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금까지 지명어의 후부요소 및 형태‧음운론적 분석을 하였다. 각 장에서 다루어진 지명어의 후부요소 분석, 형태‧음운론적 고찰을 통하여 밝혀진 제 주 지명어의 후부요소, 형태‧음운론적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명어의 후부요소 중에서 가장 많이 분포된 것부터 보면 1) 밧/왓/팟[田]

1376곳 2) 동산[丘] 839곳 3) 물[水] 501곳 4) 여[礁] 381곳 5) 루/르[宗]

288곳 등의 순이었다. 이 사실은 제주 지역이 후부요소 분포는 사람들의 생 활 환경 및 자연 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보여 주고 있다.

그리고 육지 지명어와 비교하여 후부요소의 형태가 차이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제주 지역이 고어형태의 후부요소를 많이 간직하고 있으며, 생활 환경과 풍토가 육지와는 사뭇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후부요소의 형태적 특성 중 하나는 다양한 이형태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다. 이형태는 ‘밧/팟/왓’과 같은 ‘첨가, 교체, 탈락’으로 인한 이형태가 많다. 또 한 ‘슬(실)/을/마을’처럼 고어형과 신어 형태가 공존하고 있는 것도 제 주 지명어의 특징 중 하나이다.

형태론적 측면에 보면 제주 지명어의 단어 형태 구조는 ‘체언 + 체언 (N+N)’의 결합 구조가 64개나 나타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관형어 + 체언(D+N)’의 결합 구조에는 ‘관형사 + 명사(d+n)’의 구조가 3개,

‘형용사의 관형형 어미 + 명사(ar+e+n)’의 구조가 12개, ‘동사의 관형형 어미 + 명사(vr+e+n)’의 구조가 15개가 나타났다.

‘용언의 어근 + 명사(Vr+n)’의 구조에는 ‘형용사 어근 + 명사(ar+n)’의 구조 가 2개, ‘동사 어근 + 명사(vr+n)’의 구조가 2개, ‘부사 어근 + 명사(adr+n)’의 구조가 1개 나타났다.

그리고 접사와 결합하는 형태로는 ‘접두사 + 체언(p+N)’의 결합 구조가 2

개, ‘체언 + 접미사(N+s)’ 구조가 5개, ‘용언의 어간 + 접미사(Vr+s)’ 구조가 2

음화의 확대로 보이며, 제주 지명어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의 통시적 변천을 보더라도 체언이나 용언에서 두 음절 사이에 있던 /h/

의 요소가 결합될 때 한 방향으로 변동될 뿐 그 역은 거의 성립되지 않기 때 문이다. 제주 지명어에서도 모음 강도 이론에 따라 반모음 /ɨ̯/가 탈락되고 있 음을 볼 수 있다.

한 낱말 안에 같은 또는 비슷한 음운이 둘 이상 있을 때 그 말에 생신(生 新)한 맛을 더하게 하기 위하여 또 표현을 명료하게 하려는 작용으로 그 중 한 음운을 다른 소리로 바꾸는 일이 있다. 이것은 동화에 반대되는 현상이다.

제주 지명어에서는 모음의 이화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제주 지명어의 후부요소 분류 및 형태소 분석을 통하여 국어학적 연구로서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지명어를 일반 언어와 비교하여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국어학적 특징들이 지명어에서도 어 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 보았다.

지명어에서도 일반 언어에서와 같은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었지만, 현존하는 지명어 중에 고어 형태가 아직까지 오래 보존되고 있다는 특징과 신어가 발 생하더라고 고어형이 사라지지 않고 그대로 공존하고 있다는 특징이 밝혀졌 다.

그리고 지명어의 합성과 파생 구조를 보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단순한 형 태에서 앞뒤로 덧붙여 나가는 합성 및 파생어의 형태가 일반 언어보다 매우 많다는 것이다. 특히 구형 합성 지명이 매우 많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었다.

따라서 지명어의 어휘, 형태․음운론적 연구는 국어학의 공시적 연구와 통시 적 연구를 병행하여 할 수 있어 국어학을 총체적으로 연구 하는데 중요한 일 익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제주 지명어 형성의 구조가 밝혀져 그 형태와 이론이 정립된다면 국어의 단어 형성의 전모를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제주 지명어가 여러 대에 걸쳐 별다른 저항을 받지 않고 사용되어 온 만큼 제주 지명어 형성에 나타나는 구조를 이용하여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새로운 지명어 자료나 잘못된 지명어 자료들을 바로잡을 수 있는 기틀 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일반 언어를 위주로 다루어져 왔던 일반 언어학 및 국어학 연구

들이 지명어 연구를 포함함으로써 좀더 국어학 발전에 기여하리라고 본다.

또한 국어학이 지명학이라는 인접학문과 함께 통합적인 연구가 시도됨으로써 학문의 총체적인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參考 文獻

서귀포시(1999), 서귀포시지명유래집, 정아기획.

남제주군(1996), 남제주군고유지명, 경신인쇄사.

제주시‧제주문화원(1996), 제주시옛지명, 세림원색인쇄사.

朴用厚(1992), 제주도 옛 땅이름 연구, 제주문화사.

진성기(1960), 남국의 지명유래, 제주민속연구소.

한글학회(1984), 한국지명총람 16(제주‧전남편), 한글학회.

오성찬(1992), 제주 토속지명 사전, 민음사.

박용후(1988), 제주방언연구-자료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濟州道(1995), 濟州語辭典, 제주대학교박물관(제주방언연구회).

南廣祐(1997), 古語辭典, 敎學社.

劉昌惇(1964), 李朝語辭典, 연세대학교출판부.

강병륜(1997), 고유지명어 연구, 박이정.

姜榮峰(1993), 濟州島方言의 動物 이름 硏究, 경기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______(1994a), 제주지방의 지명, 「새국어생활」 4-1, 국립국어연구원.

______(1994b), 제주의 언어(1), 제주문화.

______(1995), 제주도방언의 어휘론적 연구, 「耽羅文化」 15, 제주대 탐라문화 연구소.

______(1997), 제주의 언어(2), 제주문화.

고영근(1973a), 현대국어의 접미사에 대한 구조적 연구(Ⅰ), 「서울대학교 논문 집(인문사회과학)」 제18집, 서울대학교.

______(1973b), 현대국어의 접미사에 대한 구조적 연구(Ⅱ), 「亞細亞硏究」 제 48호, 고려대.

______(1973c), 현대국어의 접미사에 대한 구조적 연구(Ⅲ), 「語學硏究」 제9권 1호, 서울대 어학연구소.

______(1973d), 현대국어의 접미사에 대한 구조적 연구(Ⅳ), 「학술원논문집 인 문과학연구편」 제12집, 대한민국학술원.

______(1983), 국어문법의 연구, 탑출판사.

김정호(1994), 古地名의 kVr-系 語形에 對한 硏究, 충남대 대학원 박사학위논

종합학술보고서」, 부산대 한일문화연구소.

兪昌均(1960), 古代 地名 表記의 聲母體系 - 主로 三國史記의 地理志를 中心

연구회.

______(1983), 濟州島 特殊地名에 대하여, 「秋江黃希榮博士頌壽紀念論叢刊行

Aronoff, M.(1976), Word Formation in Generative Grammar, Linguistic Inquiry Monograph Ⅰ, Cambridge, Mass, Press.

Jakendof, R.(1975), Morphological and Semantic Regularities in the Lexicon, Language 51, No 3.

Martin S. E.(1954), Korean Morphonemics, Baltimore, The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Bloomfield, L.(1972), Phonological Theory,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Shibatani, M.(1973), The Role of Surface Phonetic Constraints in Generative Phonology, Language 49.

Sohn, H.(1977), On the regularization of the irregular Verbs in Korean, Language Research 13-1.

Stampe, D.(1973), A dissertation on natural phonology,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Chomsky, N. and M. Halle.(1968),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New York, Hopper and Row.

Matthews, P. H.(1974), Mophology, Cambridge, etc., Cambridge University Press.

Hyman, L. M.(1975), Phonology: Theory and analysis,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Jakobson, and Halle(1956), Fundamentals of Language, The Hague:

Mouton.

Shane, S. A.(1973), Generative phonolog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부 록

가몰도레 가몰+도레 [n+n]n 제주이호

감낭밧 감+낭+밧 [n+n+n]n (MM)M 서귀서귀

개낭밧 개+낭+밧 [n+n+n]n (MM)M 서귀호근

거슨새미 거스+ᄂ+새미 [vr+e+n]n (MM)M 서귀호근

고냉이소 고냉이+소 [n+n]n 서귀하원

고상여 고상+여 [n+n]n 서귀색달

곱뒌밧 곱+뒈+ᄂ+밧 [n+vr+e+n]n ((MM)M)M 제주오라

구릉동네 구릉+동네 [n+n]n 제주아라

구제기왓 구제기+왓 [n+n]n 제주아라

궤에물 궤에+물 [n+n]n 제주연동

꼬짝돌(2) 꼬작+돌 [ar+n]n 서귀대포

냇깍 내+깍 [n+n]n 제주건입

너븐자리 넙+은+자리 [ar+e+n]n (MM)M 제주용담

논드르 논+드르 [n+n]n 제주해안

담낸밧 담+내+ᄂ+밧 [n+vr+e+n]n ((MM)M)M 제주회천

당밧 당+밧 [n+n]n 제주노형

댓밧 대+밧 [n+n]n 제주삼양

도리통(1) 도리+통 [n+n]n 서귀보목

돔벵이물 돔벵이+물 [n+n]n 서귀하예

동물 동+물 [n+n]n 제주용담

동언새미 동+얼+ᄂ+새미 [n+ar+e+n]n M((MM)M) 서귀호근

뒤곶동산 뒤+곶+동산 [n+n+n]n (MM)M 제주화북

등돌거리 들+ᄆ+돌+거리 [vr+e+n+n]n ((MM)M)M 제주용담

막바위여 막+바위+여 [n+n+n]n (MM)M 제주이호

매밧 매+밧 [n+n]n 제주아라

먼모루 먼+루 [n+n]n 서귀우남

모팡 모+팡 [n+n]n 서귀영천

묵은바령밧 묵+은+바령+밧 [ar+e+n+n]n (MM)(MM) 제주이호

물짚은원 물+짚+은+원 [n+ar+e+n]n ((MM)M)M 제주이호

문서에서 제주 지명어의 형태·음운론적 연구 (페이지 157-20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