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논문은 교육용 기초 1800 자 한국 한자음과 베트남 한자음을 비교함을 통해 한국어 한자음과 베트남어 한자음의 일치, 불일치를 잘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을 높이려면 한국어 어휘 교육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한국어 한자음 어휘는 외국인을 위한 교재에 많이 나타나는 것이다.

특히, 2 급 이상 한국어를 교육하는 교재이다. 또한 한국어 한자음 어휘를 학습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대부분 외국인이 한국어를 학습할 때 한국어 어휘를 습득하는 것이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것이다. 그런데 한자음을 공통점으로 통해 중국인, 일본인은 한국어를 학습할 때 쉽게 학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베트남 한자음도 한국 한자음과 아주 비슷하다는 것이다. 한국 한자음과 베트남 한자음의 일치, 불일치를 잘 파악하고 한국어를 학습하기에 활용하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한자음 어휘를 습득하는 것이 쉬워질 것이다.

이러한 점에 주목 하여 이 연구는 한국 한자음과 베트남 한자음의 일치, 불일치를 고찰하고 효율적인 한국어 습득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을 5 장으로 제시하였다. 이제까지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면 우선 장에서는 본연구의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및 연구 대상, 선행 연구, 연구 방법 및 필요성 그리고 논의의 구성을 소개하였다.

제 2 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 한자음을 비교해서 한국 한자음과 베트남 한자음의 일치, 불일치를 제시하였다. 한국 한자음을 베트남어로 변환하여 이 장의 내용은 세 큰 항으로 나뉜다. 완전 일치, 부분 일치, 불일치이다. 이 장에서는 1800 한자음의 변환하는 것을 자세히 제시하였다. 완전 일치하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한자음은 ‘2ab, 3abc’으로 표시되고 289 자가 있다. 초성으로 하는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ㅌ, ㅍ, ㅎ’인 15 개이다. ‘ㅎ, ㄱ, ㄷ’

초성의 3 개는 한국 한자음과 베트남 한자음 완전 일치의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초성이다. 중성으로 하는 일치 모음은 8 개의 ‘ㅏ, ㅗ, ㅜ, ㅡ, ㅣ, ㅔ, ㅘ, ㅟ’이다.

289 개의 한자음 완전 일치에서 ‘ㅏ, ㅗ, ㅣ’는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중성이다.

종성의 역할을 하는 자음은 5 개의 ‘ㄱ, ㄴ, ㄹ, ㅁ, ㅂ, ㅇ’이다. 완전 일치(2ab, 3abc)의 ‘종성이 없는 완전 일치, ㅇ, ㄴ’은 가장 많은 3 개의 종성이다.

부분 일치에는 1,110 자가 있고 6 가지로 나뉜다. ‘2a, 3a’의 초성 일치는 ‘2a, 3a’로, 중성 일치는 ‘2b, 3b’로, 종성 일치는 ‘3c’으로, 초성 및 중성 일치는

‘3ab’으로, 초성 및 종성 일치는 ‘3ac’으로, 중성 및 종성 일치는 ‘3bc’으로 표시된다. 초성 일치(2a, 3a)는 286 개가 있고 12 개의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ㅌ, ㅍ, ㅎ’이다. ‘ㄱ, ㅎ, ㄹ’은 초성 일치의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자음이다. ‘2a, 3a’의 불일치 중성을 하는 모음은 15 개이고 ‘ㅕ, ㅐ, ㅜ, ㅗ, ㅓ, ㅛ, ㅖ, ㅠ, ㅣ, ㅚ, ㅢ, ㅡ, ㅔ, ㅞ, ㅙ’이다. ‘2a, 3a’의 종성이 불일치하는 자음들은 3 개의 ‘ㄱ, ㄹ, ㅇ’이다. (2b, 3b)중성 일치하는 한자음은 179 자이다.

‘2b, 3b’의 불일치 초성으로 하는 자음은 12 개의 ‘ㄱ, ㄷ, ㅁ, ㅂ, ㅅ, ㅆ, ㅇ, ㅈ, ㅊ, ㅌ, ㅍ, ㅎ’이다. 일치 중성으로 하는 모음은 ‘ㅏ, ㅗ, ㅘ, ㅚ, ㅟ, ㅜ, ㅣ, ㅔ’이다. 종성 불일치하는 자음은 ‘ㄱ, ㄹ, ㅁ’이다. (3c)종성 일치하는 한자음은 335 자이다. 3c’의 초성이 불일치하는 자음들은 ‘ㄱ, ㄷ, ㅁ, ㅂ, ㅅ, ㅆ, ㅇ, ㅈ, ㅊ, ㅌ, ㅍ, ㅎ’이다. 중성이 일치하는 모음은 13 개가 있다. ‘ㅏ, ㅐ, ㅑ, ㅓ, ㅕ, ㅜ, ㅠ, ㅗ, ㅛ, ㅡ, ㅣ, ㅘ, ㅝ’이다. 종성 일치 자음들은 ‘ㄱ, ㄴ, ㅁ, ㅂ, ㅇ’이다.

초성과 중성 일치(3ab)는 12 개이다. 초성 일치는 ‘ㄱ, ㄷ, ㅁ, ㅂ, ㅅ, ㅇ, ㅎ’이다.

중성 일치 모음들은 ‘ㅏ, ㅗ, ㅣ, ㅘ’이다. 종성 불일치 자음은 ‘ㄱ, ㄹ’이다. 초성과 종성 일치(3ac)는 189 개이다. 초성 일치 자음 11 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ㅍ, ㅎ’이다. 중성 일치 자음 11 개는 ‘ㅏ, ㅓ, ㅕ, ㅗ, ㅘ, ㅡ, ㅣ, ㅑ, ㅜ, ㅠ, ㅛ’이다. 종성 일치 자음 5 개는 ‘ㄱ, ㄴ, ㅁ, ㅂ, ㅇ’. 중성과 종성 일치(3bc)는 109 개이다. 초성으로 하는 자음은 10 개가 있고 ‘ㄱ, ㅁ, ㅂ, ㅅ, ㅇ, ㅈ, ㅊ, ㅌ, ㅍ, ㅎ’이다. 중성 일치 모음들은 ‘ㅏ, ㅗ, ㅜ, ㅡ, ㅣ, ㅘ’이다. 종성 일치 자음은

‘ㄱ, ㄴ, ㅁ, ㅂ, ㅇ’이다.

불일치 한자(0)는 401 자이다. (0)의 초성 불일치 11 개는 ‘ㄱ, ㄷ, ㅁ, ㅂ, ㅅ, ㅇ, ㅈ, ㅊ, ㅌ, ㅍ, ㅎ’이다. 중성 불일치 19 개는 ‘ㅓ, ㅜ, ㅜ, ㅐ, ㅕ, ㅏ, ㅣ, ㅠ, ㅖ, ㅟ, ㅢ, ㅘ, ㅛ, ㅚ, ㅔ, ㅑ, ㅝ, ㅙ, ㅞ’이다. 종성 불일치는 ‘ㄱ, ㄹ, ㅇ’과 개음절이다. 제 3 장에서는 한국 한자음과 베트남 한자음의 차이와 특징을 제시하였다. 이 장의 내용이 4 항으로 나뉜다. 한국 한자음과 베트남 한자음의

대조의 실제에서는 2 장에서 제시한 내용을 모두 정리해서 한국-베트남 한자음에 쓰이는 음절체계 표가 나왔다. 초성으로 하는 ‘ㄱ’은 278 회이고 ‘gi, kh, h, c, nh, s, x, k, q, ng, g’으로 변환된다. ‘ㄴ’은 24 회이고 ‘n’으로 변환된다. ‘ㄷ’은 80 회이고 ‘đ, th, tr’으로 변환된다. ‘ㄹ’은 97 회이고 ‘l’으로 변환된다. ‘ㅁ’은 96 회이고 ‘m, d, v’으로 변환된다. ‘ㅂ’은 134 회이고 ‘b, t, s, ph’으로 변환된다.

‘ㅅ’은 237 회이고 ‘s, x, t, th, tr, nh, ch’으로 변환된다. ‘ㅇ’ 초성은 267 회이고

‘무성, ngh, nh, ng, d, v, l, h’으로 변환된다. ‘ㅈ’은 228 회이고 ‘ch, th, t, gi, tr, đ, x’으로 변환된다. ‘ㅊ’은 124 회이고 ‘th, t, s, tr, x, đ, ch’으로 변환된다.

‘ㅋ’은 1 회이고 ‘kh’으로 변환된다. ‘ㅌ’은 36 회이고 ‘th, đ, tr’으로 변환된다.

‘ㅍ’은 53 회이고 ‘ph, b, t’으로 변환된다. ‘ㅎ’은 44 회이고 ‘h, nh, c, kh, ngh, x’으로 변환된다. ‘ㅆ’은 2 회이고 ‘th, s’으로 변환된다. 중성인 ‘ㅏ’는 336 회이고

‘a, ươ, ư, ai, ă, o, i, y, ê, iê, â’로 변환된다. ‘ㅐ’는 92 회이고 ‘ai, ơi, a, ôi, i, ă, ê’로 변환된다. ‘ㅑ’는 32 회이고 ‘a, ươ’ 으로 변환된다. ‘ㅓ’는 178 회이고

‘ư, iê, i, a, â, ô, ê, uyê, yê, ưa’로 변환된다. ‘ㅔ’는 23 회이고 ‘ê, ây, uê, ư’로 변환된다. ‘ㅕ’는 160 회이고 ‘i, a, iê, uyê, uy, oa, ê, ư, a’로 변환된다.

‘ㅖ’는 32 회이고 ‘ê, ơi, uy, uê, uy, ai, ư’로 변환된다. ‘ㅗ’는 256 회이고 ‘ao, u, o, iê, uâ, ưu, ơ, uô, uyê, oă’로 변환된다. ‘ㅛ’는 37 회이고 ‘ao, iêu, ô, yêu, u, o’로 변환된다. ‘ㅜ’는 216 회이고 ‘u, âu, ưu, uô, uâ, ê, uya, ô, ă, o, â, ôi, uy’로 변환된다. ‘ㅠ’는 67 회이고 ‘uâ, u, iê, uy, ưu, oai, o, âu’로 변환된다. ‘ㅡ’는 64 회이고 ‘ư, ă, i, â, iê’로 변환된다. ‘ㅣ’는 199 회이고 ‘i, y, ơi, â, a, ê, ai, ă, ư, iê, u’로 변환된다. ‘ㅘ’는 54 회이고 ‘oa, a, uô’로 변환된다. ‘ㅙ’는 3 회이고 ‘ai, oat, oa’로 변환된다. ‘ㅚ’는 22 회이고 ‘ôi, oai, uy, ai, ao, oa’로 변환된다. ‘ㅝ’는 19 회이고 ‘uyê, iê, oa’로 변환된다. ‘ㅞ’는 2 회이고 ‘uy’로 변환된다. ‘ㅟ’는 21 회이고 ‘uy, i, ê, y, u, ưu’로 변환된다.

‘ㅢ’는 16 회이고 ‘i, y’로 변환된다. 종성의 역할을 하는 ‘ㄱ’은 204 회이고 ‘c, ch’으로 변환된다. ‘ㄴ’은 299 회이고 ‘n’으로 변환된다. ‘ㄹ’은 85 회이고 ‘t’으로 변환된다. ‘ㅁ’은 77 회이고 ‘m’으로 변환된다. ‘ㅂ’은 37 회이고 ‘p’으로 변환된다.

‘ㅇ’은 328 회이고 ‘nh, ng’으로 변환된다. 종성이 없는 한자음은 770 회였다. 한국 한자음과 베트남 한자음의 차이 원인에서는 2 개의 주요한 원인을 자세히

제시하였다. 한국 한자음과 베트남 한자음의 성조의 불일치, 한글과 베트남 문자의 자모음의 차이이다.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 한자음에 대한 오류 양상에서는 초성, 중성, 종성의 오류 양상을 제시하였다. 이런 오류들은 베트남인의 자주 하는 실수이다. 이런 문제들을 보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 한자음을 쓸 때 실수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국 한자어와 베트남 한자음어의 줄임말에서는 대표적인 한자음어의 줄임말을 나타나는 것을 제시하였다.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는 자주 보는 줄인 한잠어의 양상을 잘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제 4 장에서는 3 항으로 나뉜다. 베트남 학습자의 한국 한자어 하습의 실제에서는 언어교육에 한자음의 응용에 따른 학습, 일상생활에 한자음의 응용에 따른 학습, 한국 한자음과 베트남 한자음의 의미 찾기 보조를 제시하였다.

제 5 장은 결론이다. 여기에서 논문의 간단하게 요약하는 내용이다. 한국과 베트남 한자어가 완전 일치 혹은 부분 일치인 경우 한국 한자음이 베트남 한자음의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베트남 학습자가 인지한다면 베트남 학습자는 모르는 한국 한자음이나 모르는 한국 한자음으로 조합된 어휘라 하더라도 유추하여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한국 한자음이 베트남 한자음과 어느 부분이 같고, 어느 부분이 다른지 사전의 형식을 빌려 『한국·베트남 1800 자 한자음 사전』으로 정리하였다. 베트남 학습자가 이를 이용하여 한국 한자를 학습한다면 학습이 용이해 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연구할 시간이 더 있다면 한국어와 베트남 한자음의 구체적 변환규칙이 무엇인가? 어느 초성이 어떤 중성과 결합하면 베트남어에 어느 자로 변환될 것인가? 그리고 중성과 종성의 결합함은 어떤 자로 변환될 것인가? 어떤 중성이 어느 종성과 합칠 수 있는가? 등 1800 자 한국어와 베트남어 한자음에 대해 좀 더 심도 있게 연구를 할 예정이다.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세종대학교, 경희대학교 등 외국인 유학생이 많은 대학 기관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를 제작 출판하고 있는데 해당 교재에도 예외 없이 한자 어휘들이 수록되어 있다. 급수가 높을수록 교재들의 내용은 어려워지는데 학습자가 어렵다고 느끼는 부분은 대부분 문법이 아니라 어휘들이다. 왜냐하면 급수가 올라갈수록 학습자가 학습해야 할 어휘의 양도 함께 증가하기 때문에 어휘는 학습자에게 큰 부담으로 다가오게 된다.

한국어 3 급 후 교재들에 있는 어휘는 대부분 한자음이라서 중국인을 제외한

외국인에게 큰 어려움이 된다. 베트남에는 한국 한자음에 관한 자료가 많지만 접두사, 사자성어, 한자음 일치 등에 대한 자료가 대부분이다. 이들 자료는 한국 한자음을 학습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 자료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한국에서

외국인에게 큰 어려움이 된다. 베트남에는 한국 한자음에 관한 자료가 많지만 접두사, 사자성어, 한자음 일치 등에 대한 자료가 대부분이다. 이들 자료는 한국 한자음을 학습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 자료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한국에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