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자는 황토를 활용한 미술작품 제작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이는 천연재료 중 황토에 대한 질료로서의 사용방법과 표현기법들을 연구하고 작품 제작의 합당한 재료로써 활용 가능성과 건강에 유용한 재료임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황토는 우리 민족의 정서상 대지와 어머니를 상징하며 인류가 살아가는 삶의 터전 이고 대지의 10%를 차지하는 소중한 자원이기도 하다. 또한, 집을 짓고 그릇을 만들 며 건강을 위한 약재로도 활용 되어 온 것처럼 인류에게는 오래전부터 매우 친숙하고 유용한 자원이었다.

시각적 표현 측면에서의 황토는 다양한 물감이 발명되기 이전 즉, 고대에는 벽화나 채색화에서 황토 칠의 용도로 쓰이기도 하였지만, 현대에는 일반적인 채색재료로 사 용하기에는 활용가치가 그다지 높지는 않다.

하지만 현대 문명이 발전하면 발전할수록 천연재료가 주는 다양한 효용성이 밝혀지 면서 환경과 건강을 위한 활용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연구자도 오랜 투병 생활과 건강상의 이유로 화학제품의 물감을 대체한 천연재료인 황토를 활용한 작품 제작을 하고 있다. 작품 제작을 위하여 황토를 재료화 하는 방법 과 작품 제작방법, 표현기법들을 실험을 통하여 유용한 결과들을 만들어 내고 꼼꼼히 기록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천연재료인 황토의 사용방법 및 표현기법 등을 반복 실행함으로써 작품 제작 에 차별화된 결과를 얻게 되었으며 이러한 경험들은 후속연구의 중요한 자료가 된 것 이다. 특히 수성 안료나 타 재료와 혼용 및 이종 간의 교반을 통한 새로운 표현 기법 연구는 남은 과제라 할 수 있다.

둘째, 황토는 본 연구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방법의 작품 제작에 매우 적합한 재료 임을 확인하였다. 나무 합판과 같은 표면에 두껍게 부착하여 질감을 표현하거나 벽화 처럼 음각으로 표현하고, 불(火)을 이용하여 열을 가하는 작업과 긁기, 붙이기, 굽기, 문지르기, 떼어내기와 같은 다양한 기법들을 표현하는 데 적합하였다. 따라서 연구자 의 작업의 밀도를 상승시켜주는 중요한 천연재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아울러 연구자의 성장배경과 자기 진술을 통한 의미소들은 작품의 의미분석 을 가능하게 하였고 분석의 도구로 사용된 수형도와 그레마스 기호사각형은 구조를 분석하고 작품의 의미를 한결 명확하게 나타내주었다.

넷째, 황토를 주재료로 한 작업으로 연구자의 작업환경에서 냄새가 나지 않고 화학

재료를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이 없어졌으며 건강도 호전 되어 실제로 작업에 임하면서 심리적인 안정으로 치유와 건강을 유지할 수 있었다.

다만 의학적으로 얻어진 결과가 아니라 주관적이기는 하지만 커다란 도움이 되었음을 빼놓을 수 없다.

마지막으로 자연환경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즉, 환경 은 건강이다. 개인의 건강은 물론 인류 공통의 건강과 직결되어있다. 본 연구자가 황 토를 재료로 한 작품 활동을 통하여 건강을 회복하고 유지하는 것처럼, 자연 친화적 인 재료로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작품 제작의 방법을 제시하고 지구 환경의 회복과 자연으로 회귀의 필요성은 분명히 이 시대의 화두임이 틀림없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믿음사, 1994

김순철, 『종이(지)의이야기』, 도서출판 (주)포장산업, 1992

박아림, 『고구려 고분벽화 유라시아 문화를 품다』, 학연문화사, 1988 문은배, 『한국의 전통색』, ㈜안그라픽스, 2012

송재만, 『건강을 살리는 숯』, 문예마당, 2007 이광묵, 『황토 흙에 대하여』, 이담, 2010 이부영, 『분석심리학 이야기』, 집문당, 2014 이승철, 『아름다운 우리 종이 한지』, 현암사, 2012 이인구, 『흙집으로 돌아가다』, (주)주택문화사, 2009 장마리플로슈, 박인철, 『조형기호학』, 한길사, 1994

최영숙, 이주은, 『한눈에 보는 한지』. 한국 공예 디자인문화진흥원, 2018 칼 구스타프 융, 『원형과 무의식(융 기본 저작집 2)』, 솔, 2002

한국색체연구소, 『한국표준색표집』, KBS문화사업단, 1991 한봉숙, 『반구대 암각화』, 푸른시상사, 2007

AgustI, Anna , 『TAPIES The Complete Works volume 2: 1961-1968』

Gremas, AJ, 『 On Meaning Selected Writings in Semiotic Theory』 Theory and History of Literature, Volume 38,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1987

Grotzinger, John, Jordan, Thomas . , Frank Press, Raymond Siever, 『지구의 이해』, (주)시그마프레스, 2009

학위논문

김나현, 「색의 상징적 의미와 오방색을 활용한 창의적 표현연구 : 2015 개정교육과정

‘미술창작’ 과목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김세원, 「장 뤼르사 요셉 그라우-가라가의 작품에 대한 조형기호학적 분석」, 울산대 학교 디자인학 섬유디자인전공, 1999

김양미, 「물성적 표현에 관한 도자조형 연구」, 석사학위논문, 상명여자대학교 산업대 학원, 1993

김진주. 「현악기 소리에 영향을 미치는 활털과 송진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2009

박진아, 「전통한지를 적용한 현대 일상용품 디자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박찬희, 「한지의 특성을 이용한 현대장신구의 오브제 표현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 위, 2017

유상기, 「참숯(사람을 살리는 신비의 숯)」, 논문, 대한한약협회, 1999

이승연, 「한지 물성을 이용한 기법 연구」, 새한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2019

이은주, 「안토니 타피에스 회화에 나타난 물성(物性)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 원 논문, 1996

조순제, 「흙의 물성표현에 관한 조형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도예학과, 2005

최상임. 「韓紙와 伝統染色의 版画에의 使用研究」. 국내석사학위논문 弘益大学校 美 術大学院, 2002

홍지나, 「전통한옥에 나타난 한지의 활용 특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인터넷 검색

https://th.bing.com/th/id/R.992b5bb278a846c4cf559df954823673?rik=DdBq%2b vUgDsPrpA&riu=http%3a%2f%2fcfile30.uf.tistory.com%2fimage%2f9973CC4E5 A5F6F2C2B4204&ehk=x2h5is%2fk38vkGPCrEeaPREGyqEUbl8tANZW7jsh1rrA%

3d&risl=&pid=ImgRaw&r=0

http://hot.invil.org/index.html?menuno=4218&lnb=20103

http://황토온새미로.com/wp-content/uploads/2019/10/s_02_4.png

https://th.bing.com/th/id/R.7035866d1f94237662e64cfba08c299c?rik=rthpaB2r Br1IIg&riu=http%3a%2f%2fcfs4.blog.daum.net%2fupload_control%2fdownload .blog%3ffhandle%3dMEZFZjVAZnM0LmJsb2cuZGF1bS5uZXQ6L0lNQUdFLzAvN TAuanBnLnRodW1i%26filename%3d50.jpg&ehk=xPsBrKN%2bNU%2f3sKD2ngJ O81WW987vGS8v7LhzYgfmwEo%3d&risl=&pid=ImgRaw&r=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2D94465C79D1F632 https://t1.daumcdn.net/cfile/blog/9961C24E5C6F876D22

https://th.bing.com/th/id/R.1eb4a0601361b32b481d94a83561b0e9?rik=TWJxxuI xRPNN8g&riu=http%3a%2f%2fres.heraldm.com%2fcontent%2fimage%2f2019%

2f11%2f15%2f20191115000367_0.jpg&ehk=J%2fN2AW41Ka880agt7zpAa%2fPxU s1YYoywgtzQCxBkrw0%3d&risl=&pid=ImgRaw&r=0

http://www.greenwoodpan.co.kr/data/goods_old/1450855779280l0.jpg

ABSTRACT

A Study on the Art Works Using Natural Materials

- Based on my

Kim, Sung-Dong Dept. of Textile Fashion Design Th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Ulsan Advised by Prof. Kim, Se-Won

In recent days, the environmental crisis becomes worse. As results of the global warming, average global temperature has gradually increased, and ecosystems have been rapidly changed. New diseases newly emerge which we could not even imagine, and fatal viruses mutating and migrating inter-species threaten human beings. While mankind tries to deal with these great changes in nature with unprecedently advanced science, it could not solve the great changes fundamentally, but just temporarily slow down the upcoming catastrophe of the globe. The outbreak of COVID-19 threatening to mankind around the world is also considered to be closely related with reckless environmental devastation.

According to the Statistics Korea, it is reported that a major cause of the death in 2020 is cancer. It is safe to say that the reckless environment destructions by the human causes not only the cancer, but also COVID-19, and other fatal diseases. Concerns for health of the modern humans yield a major agenda about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make the human being focus on the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s. As a result, the modern humans try to exercise regularly, and be close to nature, healthy foods, and ecological environments to heal themselves.

An author of this dissertation has suffered from a rare cancer for 28 years. As a human and a patient, the author also has great concerns on the health and the environments. From this deliberation, in his artworks, he mainly employs natural loess which has been used by the mankind from ancient times. He considers the loess as the most suitable material for the expression of his artworks. Main intention of his artworks is self-restoring.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