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를 조사한 결과에서 화학평형과 중화반응에 대한 선개념이 오개념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이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산-염기반응에 대 한 올바른 선개념 정립이 우선되어야 하며, 선개념의 올바른 정립 후에 이를 새 로운 개념과 연관시키는 단계적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또한 학생들의 오개념은 전공용어(중화, 중성, 평형, 중화점, pH 등)에 대한 정확한 이 해 부족과 혼동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았고, 전공용어에 대한 정확한 의미와 개념 을 정립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이 마련된다면 보다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 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Novak, J. D., & Hanesian, H(1978). Educational Psychologh: A cognitive View(2nd ed.). N.Y.: Holt, Rinehart and Winston. Whtie, R. &

Gunston, R(1992). Probing understanding. London: the Flamer Press.

Berg. T., & Brouwer. W. (1991). Teacher awareness of student alternate conception about rotational motion and gravity. J 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1), 3-18.

Driver, R., Guesne, E., & Tiberghien, A. (1985). Some features of children's idea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eaching. In R. Driver, E. Guesne, & A.

Tiberghien (Eds.), Children's ideas in science (pp. 193-201). Milton Keynes, UK: Open University Press.

Gilbert, J. K., Osborne, R. J., & Fensham, P. J. (1982). Children's science and its consequences for teaching. Science Education, 66(4), 623-633.

안녕하세요. 이 설문지는 본인의 연구를 위하여 대학생 여러분들이 ‘산∙염기반

2. 위의 반응에서 반응이 평형상태에 도달하기 전까지의 반응물질과 생성물질 의 농도 변화는 어떻게 되는가?

① 반응물의 농도는 계속 감소하고, 생성물의 농도는 계속 증가한다.

② 반응물의 농도는 계속 증가하고, 생성물의 농도는 계속 감소한다.

③ 반응물의 농도는 감소하다 증가하고, 생성물의 농도는 증가하다 감소한다.

④ 반응물의 농도는 증가하다 감소하고, 생성물의 농도는 감소하다 증가한다.

2.1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적어주세요.

<문제3∼4>

암모니아(NH3)가 이온화 평형 상태에 있을 때의 반응식과 염기해리상수이다.

NH3(aq) + H2O(l) ⇌ NH4+(aq) + OH-(aq) Kb = 1.8 × 10-5(25℃)

3. 반응이 평형상태에 도달했을 때 반응용기 내에 존재하는 반응물질과 생성물 질의 양은 각각 어떻게 되겠는가?

① 반응용기 내에는 반응물질만 존재한다.

② 반응용기 내에는 생성물질만 존재한다.

③ 반응용기 내에 존재하는 반응물질과 생성물질의 농도는 서로 같다.

④ 반응용기 내에 존재하는 반응물질과 생성물질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 된 다.

3.1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적어주세요.

4. 반응이 평형상태에 도달했을 때 정반응 속도와 역반응 속도는 어떻게 되겠는 가?

① 정반응 속도가 역반응 속도보다 크다.

② 역반응 속도가 정반응 속도보다 크다.

③ 정반응 속도와 역반응 속도가 같다.

④ 정반응 속도와 역반응 속도는 0이다.

4.1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적어주세요.

5. 농도가 같은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과 염산(HCl) 수용액을 같은 부피 로 혼합하였다. 이 혼합용액에 존재하는 화학종을 옳게 나타낸 것은? (단, 물의 자체이온화는 무시한다.)

5.1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적어주세요.

6.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과 농도가 수산화나트륨의 두 배인 염산(HCl) 수용액을 다음 표와 같은 비율로 반응시키면서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네 가지 실험에서 중화반응열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은?

① ② ③ ④

NaOH 수용액의 부피(mL) 50 40 30 20

HCl 수용액의 부피(mL) 10 20 30 40

6.1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적어주세요.

7. 0.2 M 인산(H3PO4) 수용액 100 mL를 완전히 중화하는데 필요한 0.5 M 수 산화바륨(Ba(OH)2) 수용액의 부피는 몇 mL인가?

① 40 mL ② 100 mL ③ 120 mL ④ 60 mL

7.1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적어주세요.

8. 수용액에서 아세트산(CH3COOH)은 다음과 같은 평형을 이루고 있다. 아세 트산 수용액에 아세트산나트륨(CH3COONa)을 넣어주면 반응은 어느 방향으 로 이동하는가?

CH3COOH(aq) + H2O(l) ⇌ H3O+(aq) + CH3COO-(aq)

① 정반응 쪽으로 평형이 이동한다.

② 역반응 쪽으로 평형이 이동한다.

③ 정반응 쪽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역반응으로 이동한다.

④ 역반응 쪽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정반응으로 이동한다.

8.1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적어주세요.

9. 약염기인 수산화암모늄(NH4OH)을 염산(HCl)으로 중화시켰을 때, 중화점에 서의 pH는 어떻게 되겠는가? (단, 반응 온도는 25℃이다.)

① 중화점에서의 pH는 7보다 작다.

② 중화점에서의 pH는 7이다.

③ 중화점에서의 pH는 7보다 크다.

④ 중화점에서의 pH는 계속 변한다.

9.1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적어주세요.

10. 약산인 아세트산(CH3COOH)을 강염기인 수산화나트륨(NaOH)으로 중화시 켰을 때, 중화점에서의 pH는 어떻게 되겠는가? (단, 반응 온도는 25℃이 다.)

① 중화점에서의 pH는 7보다 작다.

② 중화점에서의 pH는 7이다.

③ 중화점에서의 pH는 7보다 크다.

④ 중화점에서의 pH는 계속 변한다.

10.1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적어주세요.

---감사합니다---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tudents’ preconceptions and misconceptions about acid-base reaction in order to help students' understanding and eventually elevate their educational effect. The ten questions were made for the investigation of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acid-base reaction,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natural science field students.

The survey resulted that the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acid-base reaction was high on the whole, especially high achievements on the velocity concepts at equilibrium state. On the other hand, some misconceptions were revealed on the questions related to ionization constant, which could influence their follow-up education.

The understanding about concentration-volume relations as well as the chemical species in neutralization reaction was relatively high. However, the misconceptions on the neutralization reaction of polybasic acid and polyacidic base were a bit high, so that the preconception of quantitative relations in neutralization reaction should be supplemented.

The survey showed that the ratio of right answers on common-ion effect was almost equal to the ration of wrong answers. The reason of most misconceptions might be due to lower basic understanding about Le Chatelier's principle.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pH variations at the neutralization point was comparatively high. Meanwhile their understanding about hydrolysis reactions of the ions dissociated from salt was low, which could be reasoned due to their style of learning by rote. From this study result, it is recommended that fundamental understanding and learning about hydrolysis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