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1-61 28 Below

III. 결론

200 TBq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는 지난 50년 동안 중수로인 CANDU 원자로를 22개 호기를 운영해온 캐나다의 CANDU 원자로 1기에서 배출하는 삼중수소의 양(연간 100∼900TBq)과 유사한 수준이다.

4. 모든 원전 부지의 빗물 중 삼중수소의 농도는 일반 환경보다 높다. 그 러나 지표수, 식수, 지하수에서 삼중수소의 농도는 고리, 한빛, 한울발전소 주변에서는 낮거나 거의 검출되지 않고 있고, 월성 원전 주변에서는 상대적 으로 높다. 삼중수소의 농도가 최대로 검출된 공기를 1 년 간 흡입하거나 빗 물 또는 지하수를 1 년 간 식수로 사용한다고 가정하더라도 연간 섭취 선량 은 0.000220.00226 mSv로 일반인의 연간 선량한도(1 mSv)의 0.020.2%

수준이다.

5. 원전으로부터 환경으로 배출되는 방사능 양을 토대로 계산한 주변 주 민의 예측 피폭 방사선량은 0.00450.1 mSv로 부지 당 원전 운영 기준치 (0.25 mSv) 및 일반인의 선량한도(1 mSv) 이하로 유지되고 있다. 삼중수소 에 의한 방사선량은 전체 핵종에 의한 방사선량의 1020% 이다.

6.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에서 배출되는 삼중수소의 양은 원전에 비해 낮은 수준이며, 전체 핵종에 의한 계산된 최대 피폭선량은 부지 당 기준치 (0.25 mSv) 및 일반인의 선량한도(1 mSv) 이하이다.

7. 삼중수소는 베타선을 방출한다. 베타선의 공기 중 투과 거리는 약 6 ㎛로 일반적인 세포의 크기인 730 ㎛에 비해 매우 짧아 외부피폭에는 거의 기여하 지 않고, 흡입 또는 섭취를 통해 체내에 흡수되어 내부 피폭에만 기여한다.

8. 동물실험에서 삼중수소에 의한 암의 유발 및 촉진은 500 mSv 이상의 고선량에서 관찰되었다.

9. 역학 연구는 방사선 피폭에 따른 건강 위험을 추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좋은 증거이다.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15개국 407,391 (520만 person years)명

의 원전 종사들을 대상으로 한 국제 공동 연구에서 장기간 저선량 방사선에 노출된 종사자에게 잠재적인 암 위험도(백혈병을 제외한 모든 암의 ERR/Sv=0.97 [0.14, 1.97])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불확실한 피폭선량 추정 가 능성이 있는 캐나다를 제외하고 분석하면 유의성(백혈병을 제외한 모든 암의 ERR/Sv=0.58 [-0.22, 1.55])이 관찰되지 않았다.

10. 영국, 캐나다, 미국 등의 우라늄 농축 시설, 삼중수소 생산 원전 종사 자에 대한 역학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삼중수소에 의한 기형 출산, 암 발생 또는 사망률 증가 등의 증거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는 대 부분의 연구에서 삼중수소에 의한 내부 피폭의 선량 데이터가 불충분하여 삼중수소의 위험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광범위한 역학 연구와 전체 방사선 피폭에서 초과 위험이 발견되지 않은 사실에 근거 한다면 현재 환경이나 직업적 수준에서 삼중수소에 피폭된 사람들의 암 발 병률 또는 사망률이 증가한다는 결론을 얻을 가능성은 매우 적다.

11. 국내 원자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삼중수소의 양은 법에서 규정한 배 출 기준 보다 매우 낮은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원전 주변 환경 시 료에서 삼중수소의 농도가 높고, 주민 몸에서도 삼중수소가 검출되고 있어 주민의 건강에 대한 우려와 불안감이 존재하는 것도 현실이다. 따라서 삼중 수소를 포함한 모든 핵종의 환경 배출을 ALARA 관점에서 합리적으로 줄이 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하겠고, 동시에 주민 건강의 모니터링과 삼중수 소 인체 영향 연구를 통해 삼중수소의 인체 영향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 인 정보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부록: 전문용어

구경꾼효과 bystander effect : 조사된 인접 세포에서 받는 신호에 의해 촉 발되는 조사되지 않은 세포의 반응.

결정론적 영향 deterministic effect : 문턱선량이 있고 선량이 증가함에 따 라 반응 심각도가 증가하는 특성을 지닌 세포 집단의 상해. 조직반응이라 고도 한다. 생물학적 반응 수정자를 포함하여 피폭 후 절차로 결정론적 영 향을 수정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그레이 gray, Gy : 흡수선량의 SI 단위에 대한 특별명칭: 1 Gy = 1 J kg-1.

단일광자방출 단층촬영술 single hp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 ɤ선 방출 핵종을 검출하여 인체 장기의 질환을 진단하는 데 이용되는 방사형 컴퓨터 단층촬영법.

등가선량 equivalent dose, HT : 다른 선질의 방사선이 미치는 생물학적 효력 차이를 반영하기 위해 조직이나 장기의 평균선량에 그 흡수선량을 부여한 방사선의 가중치를 가중한 선량. 조직이나 장기 T의 선량이며 다 음과 같이 정의된다.



여기서

D T,R

는 조직이나 장기 T가 방사선 R로부터 받은 평균 흡수선량,

w R

은 방사선가중치이다.

w R

는 무차원이므로, 등가선량 단위는 흡수선량 단위와 같이 킬로그램 당 줄(J kg-1)이며, 그 특별명칭은 시버트(Sv)이다.

문턱 없는 선형모델 linear-non-threshold model (LNT) : 낮은 선량 영 역에서 0보다 큰 방사선량은 초과 암 및 유전질환 위험을 단순 정비례로 증가시킨다는 가정에 기초한 선량-반응 모델.

발생, 발생률 incidence, incidence rate : 특정 기간에 집단에서 질병이 발

생한 비율. 일반적으로 연간 1십만 명(또는 1십만 인-년) 당 질병 사례 수 로 표현한다.

방사능 activity, A : 물질의 특정 양에서 단위 시간 당 발생하는 핵변환 수 의 기대치. 방사능의 SI 단위는 매초(

s -1

)이며, 그 특별명칭은 베크렐(Bq) 이다.

방사선가중치 radiation weighting factor,

w R

: 낮은 LET 방사선에 비해 높은 LET 방사선의 생물학적 효력이 높음을 반영하기 위해 조직이나 장 기의 흡수선량에 곱하는 무차원 인자. 이 가중치는 조직이나 장기에 평균 한 흡수선량으로부터 등가선량을 도출하는 데 사용한다.

방사성물질 radioactive material : 방사능과 방사능 농도를 모두 고려하여, 그 방사능 때문에 규제관리 대상이 되도록 국가법률이나 규제기관이 규정 하는 물질.

방사성추적자 radioactive tracer : 방사능을 이용하는 트레이서.

베크렐 becquerel, Bq : 방사능 SI 단위의 특별명칭, 1 Bq = 1 s-1 (2.7 × 10-11 Ci)

비정 range : 방사선 입자가 날아간 거리를 비정이라 하고, 그 자취를 비적 이라고 한다. 알파선의 비적은 거의 직선이고, 베타선의 비적은 지그재그 모양이다. 일반적으로 입자의 에너지가 높을수록 비정이 길다. 생체 안의 비정은 전자가 수십 마이크로 이내이고, 뒤의 것은 수 mm (이를테면 32P) 이다.

생물학적효과비 relative biological effectiveness, RBE : 동일한 생물학 적 효과를 내는 고려 방사선량에 대한 낮은 LET 기준방사선 선량의 비.

RBE 값은 선량, 선량률 및 생물학적 종점에 따라 결정된다. 방사선방호에

서 낮은 선량의 확률론적 영향에 대한 생물학적효과비(RBEM)가 특히 관 심 대상이 된다.

선량계수 dose coefficient : 피폭의 원인이 되는 양과 종점인 선량 사이의 관계를 짓도록 모델과 기준 값을 사용하여 평가한 계수. 방사성물질 단위 섭취 당 선량과 동의어로 사용하지만, 표면에 분포하는 어떤 방사성핵종 의 단위면적 당 방사능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서 외부선량률과 같이, 선량이나 선량률을 방사능의 양이나 농도와 연계하는 계수를 설명 하는 데에도 사용한다.

등가 선량 dose equivalent, H : 조직의 한 지점에서 D와 Q의 곱. 여기에 서 D는 흡수선량이며, Q는 그 지점에서 그 방사선의 선질계수이다. 즉,

H = DQ

등가 선량의 단위는 킬로그램 당 줄(J kg-1)이며, 그 특별명칭은 시버트 (Sv)이다.

섭취량 intake, I : 환경에서 호흡기관 또는 소화기관을 통해 체내로 들어온 방사능.

- 급성 섭취: 짧은 시간에 일어난 흡입 또는 취식에 의한 단일 섭취.

- 만성 섭취: 일정한 기간에 걸쳐 일어난 섭취.

시버트 sievert, Sv : 등가선량, 유효선량 및 실용량의 SI 단위에 대한 특별 명칭. SI 단위는 킬로그램 당 줄(J kg-1)이다.

에너지전달선밀도 linear energy transfer (L, LET) : 어떤 물질에서 하 전입자 방사선의 평균 선형 에너지 손실률. 즉, 물질 내 경로의 단위 길이 당 방사선 에너지 손실. 하전입자가 물질 내 거리

dl

을 지나면서 전자와 충돌하여 잃은 평균에너지 손실량

dE

dl

로 나눈 값.

 



.

L의 단위는 J m-1이며, 흔히 keV μm-1로 나타낸다.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술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 양전자를 방출하는 방사성의약품(11C, 13N, 15O, 18F 등)을 인체 내에 주입한 후 목적 장기 안에서 소멸복사에 의한 감마선을 검출하여 영상을 기록하는 장치.

세포의 기능을 영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검사방법으로 함께 이용되며 최 근에는 분자영상진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연간섭취량 annual intake, AI : 1년 동안 취식 또는 흡입에 의해 체내로 들어간 특정 방사성핵종의 양

예탁선량 committed dose : 체내에 존재하는 방사성 핵종으로 인하여 그 사람이 일정기간 받게 되는 내부피폭선량을 말한다. 예탁선량은 예탁등가 선량이나 예탁유효선량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피폭을 고려하는 기간이 지정되지 않을 경우에 일정기간은 성인은 50년, 아동에게는 70년을 기준 으로 한다.





 

유효선량 effective dose, E : 단일 양으로 방사선에 피폭한 사람의 종합 위해를 근사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도입한 방호량. 유효선량은 다음과 같 이 인체의 모든 특정 조직과 장기에서 등가선량을 조직가중치로 가중한 합으로 표현된다.



또는



여기서 HT나

w R

DT,R는 조직이나 장기 T의 등가선량,

w T

는 조직가중치 이다. 유효선량은 기준인에 대해 평가되며 피폭자 개인 특성을 반영하지 않는다. 유효선량의 단위는 흡수선량의 단위와 같이 킬로그램 당 줄(J kg-1)이며, 그 특별명칭은 시버트(Sv)이다.

전산화단층촬영 computed tomography, CT : 1960년대 Oldendorf에 의해 처음으로 실시되었는데, 그 실용은 Hounsfield에 의해 임상에 적용되었으 며 1972년 최초로 머리부 전용장치가 개발되었다. 기존의 단층영상에서

사용되는 필름 대신에 검출기를 사용하고 X-선관과 영상 수용체인 검출 기의 회전범위를 넓혀(보통 360o 회전) 인체의 장축에 수직방향이며 일정 한 두께를 갖는 횡단면 영상을 얻는다. 검출기에서는 인체의 횡단면을 투 과한 후 감약된 X-선을 획득하여 빛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디지털 신호화한 후 컴퓨터로 보내어 수학적 연산방법을 이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한다. 여러 가지 영상처리를 추가하여 구조물의 가시능력을 향상시켜 브라운관 또는 필름으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조사선량 exposure : 질량이

dm

인 공기의 체적 안에서 광자에 의해 전리된 전하량

dQ

dm

으로 나눈 값이다.

 



dm

의 공기 중에서 광자에 의해 전리된 전자는 에너지를 잃지까지 많은 2 차 전자가 생기는데, 2차 전자는 당연히

dm

밖에서도 생긴다. 이들 2차 전자의 전하를 모은 것이

dQ

이다. 이 양이 측정되기 위해서는 전자평형조 건을 필요로 하므로, 광자 에너지가 몇 MeV 이상 또는 몇 keV 이하일 때는 조사선량을 측정하기가 곤란하다. 조사선량의 단위는 킬로그램 당 쿨롬(C/kg)이며, 그 특별명칭은 뢴트겐(R)이다.

1R = 2.58 × 10-4 C/kg

1R의 X-선, ɤ선이 1g 공기 중에서 만드는 이온쌍의 수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이온쌍  .

조직가중치 tissue weighting factor,

w T

: 신체가 균질하게 피폭할 때 (ICRP 1991b) 총 보건위해에 대한 조직이나 장기 T의 상대적 기여를 나 타내기 위해 그 등가선량에 가중하는 인자. 가중치의 합은 1이다.

 

 .

조직 또는 장기 T의 평균흡수선량 mean abosorbed dose in a tissue or organ T,

D T

: 조직 또는 장기 T에서 평균한 흡수선량

D T

.

문서에서 한 국 원 자 력 학 회 장 귀하 (페이지 141-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