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최근 우리나라의 영어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시되면서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에 대해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언어자아, 불안, 동기, 자아존중, 억제, 태도, 감정이입, 모험 무릅쓰기 등 정의적 변인들 중에서 학습자의 불안감의 정도는 제2 언어학습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들 중 하나로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 중학교 학습자가 영어 원어민 수업에서 불안을 느끼는 정도, 불안감의 성별 차이, 불안감의 학년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중학생들이 느끼는 불안감 은 초기의 높은 불안감을 보였던 선행 연구에 비해서 낮게 나타났지만 학생들은 시험 및 부정적 평가에 대한 요인에서 여전히 높은 불안감을 나타내었다. 또한 불 안감이 남녀 차이, 학년별 차이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험 및 부정적 평가에 대한 요인은 여전히 높은 불 안감을 나타내었는데, 이러한 불안감을 낮추기 위해서 평가 방법을 평소에 수업했 던 내용 자체를 시험에 출제하는 것과 사전에 문제 유형에 익숙해지도록 연습시키 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시험 자체가 학습자들에게 불안을 야기 할 수 있으므로 시 험기간이 아닌 평소 수업시간에 평가가 이루어진다면 평가가 한 번에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에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영어 원어민 수업 불안 을 해결 하기위해서 학습자를 단순한 교육과 지식 전달의 대상자라는 고전적인 시 각을 넘어서 전인적 존재로 인식하고, 학습자의 감정과 의사를 정의적 여과를 최소

화한 상태에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교사의 자세가 필요하다. 또한 학습자 자체 에 대한 보다 철저한 연구와 관심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REFERENCE

김선영. (2011).

요인 분석을 통한 초등학생 말하기 불안해소 방안 연구,

미출간 석 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용주. (2007). 영어 말하기 불안감 완화를 위한 드라마 기법의 활용 방안, 미출간 석 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권유진. (2011). 한국어 학습자의 외국어 불안과 모험시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 향. 이중 언어학, 45, 27-49.

남정미. (2011). 원어민 영어수업에서 느끼는 학습동기, 불안감, 의사소통 의지와 영어성적과의 관계, 영어어문교육, 17, 139-160.

박정숙. (1998). 영어회화 수업에서 불안 심리와 학습동기가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영어교육, 53, 73-102.

박지영. (2011). 원어민 대학영어회화 수업에서의 학습자 배경, 정의적 요인, 말하 기 성취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부경대 대학원.

박현주. (2002). 불안이 영어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언어학. 10, 171-191.

박현주 & 신경구. (2001). 원어민/ 비원어민 교사의 수업이 언어불안과 모험시도 에 미치는 영향. 언어학, 9, 159-181.

박혜숙. (2005). Korean EFL Learners` Orientation, Anxiety and English Speaking Performance, 현대영어영문학, 49, 241-262.

유석재. (2010). 해외 석학들 “한국 학생들, 영어 못해 소극적”. 조선일보.

월 드 와 이 드 웹 : h t t p : / / e d u . c h o s u n . c o m / s i t e / d a t a / h t m l _ d i r 에서 2012년 11월에 검색하였음.

이한준. (2003). 연극 놀이(Creative Drama)를 통한 말하기 불안 해소 방안 연구.

미출간 석사 학위 논문. 춘천 교육 대학교 교육 대학원.

이효웅. (1999). 영어 학습 태도, 동기 및 책략과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미출간 박 사 학위 논문. 경북대학교.

조미원. (2009). 외국어 학습동기와 말하기 불안: 아시아계 학습자를 중심으로. 영

어영문학연구, 35, 185-213.

정민아. (2011). 외국어 수업불안이 영어듣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 학위논문,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황성삼. (2007). 요인분석을 통한 고등학생의 영어 듣기불안과 수업불안 연구. 한 국 교육문제연구, 25, 105-120.

Aida, Y. (1994). Examination of Horwitz, Horwitz, and Cope's construct of foreign language anxiety: The case of students of Japanese. The Modern Language Journal, 78, 155-168.

Bacon, S. M. (1989). Listening for real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Foreign Language Annals, 22, 543-551.

Beebe, L. M. (1983). Risk-taking and the Language Learner. In Seliger, H.

and M. H. Long (eds.), Classroom Oriented Research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owley, MA: Newbury House. 39-66.

Bailey, K. M. (1983). Competitiveness and anxiety in adult second language acquisition: Looking at and through the diary studies. In H. W. Seliger

& M. H. Long (Eds.), Classroom oriented research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67-103. Rowley, MA: Newbury House.

Bloom, (1985). Anxious writers in context: Graduate school and beyond. in M. Rose (Ed), When a writer can't write, (pp.119-133).

Brandl, Klaus. (1987). Ecclecticism in Teaching Communicative Competence.

Master's Thesis, Univ. of Texas.

Brown, H. D. (1994). Affective factors in second language learning. In J. E.

Alatis (Eds.) , The second language classroom: Directions for the eighties, (pp. 111-129).

Davis, J. H. (1969). Group performance Reading, Mass.: Addison-Wesley.

Daly, J. A.(1978). Writing Apprehension and Writing Competency,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 (pp. 10-14).

Daly, J. A. & Wilson, D. A.(1983). Writing Apprehension, Self-esteem, and

Personality. Research in the Teaching of English, 7, 327-341.

Dulay, H., & Burt, M. (1977). Remarks on creativity in language acquisition. In M. Burt, H. Dulay, & M. Finocchiaro (Eds.), Viewpoints on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pp. 95-126). New York: Regents.

Eastman, J. K. (1991) Learning to listen and comprehend: The beginning stages. System, 19, 179-187.

Gynan, Shaw N. (1989). Preferred Learning Practices of Selected Foreign Language Students. American Association of Teachers of Spanish and Portuguese Annual Meeting, San Antonio, 10 August 1989.

Gardener, R. C., and W. Lambert. (1972) Attitude and Motivation in Second Language Learning. Rowley, Mass: Newbury House.

Gregersen, T. (2003). To err in human: A reminder to teachers of language-anxious students. Foreign Language Annals, 36, 25-32.

Hsiao, T-Y. 2002. Unidimensionality of the Chinese version of the 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Scale. Perceptual and Motor Skills, 95, 927-933.

Horwitz, E. K., Horwitz, M. B.,& Cope, J. (1986).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Modern Language Journal, 70, 125-132.

Heyde, A. (1979).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the oral production of a second langua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Ipek, H. (2009). 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Proficiency and gende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Reading, 16, 293-299.

Kim, S, Y. (1998). Affective experience of Korean college students in different instructional contexts: Anxiety and motivation in reading and conversation co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ustin.

Kleinmann, H. H. (1977). Avoidance behavior in adult second language acquisition. Language Learning, 27, 93-107.

Koch, A. S., & Terrell, T. D. (1991). Affective reactions of foreign language students to natural approach activities and teaching techniques. In E. K.

Horwitz & D. J. Young (Eds.), Language anxiety: From theory and research to classroom implications, (pp. 109-126).

Krashen, S. (1981).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Oxford: Pergamon.

Lund, R. J. (1991). A comparison of second language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Modern Language Journal, 75, 196-204.

Matsumura, Y. (2001). An inquiry into 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among Japanese EFL learners. The Society of English Studies, 31, 23-38.

MacIntyre, P. D. & Gardner, R. C. (1994). The subtle effects of language anxiety on cognitive processing in the second language. Language Learning, 44, 283-305.

Meyer, R. (1984). Listen my children, and you shall hear. Foreign Language Annals, 17, 343-344.

Nord, J. R. (1980). Developing listening fluency before speaking: An alternative paradigm. System, 8, 1-22.

Onwuegbuzie, A. J., Bailey, P., & Daley, C. E. (1999). Factors Associated with Foreign Language Anxiety. Applied Psycho linguistics, 20, 217-239.

Satio, Y. & Samimy, K. K. (1996).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language performance: A study of learner anxiety in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level college students of Japanese. Foreign Language Annals, 29, 239-251.

Satio, Y., Horwitz, E. K., & Garza, T. J. (1999). 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The language Journal, 83, 202-218.

Scovel, T. (1978). The effect of affect on foreign language learning: A

review of the anxiety research. Language Learning, 28, 129-142.

Spielberger, C. D. (1975) Anxiety: State-trait process. In C. D. Spielberger

& I. G. Sarason (Eds.), Stress and Anxiety, 5, (pp. 115-143).

Stevick, E. (1976). Memory, meaning, and method. Rowley, MA: Newbury House.

Thompson, M. O. (1980). Classroom techniques for reducing writing anxiety :A study of several cas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Washington, D. C.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188 661)

Tobias, S. (1986). Anxiety and cognitive processing of instruction. In R.

Schwarzar (Eds.), Self-related cognition in anxiety and motivation , (pp. 35-54).

Yamashiro, A. D., & McLaughlin, J. (2001). Relationships among attitudes, motivation, anxiety, and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in Japanese college students. In P. Robinson, M. Sawyer, & S. Ross (Ed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 in Japan: JALT applied materials series 4 (pp. 19-33).

Young, D. J. (1991). Creating a low-anxiety classroom environment: What does language anxiety research suggest? Modern Language Journal, 75, 426-439.

Woodrow, L. (2006). Anxiety and speaking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RELC Journal, 37, 308-328.

Matsumura, Y. (2001). An inquiry into 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among Japanese: EFL learners. The Society of English Studies, 31, 23-38.

부 록 1

<외국어 수업 불안감 측정 도구>

①전혀 그렇지 않다 ②대체로 그렇지 않다 ③그저 그렇다

④대체로 그렇다 ⑤매우 그렇다

1 나는 원어민 선생님 수업에 실수하는 것을 겁내지 않는다. ① ② ③ ④ ⑤

2 나는 원어민 선생님의 호명을 받게 될까봐 떨린다. ① ② ③ ④ ⑤

3 영어시간에 빠지고 싶을 때가 종종 있다. ① ② ③ ④ ⑤

4 영어시간에 나는 수업과 관계없는 생각을 하곤 한다. ① ② ③ ④ ⑤ 5 다른 학생들이 나보다 영어를 더 잘한다는 생각이 자꾸 든다. ① ② ③ ④ ⑤

6 나는 영어수업중 보는 시험이 편안하다. ① ② ③ ④ ⑤

7 나는 영어시간에 알고 있던 것이 생각나지 않을까봐 걱정된다. ① ② ③ ④ ⑤

8 나는 영어점수가 안나올까봐 걱정이 된다. ① ② ③ ④ ⑤

9 영어시간에 자진해서 선생님의 질문에 대답하는 것이 부끄럽다. ① ② ③ ④ ⑤ 10 영어시간이 다른 어떤 과목보다 더 긴장되고 떨린다. ① ② ③ ④ ⑤ 11 영어수업을 대비해서 준비를 미리 잘 했어도 나는 걱정이 된다. ① ② ③ ④ ⑤ 12 나는 영어 선생님이 내 실수를 모두 고칠까봐 겁이 난다. ① ② ③ ④ ⑤ 13 선생님이 나의 실수를 교정해주는데 그것을 이해하지 못할 때 나는 당황한다. ① ② ③ ④ ⑤ 14 영어 시험공부를 하면 할수록 내용이 더 정리가 안 된다. ① ② ③ ④ ⑤ 15 나는 영어수업에 예습을 잘해야만 한다는 부담을 느낀다. ① ② ③ ④ ⑤ 16 영어수업 진도가 너무 빨라 내가 뒤쳐질까봐 걱정이 된다. ① ② ③ ④ ⑤ 17 영어수업시간에 여러 사람 앞에서 말할 때 긴장하고 머릿속이 혼란스럽다. ① ② ③ ④ ⑤

18 영어수업이 시작될 때 나는 마음이 편안하다. ① ② ③ ④ ⑤

19 나는 영어선생님의 말을 다 알아듣지 못할 때 긴장이 된다. ① ② ③ ④ ⑤ 20 내가 영어로 말할 때 친구들이 비웃을까 걱정이 된다. ① ② ③ ④ ⑤

부 록 2

설 문 지

*이 설문은 연구목적으로만 쓰일 것이며 연구가 끝난 후에는 폐기될 것입니다.

각 문제당 하나의 번호에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___학년 ___반 ___번 이름:__________ 성별(남/여)

Part 1. 본인에게 해당되는 번호를 골라주세요.

1. 영어공부는 언제부터 시작 했나요? ( )

① 유치원 입학 전부터 ② 유치원 다닐 때부터 ③ 초등학교 1~2학년 때부터

④ 초등학교 3학년이후부터 ⑤ 기타 ( )

2. 학교 수업을 제외하고 하루에 보통 몇 시간 영어공부에 투자합니까? ( )

① 1시간 미만 ② 1-2시간 ③ 2-3시간 ④ 3시간 이상

3. 학교 이외의 곳에서 원어민 선생님과 수업해 본적이 있나요? ( )

① 예 ② 아니오

4. 영어권 국가에 여행하거나 살아본 적이 있습니까? ( )

① 없다 ② 있다(여행) ③ 있다(거주)

5. 현재 자신의 영어 성적은 어느 정도 인가요? ( ) (2012 학년 1학기 기말고사 점수를 기준으로)

① 40점 미만 ② 41~50점 ③ 51~60점 ④ 61점~70점

⑤ 71점~80점 ⑥ 81~90점 ⑦ 91점~100점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