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구성주의 수업과 전통적인 수업을 비교 한다면 교사의 노력이 전통적인 수업에 비해 구성주의 수업은 교사의 노력이 많이 들어간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교사는. 매 수업마다 수업의 목표를 정하여 학생들이 목표에 이를 수 있도록 과정을 구 상 해여야 하며 각 과정마다 학생들의 반응을 예상하며 수업 안을 구상하여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을 하며 학생 개인별로 맞춘 수업을.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정보전달식 수업에 비해서 교사의 노력과 시간 이 많이 필요로 한다.

현재 우리의 교육은 전통적인 학생들의 수동적인 학습 방식에서 벗어나 능동적 인 학습을 격려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과 같은 학습법이 인정을 받고 있다 이러. 한 환경에 맞추어 제 7차 교육과정에서도 학습자의 활동을 중시한 수업들이 많 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업방식은 Piaget가 주장한 발생론적 인식론에 근 거한 구성주의 수업에 근거를 두고 있으므로 Piaget의 이론의 핵심인 반영적 추 상화에 대해 많은 이해를 두며 수업이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활동을 통한 구성주의적 수업은 반영적 추상화의 핵심인 내면화 주제화, , 균형화 등에 맞추어 시행이 되어야 하지만 학생들이 기존에 알고 있는 개념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과정 없이 획일적인 활동 중심의 반영적 추상화 수업으로 구 성되어 있다면 수업은 반영적 추상화의 기본 단계인 내면화에 이르도록 하는 단 계를 약화 시킬 수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반성이후의 추상화 단계로 이어지지 않 을 수도 있다 따라서 반영적 추상화를 중심으로 하는 활동 중심의 수업일 경우. 에는 학생 개인들의 알고 있는 인식수준이 무엇인지 먼저 파악을 하고 내면화, 주제화 균형화 등에 이르도록 하는 교사의 노력이 무엇보다 필요로 한다, .

위와 같은 노력에는 역시 교사가 반영적 추상화의 단계가 무엇인지 그리고 구 성주의 수업이 무엇인지 확실하게 이해하며 적용을 하고 개선 방향이 무엇인지 고민하여야 할 것이다.

반영적 추상화 즉 조작적 구상주의 수업을 현장에 적용 시켜 보고 각 상황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며 적용한 교수 방법에 대해 학생들의 반응을 고려하여 분석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성주의 수업을 적용 시켜야 할 때에는 단순이 이론을 알고 있을 때 적용을 한다고 해서 바람직한 구성주의 수 업이 되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즉 교과서에 나와 있는데도 수업을 진행한다고. , 해서 구성주의 수업이 제대로 진행된다고 보기 힘들며 학생들의 어떠한 과정에 서 반응이 어떻게 나올지 예측한다는 것은 교사가 그만큼 학생들에 대한 이해에 대해 노력을 해야 함을 보여준다.

또한 반영적 추상화를 이용한 구성주의 수업을 진행 하여야 할 때 학생들간 서, 로 의견을 주고받으며 자신들의 의견에 대해 반성할 기회를 가져보게 하는 소규 모 협동 학습이 중요하나 제대로 된 소규모 협동학습의 의미의 의해 없이 학생 이나 교사가 획일적으로 시행을 하게 된다면 시간만 낭비하게 되고 성과가 없는 의미 없는 수업이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협동학습의 활성화 방안도 발전시키려 는 노력을 교사가 생각해 봐야할 문제라고 본다.

끝으로 본연구자가 이번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을 요약하며 결론에 따라 조 작적 구성주의수업을 시행함에 있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반영적 추상화의 핵심은 학습자의 행동을 내면화 하여 동화 및 조절 단계, 로 이끄는 반성 단계로의 이행을 필요로 한다 조절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습. 자의 인지구조의 변형을 이끄는 불 균형화를 시켜야 하는데 이 불 균형화는 학 습자의 인지수준과 너무 동떨어진 문제를 제시 할 경우 학습자는 흥미를 잃고 수업을 포기 할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자의 인지 수준을. 정확히 판단하고 문제를 제시 하여야 한다 학습자의 인지수준의 파악을 위해서. 는 단순히 발문을 통한 수준파악으로는 전반적인 학생의 수준을 파악하기 어려 우므로 다방면의 방법을 교사가 발견해야 할 것이다.

둘째 소규모 협동 학습수업은 학생들이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며 서로의 의견을, 반성하는데 있다 그러나 단순히 소규모 협동 학습수업을 한다고 해서 순조롭게. 수업이 진행 되어야 한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실례로 소규모 협동 학습수업. 시 학생들은 학생 서로의 의견을 제시하기보다는 그 모둠에서 학습수준이 높은 학생의 의견을 무비판적으로 다른 모둠원 들이 수용하는 경우가 태반이었다.

또한 소규모 협동 학습수업은 학생들의 자주적인 수업을 존중하는 것이므로 다

소 소란스러워지며 수업에 집중을 하지 않는 경향도 보인다 따라서 교사는 소규. 모 학습 수업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원활한 수업진행을 하는 방법을 발견을 해 야 한다.

셋째 학습목표와 학생들의 인지수준과의 비교를 통해 문제제기는 신중히 선택하, 여야 할 것이다 학습목표가 학생들의 인지수준보다 지나치게 높을 경우 학생들은.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경향이 있으며 수업의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 므로 학생들의 인지수준의 파악과 함께 학습목표를 설정 하여야 할 것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