 (2006)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7-4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