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결론

가.제주도 지질 자료의 개발

2007개정교육과정 초등과학 지질 관련 단원에 대한 제주도의 지질 자료를 개 발하였으며,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지질 관련 단원을 학습할 때 적합한 현장체험학습 장소로 성산일출봉~

신양리층 구간,서귀포층,송악산~용머리해안 구간 그리고 수월봉을 선정하였다.

이곳에서 관찰할 수 있는 지질 현상과 교과서 삽화와 내용의 비교․분석을 통해 현장체험학습 시 단원의 학습 목표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둘째,제주도에서 관찰할 수 있는 지질 현상은 초등과학 지질 관련 단원에 제 시된 사진과 유사한 곳이 많기 때문에 효과적인 대체 학습 자료로 제공될 수 있 다.

셋째,개발된 제주도 지질 자료의 활용을 통해 학교에서는 현장체험학습과 연 계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지층,퇴적암 및 화석 등에 대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학습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나.개념 조사

초등학생들의 지층,퇴적암 및 화석에 대한 오개념은 적지 않게 나타났다.학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전반적으로 지질 관련 개념 이해가 낮았기 때문에 학생들의 오개념 유형 을 분석하여,이를 과학 개념으로 교정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 전략을 수립해 야 한다.

둘째,변인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영역과 문항에 대하여 그 원인을 파 악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셋째,오답률이 높은 문항과 변인 간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난 영역과 문항에 대한 지질 개념 향상을 위해 STEAM 등 다양한 연구를 실시하여야 한 다.

다.STEAM 프로그램의 개발

제주도 지질 자료 개발과 개념 검사 결과를 기초로 ‘지층과 화석’단원 관련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한 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STEAM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지층,퇴적암 및 화석의 주요 개념을 체계 적으로 종합하여 제시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앞으로 이와 유사 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할 때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둘째,STEAM 프로그램은 체험 장소 또는 실내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개별적 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학교 현장에서의 상황에 맞게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지 질 관련 융합인재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라.STEAM 프로그램의 적용

개발된 STEAM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 음과 같다.

첫째,STEAM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 것으로 보아 앞으로 다양한 영역과 단원 에서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한 활동이 융합된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STEAM 프로그램에 대해 학생들은 기존의 초등과학 교육과정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여 활동 위주이면서 문제 해결을 학생 스스로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을 많이 개발할 필요가 있다.

2.제언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지층,퇴적암 및 화석뿐만 아니라 지질 영역 전체를 통합적으로 연계할 수 있 는 지역 지질 자료를 개발하여 학생들이 좀 더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 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그리고 지금까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지질 관련 개 념과 STEAM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지역 지 질 자료와 연계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본 연구에서는 STEAM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를 학생의 지필 평가를 통 해서 정량적으로 검사하였지만,학생들의 변화 과정을 좀 더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수행과정에 대한 평가,학습지 분석 및 개인 면담 등의 정성적인 검사 를 병행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강연경(2012).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화석에 대한 개념 형성 및 과학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정효(2003).한라산 오름의 왕국․생태계의 보고.서울:돌배게.

고민기(2007).중학생들의 인지 수준에 따른 광물과 암석에 대한 개념.한국교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교육부(2014).과학 4-1교사용 지도서.서울 :㈜미래엔.

교육과학기술부(2010).과학,실험관찰,교사용 지도서 4-1,4-2.서울 :㈜금성출 판사.

교육과학기술부(2011).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2011년 업무보고.

권난주,권혁재(2013).올림픽의 과학을 통한 초등학교 STEAM 교수학습 자료 개발.현장과학교육 7(1).1-11.

권윤경,김정률(2012).초등학교 과학 교육에서 활용하는 암석 표본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한국지구과학회지,33(1),82-93.

금영충,배선아(2012).STEAM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요구.대한공업교 육학회지,37(2),57-75.

김권숙,최선영(2012).과학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1(2), 216-226.

김다영,김정률(2013).초등학교 4학년 <지층과 화석>단원과 관련된 현장체험학 습의 교육적 효과.현장과학교육,7(3),169-181.

김덕호,홍승호(2012).세계지질공원 제주도의 지층과 암석에 대한 초등과학 지역 자료 개발.교원교육,28(3),135-158.

김덕호,고동국,한명재,홍승호(2014).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과학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1).43-54.

김동영(2008).과학탐구놀이 학습이 아동의 과학탐구능력,과학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문경,최선영(2013).초등과학 융합인재교육 프로젝트 학습이 학생의 창의적 문 제해결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지,37(3), 562-572.

이명숙,김미숙,문은식(2013).STEAM 수업이 수학영재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 력과 창의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영재와 영재교육,12(3),75-94.

김범훈(2009).제주도 용암동굴 들여다보기.제주:도서출판 각.

김선영(2007).한국의 중생대 백악기층에 분포하는 공룡화석유적 :산상 및 자연 사 교육자료로서의 활용.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선희(2008).교육과정에 따른 초등과학 화석관련 단원 삽화 분석.광주교육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소정(2008).울산 지역의 야외 지질 학습을 위한 교육 자료 개발.한국교원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송철,고영구,윤석태,오강호(2005).화석학습에서의 오개념에 관한 연구.전남 대학교 과학교육연구지,29(1),15-24.

김수연(2012).초․중․고 학생의 과학 정의적 특성 조사 분석.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치는 영향.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6(1),60-68.

김애진(2014).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 정도와 비과학적 개념 분석.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우진(2012).초등 수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4D-Frame교구활동을 중심으로.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윤정(2007).자연사 박물관을 활용한 중학교 지질단원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인경(2000).성별 및 학교급별에 따른 과학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 조사.이 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자림(2012).과학․미술 중심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업성 취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정률,김경수(2004).특별강연 논문 :제주도의 신생대 하모리층에서 산출된 사람 발자국 및 각종 동물 발자국 화석.지구과학 교육심포지엄 및 춘계학술발표회, 25-31.

김정률,이정선(1999).지구과학 교사와 고등학생들의 화석에 대한 흥미도와 이해도에 관한 연구.한국지구과학회지,20(2),143-150.

김정수(2000).초등학교 자연 교과 중 지구과학 분야 야외 학습의 운영 실태 분 석.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희,김정선,박정유,연혜경,장선연(2008).초 ·중등학교 통합형 문화예술교 육 모형개발 연구 :교과-예술 문화예술교육 교안 개발 매뉴얼.인천:(재)인 천문화재단.

위수민,조현준,김준석,김윤지(2007).광물과 암석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이해의 특징.한국지구과학회지,28(4),415-430.

김준송(2013).융합인재교육(STEAM)과정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영재학생의 학습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중욱(2001).야외의 퇴적암에서 탐구활동으로 조사한 초등학생의 지층 개념.과 학ㆍ수학 교육연구,24,147-164.

치는 영향과 학습자 유형에 따른 변화 분석.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김진수(2012).STEAM 교육론.경기 :양서원.

김태훈(2011).4학년 ‘식물이 사는 곳’에 대한 지역 학습자료 개발 :바닷가 식물 을 중심으로.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태훈(2013).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STEAM)프로그램 개발.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해경,고영구,문병찬,오강호(2008).초등과학 교과서에서 지형경관과 관련된 사진 분석.한국지형학회지,15(4),87-95.

김해경,김정길,장병주(1994).초등학교의 야외 현장 학습에 관한 연구.초등과학 교육,13(2),195-205.

김화성,함호식,이문원(2013).화성암 지역의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및 적용.한국 지구과학회지,34(3),274-285.

김환철(2011).초등학교 현장체험학습 자료로서 해남우항리 공룡화석지 활용 방

김환철(2011).초등학교 현장체험학습 자료로서 해남우항리 공룡화석지 활용 방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