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에서 재외동포의 초국가주의는 재외동포사회의 성장과 한국정착의 증가 를 토대로 입국과 법적 지위 등을 명시한 「재외동포법」 제정 및 개정, 이중국적 인정, 재외국민 선거제도 도입 등의 시민적, 정치적 권리에 대한 요구와 활동으

로 나타났다. 대만에서 재외동포의 초국가주의는 중국의 성장으로 인한 화교사 회의 모국에 대한 인식변화를 기초로 축소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럼에 도 대만 국내정치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정치참여와 대만에서의 자녀교육 등은 지속되고 있다. 일본에서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재외동포의 입국 및 정착지원, 통 합지원, 재외국민 선거제도 도입에 대한 요구로 재외동포의 초국가주의가 구체 화되었다.

재외동포 초국가주의의 영향에 대한 동아시아국가의 대응은 시민적 권리와 정 치적 권리의 확대 정책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재외동포사회의 요구를 반영 해 「재외동포법」의 개정을 추진함으로써 전체 재외동포의 입국과 취업, 정착 등 의 권리를 보장했으며, 재외국민 선거제도를 도입해 투표권도 부여했다. 다만 징 병제를 유지하고 있는 한국은 이중국적에 대해서는 불허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 다. 대만의 경우 재외동포의 시민적 권리와 투표권 부여 등의 정치적 권리는 과 거에 비해 축소되었다. 입국과 거주에 있어서는 별도의 제도를 통해 화교에게도 혜택을 주고 있지만 선거권과 피선거권은 대만국적소지자로 한정되었다. 또한 외교적 대표성 부재로 인해 재외국민 선거제도의 시행도 귀국투표라는 제한적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재외동포의 이중국적은 징병제 국가임에도 한국에 비 해 유연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한국이나 대만과 달리 별도의 재외동포 지원제도를 수립하지 않 았고, 기존 법과 정부기구를 통해 재외동포에 대한 시민적 권리 부여를 시행하고 있다. 일본정착 일계인에 대한 통합지원과 이중국적허용 등의 일계인사회의 요 구는 일본정부의 정책에 반영되고 있지 않다. 재외국민 선거제도는 일본에서도 시행되고 있다. 징병제가 없는 일본에서 이중국적에 대한 엄격한 불허입장은 일 본 국적제도의 배타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배타성은 일본거주 외국인에게 지방선거 선거권을 부여하지 않고 있는 일본정부의 입장에서도 분명하게 드러 나고 있다.

동아시아국가의 사례는 재외동포 초국가주의의 영향이 국가의 대응인 정책의 형성과 변화로 또는 기존 정책의 고수로 구체화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 국가들에서 재외동포사회의 시민적, 정치적 권리에 대한 요구는 정책 수립과 조

정에 영향을 미쳤지만 전체 요구사항이 정책으로 구현되지는 않았다. 국가는 국 내외적 상황을 고려해 정책의 형성과 변화를 추진하거나 기존 정책을 고수하는 등 조율자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해왔다. 논문에서는 재외동포의 초국가주 의가 국가의 정책에 영향을 미치지만, 국가는 국내외 정치상황을 반영한 대응을 통해 시민적, 정치적 권리의 정책을 형성하고 변화시킨다는 주장을 한국, 대만, 일본 사례분석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초국가주의와 국가의 대응에 관한 후속연 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기초로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국 가의 대응을 통해 형성되고 조정된 정책이 피드백을 통해 재외동포의 초국가주 의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수용국가의 정책이 재외동포의 초 국가주의에 미친 영향도 추후 다루어져야 하는 영역이다. 이러한 연구영역의 확 대를 통해서 수용국가의 정책, 재외동포 초국가주의, 모국의 정책 형성과 변화, 정책의 초국가주의에 대한 영향이 단일한 분석틀에서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 셋 째 재외동포 초국가주의가 본국과 거주국의 시민적, 정치적 권리 정책에 미친 영 향과 대응에 대한 포괄적 분석 또한 요구된다. 넷째 사례를 확대해 초국가주의와 국가대응의 유형화를 추구해야 한다. 특히 시민민족주의와 종족민족주의 성향 을 가진 국가사례의 비교연구를 통해 유형화 가능성을 검토해야 한다.

교신: 김용찬(대구가톨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yongchankim@cu.ac.kr,전화: 053-850-3333) Correspondence: Kim, Yong Chan(Associate Professor, Political Science, Daegu Catholic University)

(yongchankim@cu.ac.kr, phone: 053-850-3333)

2017.11.07 접수, 2017.11.09 수정, 2017.12.04 게재확정

참고문헌

고선규, 2010, 일본의 재외선거가 선거정치에 미친 영향 분석, 현대정치연구, 제3권 제1호, 157-183.

공봉진, 2010, 중국민족의 이해와 재해석, 한국학술정보.

곽재석, 2012, 포용과 배제의 동포정책과 발전과제, 다문화사회연구, 5(1), 33-73.

국민호, 2016, 국민당의 친(親)중국 정책 실패와 대만의 정권교체, 디아스포라연구, 10(1), 247-274.

김기호, 2016, 중국과 대만 사이에서 변화하는 한국 화교의 이주민 정체성: 서울 화교 사단 조 직에 대한 사례 연구, 아태연구, 23(3), 157-189.

김성수·이영철, 2015, 강요된 의제설정과 재외국민 참정권 부여: 의제설정 통합모형과 그 적 용, 학국행정학보, 49(4), 207-233.

김윤태, 2011, 대만의 이민정책, 중국학연구, 58, 513-533.

김정규, 2012, 탈국가주의, 초국가주의, 이중시민권, 그리고 한국의 복수국적 허용에 대한 논 의, 대한정치학회보, 20집 1호, 47-75.

박광득, 1998, 대만의 재외동포 정책과 사업, 통일문제연구, 20권, 137-167.

박범종, 2012, 재외선거 현황 분석과 투표율 제고방안: OECD국가의 재외선거제도 비교와 미 국, 중국, 일본의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44, 251-280.

박우, 2011, 한국 체류 조선족 ‘단체’의 변화와 인정투쟁에 관한 연구, 경제와사회, 2011.9, 241-268.

선봉규, 2016, 중국 연변조선족의 한국 연계 활동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논총, 제 78호, 53-70.

설동훈, 2013, 국제인구이동과 이민자의 시민권: 독일·일본·한국 비교연구, 한국인구학, 36(1), 21-50.

송석원, 2009, 일본에서의 재외국민 참정권 문제: 쟁점을 중심으로, 디아스포라연구, 3(1), 5-29.

심승우, 2013, 이주민의 증가와 국적 제도의 개선 방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5(1), 175-205.

유숙란·오혜진, 2012, 지방 정치공동체 구성원과 지방 선거권: 한국과 일본의 외국인 지방 선 거권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46(2), 163-185.

윤인진·김희상, 2016, 재외동포 귀환 이주민 공동체의 형성과 현황, 한국민족문화, 60, 37-81.

이광수·서상민, 2016, 대만의 ‘중국 유학생 유치정책’의 특징과 영향: 마잉주 정부 시기를 중 심으로, 韓中社會科學硏究, 제14권 제1호, 259-280.

이상우, 2015, 초국적 이주, 중국조선족과 경계 설정, 한국과 국제정치, 제31권 제2호, 53-91.

이창호, 2012, 한국화교의 ‘귀환’이주와 새로운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45-3, 153-198.

이춘호, 2014, 재한 중국 동포의 정체서의 정치: 단체의 조직과 활동을 중심으로, 아태연구, 21(3), 143-180.

임영언, 2010, 일계인 디아스포라: 초민족공동체 형성과정 연구, 일본문화학보, 46, 449-469.

임영언, 2011, 일계인디아스포라 브라질 이주사에 관한 고찰, 2011년 6월 전남대학교 세계한 상문화연구단 국내학술회의 자료집, 63-85.

임영언·이화정, 2012, 일본인의 동북아시아지역 이주역사와 귀환 연구: 한국, 중국, 대만, 사 할린, 귀환일계인을 중심으로, 2012년 5월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 의, 21-57.

임영언·임온규, 2014, 일본의 이민정책과 일계인의 모국귀환정책 연구: ‘재외방인 우수인재’

유치정책을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63, 281-302.

임채완·김혜련, 2015, 한국 재외동포의 국내 정치참여와 현지 정치력 신장, 대한정치학회보, 23집 1호, 117-137.

전재호, 2008, 세계화 시기 한국 재외동포정책의 쟁점과 대안: 재외동포법과 이중국적을 중심 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제24권 제2호, 99-134.

조정원, 2009, 중국의 화교정책에 대한 연구, 민족연구, 제37호, 120-156.

지은주, 2015, 경제이슈, 정당 재편성, 그리고 중국요소: 대만의 사례, 국제정치논총, 55(1), 65-99.

지충남·이소영, 2014, 재외국민선거에 대한 민단과 재일한인회 회원들의 인식 비교, OUGHTOPIA, 29(1), 67-104.

최경옥, 2014, 일본 국적법의 체계와 운용, 공법학연구, 15(2), 187-219.

최민경, 2012, 전후 일본 정부의 일계인에 대한 인식 변화: 1960-80년대 재외 국민 정책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55(2), 136-167.

최민경, 2014, 일본과 일계인의 관계에 대한 통시적 고찰, 日本硏究, 제22집, 353-385.

최병두, 2011, 다문화공생, 푸른길.

최승현, 2008, 화교화인의 국적문제에 관한 역사적 고찰, 2008년 10월 전남대학교 세계한상 문화연구단 국내학술회의, 55-78.

한종완·임영언, 2014, 일계인의 일본 정착과정에서 나타난 차별의식과 차별유형에 관한 고 찰, 일본문화연구, 52, 433-454.

홍재우, 2010, 새로운 주권자들과 참정권의 확장: 이주시민 참정권의 이해와 제도설계, 한국 정치연구, 제19집 제2호, 225-253.

황정미, 2014, 초국적 이주와 시민권의 재조정: 재외국민·외국인 투표권의 한·일 비교, 아세 아연구, 57(2), 228-257.

Bauböck, Rainer, 2006, Citizenship and migration: concepts and controversies, Bauböck, Rain-er, ed, 2006, Migration and Citizenship: Legal Status, Right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Press, 15-31.

Bauböck, Rainer, ed, 2006, Migration and Citizenship: Legal Status, Right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Press.

Bouböck, Rainer, 2003, Towards a Political Theory of Migrant Transnationalism,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37(3), 700-723.

Chin, Low Choo, 2013, Taiwanese and German Citizenship Reforms: Integration of Immi-grants without Challenging the Status Quo, 1990-2000, Europea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12, 269-294.

Gamlen, Alan, 2014, Diaspora Institutions and Diaspora Governance,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48(S1), S180-S217.

Guarnizo, Luis Eduardo, Portes, Alejandro and Haller, William, 2003, Assimilation and Trans-nationalism: Determinants of Transnational Political Action among Contemporary Mi-grant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8(6), 1211-1248.

Kalicki, Konrad, 2009, Ethnic Nationalism and Political Community: The Overseas Suffrage Debates in Japan and South Korea, Asian Studies Review, 33, 175-195.

Koslowski, Rey ed., 2005, International Migration and the Globalization of Domestic Politics.

London: Routledge.

Koslowski, Rey, 2005, International migration and the globalization of domestic politics, Ko-slowski, Rey ed., 2005, International Migration and the Globalization of Domestic Poli-tics. London: Routledge, 5-32.

Lien, Pei-te, 2010, Pre-emigration Socialization, Transnational Tie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cross the Pacific: A Comparison Among Immigrants from China, Taiwan, and Hong Kong,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10(3), 453-482.

Luova, Outi, 2009, Transnational Linkages and Development Initiatives in Ethnic Korean Yan-bian, Northeast China: “Sweet and Sour” Capital Transfers, Pacific Affairs, 82(3), 427-446.

Portes, Alejandro and Zhou, Min, 2012, Transnationalism and Development: Mexican and Chi-nese Immigrant Organizations in the United State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38(2), 191-220.

Schiller, Nina Glick, Basch Linda, Blanc-Szanton, Cristina, 1992, Transnationalism: A New Analytic Framework for Understanding Migration,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645, 1-24.

Vertovec, Steven, 2009, Transnationalism. London: Routledge.

Waldinger, Roger and Fitzgerald, David, 2004, Transnationalism in Ques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9(5), 1177-1195.

국가법령센터, 「재외동포법」, 「재외동포재단법」, http://www.law.go.kr/main.html.

대만 교무위원회, Certification Service, Statistics, http://www.ocac.gov.tw.

대만 법무부, Laws & Regulations Database, http://law.moj.gov.tw.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