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치과기공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파악하고 영향요인 을 알아보고자 제주지역에 근무하는 치과기공사 102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 결 과는 다음과 같다.

1. 응답자의 면허취득 지역은 제주도 내 52명(51%)과 제주도 외 50명(49%)이었 으며, 대학교육 중 감염관리 교육받은 경험은 33명(32.4%), 보수교육 경험은 19명(18.6%)으로 감염관리 교육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 Likert 5점 척도를 이용 분석 결과, 감염 가능성 인지정도는 3.74±1.13, 예방에 대한 인지정도는 2.88±0.96으로 나타났다. 진료실로부터 소독 여부 및 감염환 자라는 별도 표시를 받은 경험은 2.59±1.21, 보철물로 인한 혈액 및 타액 노출 경험은 4.33±0.76으로 나타나 감염관리 교육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감염관리 체 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3. 보철물 제작 관련 감염관리 인지도 및 실천도 분석 결과, 인지도는 2.41±1.10, 실천도는 2.12±1.31로 실천도 보다 인지도가 높았으며, 완성된 의치, 인상체 및 교합 인기재, 기록상 및 교합제 순으로 낮았다. 소독 미준수 이유로는 과도한 업무량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감염관리 물품부족,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 변형에 대한 우려, 기타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4. 일반 특성에 따른 보철물 제작 관련 감염관리 인지도 및 실천도 분석 결과, 인지도와 실천도 모두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직위가 높을수록, 치과기공소 보 다 치과기공실이 인지도 및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 다.

5. 근무 특성에 따른 보철물 제작 관련 감염관리 인지도 및 실천도 분석 결과, 인지도는 근무시간이 짧을수록, 상처 경험이 없는 그룹에서, 졸업 후 교육경험 이 있는 그룹에서 다른 그룹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실천도는 직장 규모가 작 을수록, 근무시간이 적을수록, 휴게시간이 많을수록, 상처 경험이 없는 그룹에 서 다른 그룹에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연구 결과 치과기공사들의 감염 교육은 부족하며, 감염위험에 대해 인식하는 것보다 실천도가 낮게 나타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감염 교육 및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감염관리 교육을 체계를 점검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치과기공사 스스로 위험성을 인지하고 개인보호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 협회 등 치과계에서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감사의 글

처음 대학원을 가기로 했을 때부터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잘 할 수 있을까 하 고 걱정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석사과정을 무사히 마무리하고 있는 지금에서 되 돌아보니 과거의 일이 주마등처럼 지나갑니다. 먼저 배움의 기회를 주신 치기공 과 박남규 교수님과 제주대학교 보건대학원이 신설되기까지 노력하신 교수님들 의 노고에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또한, 논문을 마무리 할 수 있도록 격려와 아 낌없이 이끌어주신 김성준 지도교수님, 감세훈 교수님께 이 지면을 통해서 진심 으로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서로 힘이 되어준 학부 동기들, 저와 같이 한 김가희 후배, 연구에 도움을 주신 제주도 치과기공사협회 회원분들과 업 무시간을 배려해주신 소장님, 직장 동료들에게 미안함과 감사한 마음을 전합니 다. 그리고 공부한다고 남편과 아빠로서의 빈자리를 묵묵히 채워준 사랑하는 아 내와 세 귀염둥이 서진, 서준, 서연이에게 고맙고 사랑한다고 전합니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해주시는 아버지와 암으로 고생하시면서도 응원해 주신 어머니께 큰아들로서 신경 쓰지 못해 죄송한 마음이 듭니다. 항상 노력하는 아들이 되도록 열심히 살겠습니다. 사랑합니다

참고문헌

1. KCDC, Guidelines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Healthcare associated infect ions, Chungbuk, 2017.

2. Oh HS, Choe KW. Descriptive study of reported bloodborne exposures in h ealth care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 ntrol 2002;7(1):51-64.

3. Kang JO. Occupational infections of health care personnel in Korea. Hanya ng Medical Reviews 2011;31(3):200-210.

4. Ju HJ, Lee JH. Structural relationship of variables regarding nurse’s preven tive action against needle stick injury.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5;

21(1):68-181.

5. Ryu MH. Cross-infection in dental clinic and infection control. J Namseoul Univ 2005;11(1):157-172.

6. Choi JO, Kim HG. Dental Technician's Cognizance and Level of Practice in Cross Infection.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9;10(2):59-86.

7. Jeon HS, Lee JH. The study of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on dental practitioners during the prosthodontic treatment.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5;53(3):189-197.

8. Oh NS, Seo JM, Kim SH, Youn YA, Shim JS. Agar-alginate combined imp ression technique and dimensional change resulting from idophor disinfectio n.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4;42(1):21-29.

9. Upendran A, Bhimji SS. Dental, Infection Control. [Updated 2017 Nov 29]. I 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18 J an.

10. Hiroshi E, Takao W, Keiko A, Munemasa K, Yoshitoshi K, Shunji A, et a l. An analysis of the persistent presence of opportunistic pathogens on pat ient-derived dental impressions and gypsum casts. Int J Prosthodont 2008;

21(1):62-68.

11. Sofou A, Larsen T, Fiehn NE, Owall B. Contamination level of alginate i mpressions arriving at a dental laboratory. Clin Oral Investing 2002;6(3):16 1-165.

12. McNeill MRJ, Coulter WA, Hussey DL. Disinfection of irreversible hydroc olloid impression: a comparative study. Int J Prosthodont 1992;5(6):563-75 6.

13. Cho GL, Choi JS. Knowledge of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by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0;17(1):

73-81.

14. OH SK, Prevention of infection in the dental unit. J Korean Dent Assoc.

1998;36(12):837-844.

15. Bae SS.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for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 ion at Dental Hospit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11.

16. Yun KO. A study on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index in dental office. J Health Info Stat 2013;38(2):23-35.

17. Gupta S, Rani S, Garg S. Infection control knowledge and practice: a cros s-sectional survey on dental laboratories in dental institutes of north india.

J Indian Prosthodontic Society. 2017;17(4):348-354.

18. Vázquez IR, Gómez RS, Estany GA, Mora MB, Varela CP, Santana UM.

Control of cross-contamination in dental prostheses laboratories in galicia.

An. Sist. Sanit. Navar. 2018;41(1):75-82.

19.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Internet]. seoul, ko rea.[cited 2018 Jun 24]. Available from http://www.kuksiwon.or.kr/Examina tion/OccuLicense.aspx?PageName=LicensInfo&JobCode=10&SiteGnb=8&Site Lnb=1

20. Bae JM, Kim KM, Kang WJ, Kim KN. Comparison of different interocclus al recording materrials. J. Kor Res Soc Dent Mat 1995;22(2):187-195.

a Publishers; 2007.pp.236-709

22. Lee JH. The infection control of dental impressions. J Dent Rehab App Sc i 2013;29(2):183-193.

23. Lee YH, Choi SM. The cognition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in denta l workplace. J. Korean Soc 2015;9(6):409-416.

24. Lee DJ, Ko SH, Lee YH. Perception and practice of hospital infection cont rol in nurses of geriatric hospital : for convergent approach. Journal of Di gital Convergence 2015;13(11):461-470.

25. Park KY, Han DW. Awareness and compliance on the nosocomial infectio n control and factors influencing the compliance among physical therapist.

J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1;13(4):1893-904.

26. American Dental Association. Infection control recommendations for the de ntal office and the dental laboratory. J Am Dent Assoc 1996;127(5):672-680.

27. Yun KO. A study on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index in dental office. J Health Info Stat 2013;38(2):23-35.

28. Jang KA, Park JH. Factors influencing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nd im plementation levels among dental hygienists. J Dent Hyg Sci 2016;16(2):18 3-192

29. .Park KH, Choi HJ. Correlations of education experience, awareness and p ractice of infection control during the prosthodontic treatment in clinical d 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7;17(4):681-691.

30. Choi HJ, Park KH. Relationship between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of cli nical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6;16(5):717-723.

31. Bae EJ.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Recognition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s in Dental Laboratories[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2010.

ABSTRACT

Awareness and practice in infection control of dental technicians in Jeju Province

Gyeong-Pil Moon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JE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Sung-Joon Kim)

As the interest in healthcare acquired infection increases, the importance of its infection control increased as well. Although there have long been comments on the possibility of infection from prosthetic devices in the dental field during delivery, the research on infection control of dental technician is still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 and analyze the effective infection control of having its awareness with dental technicians and to use as the preliminary data of infection control.

This data was gathered from online and written survey of 102 dental technicians from November 7th, 2017 to January 31st, 2018 with the cooperation of Jeju association of dental technici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mong the respondents, 52(51%) and 50(49%) were licensed in and out of

Jeju Island. 33(32.4%) were trained with infection control during college.

Respondents who had supplementary education after graduation were 19(18.6%).

2. In the analysis of Likert 5-point scale showed that the rate of infection awareness was 3.74±1.13 and the of prevention was 2.88±0.96. The rate of people who had experience of being diagnosed with infectious disease from dental clinic was 2.59±1.21 and exposed to blood and saliva from prosthetic devices was 4.33±0.76.

3. In the result of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in the process of producing prosthesis, the awareness rate was 2.41±1.10 and its practice rate was 2.12±1.31 which means to say people had higher awareness. The descending order as follows; fabricated denture, impression-interocclusal record, and recording base-occlusal rim. The reasons for failure in infection control are due excessive amount of work, lack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 lack of awareness of necessity, concerns about deformation, and so on.

4. According to general analysis in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nd the practice associated with the manufacture of prosthesis are found higher in males with higher positions at work. I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ap in following the infection control guideline in the clinic dental laboratory group than the dental prosthesis companies.

5.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work, the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ssociated with the manufacture of prosthesis are higher in shorter working hours, with no experience of injury and in who were trained after college.

For the infection control practice associated with the manufacture of prosthesis are higher in smaller size of laboratories, in shorter working hours, with more break at work and in group of no experience of injur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education of dental technicians on infection control is insufficient, and have less sense of practice than its

awareness. Which means to say it requires ongoing systematic infection control training and management.

The current infection control needs to be checked and supplemented. In order for dental technician to be aware of its danger and be interested in their own protection, More improvement in working conditions is necessary. It is suggested that dental companies and associations to pay attention and give more support.

안녕하십니까?

저는 제주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구강보건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으로서 석사학위 논문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본 설문지는 “제주지역 치과기공사들의 직무 중 교차 감염과 물질안전보건 자료 인식 및 교육 필요성에 관한 연구”로 치과기공사들의 물질안전보건자 료와 직무 중 교차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 실천도 현황, 교육의 필요성에 대 한 조사를 하여 감염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합니다.

설문지의 소요시간은 대략 10-15분정도 예상되며 귀하의 의견이 본 연구 에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것입니다.

본 연구의 참여 결정은 귀하의 자유의사에 따라 자발적으로 설문에 참여할 수 있으며 연구에 참여 중 원하지 않는 경우 언제든지 참여를 철회할 수 있 습니다.

이 설문지는 익명성이 보장되며 조사된 자료는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됩니 다. 따라서 비밀이 보장되고, 개인정보에 대한 자료 수집은 이루어지지 않습 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본 조사를 위하여 귀중한 시간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주대학교 보건대학원 구강보건학 전공 연 구 자 : 문 경 필 지도교수 : 김 성 준 연 락 처 : 010 – 7203 – 3357 E-mail : mkp3357@gmail.com

부 록 (설문지)

Ⅰ-1. 대학 교육과정 중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1) 교육받음 2) 교육받지 않음

Ⅰ-2. 졸업 후 보수교육을 통해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있습니 까?

1) 교육받음 2) 교육받지 않음

I-3. 평소 교차감염 예방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습니까?

1) 전혀 모른다. 2) 잘 모른다. 3) 조금 알고 있다. 4) 자세히 알고 있 다.

I-4. 평소 치과기공소/실에서 교차감염 가능성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 하십니 까?

1) 전혀 없다. 2) 거의 없다. 3) 가끔 있다. 4) 항상 있다.

I-5. 치과진료실로부터 인상체 및 교합인기재(Bite), 석고모형에 소독 여부 및 감염환자라는 별도 표시를 받은 적이 있습니까?

1) 전혀 없다. 2) 거의 없다.  3)가끔 있다. 4) 항상 있다.

I-6. 치과기공소/실에서 환자의 혈액이나 타액이 묻은 인상체 및 교합인기재 (Bite)에 얼마나 자주 노출 되고 있습니까?

1) 전혀 없다. 2) 거의 없다. 3) 가끔 있다. 4) 항상 있다.

I-7. 치과기공소/실에서 작업 중 교차 감염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항목에

‘V’표시 해주시기 바랍니다. ( 복수표시 가능 ) 1) 수리 의뢰된 보철물

2) 인상체 및 교합인기재(Bite) 3) 기록상 및 교합제(Wax rim)

2) 인상체 및 교합인기재(Bite) 3) 기록상 및 교합제(Wax rim)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