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환자 맞춤식 교육·상담 프로그램이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관상동 맥질환자의 질병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간호 이행,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확 인하기 위해 실시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실험 설계이다.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으로 처음 진단을 받고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J시의 일 개 대학병원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2013년 12월 13일부터 2014년 8월 31일까지 실험 군 30명, 대조군 30명의 총 60명에게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정보 교환으로 실험효과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조군의 사전·사후 자료수집이 끝난 후 실험군의 자료수집을 하였다.

실험군에게는 입원 기간 중에 개별 1:1 면대면 상담 1회, 개별 1:1 면대면 교육 1회를 실시하였고, 퇴원 후 8주 동안 개별 1:1 면대면 교육 1회, 개별 1:1 면대면 상담 1회, 전 화 상담 3회, 문자 메시지 2회를 실시하여 총 9회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게 병동 담당 간호사가 퇴원간호계획지 및 소책자를 이용하여 환자 침상에서 약 10분간 퇴원 후 주의사항 및 관리, 문의를 요하는 사항, 외래방문일자 등에 대해 교육 하였고, 복약안내문(약 견본, 투약시간, 약효, 주의사항, 부작용)을 통한 복약교육을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후 소책자를 제공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입원 시에 위험요인 인식 정도를 조사하였고, 일반적 특성, 질병 관련 특성, 질병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간호 이행, 생리적 지표를 측정하였다. 퇴원 8 주 후에 외래에서 다시 한번 위험요인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질병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간호 이행, 생리적 지표 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분석,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환자 맞춤식 교육·상담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질병관련 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t=-6.61, p=.001).

2) 환자 맞춤식 교육·상담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 점수 가 유의하게 높았다(t=-11.11, p=.001).

3) 환자 맞춤식 교육·상담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가간호 이행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t=-12.75, p=.001).

4) 환자 맞춤식 교육·상담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의 생 리적 지표 수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①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0.46, p=.643).

② 중성지방 수치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0.29, p=.770).

③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60, p=.548).

④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t=0.52, p=.599).

이상의 연구 결과, 본 연구의 환자 맞춤식 교육·상담 프로그램은 경피적 관상동맥중재 술을 받은 관상동맥질환자의 생리적 지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 나, 질병관련 지식,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 이행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 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간호 실무에서 관상동맥질환의 재발방지에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므로, 전담 간호사를 중심으로 다학제간 팀을 활용하여 환자 맞춤식 교육·상담 프 로그램을 관상동맥질환자들에게 적극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본 연구의 환자 맞춤식 교육·상담 프로그램의 8주 이후의 장기적 추구조사를 실 시하여 질병관련 지식,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 이행, 생리적 지표의 추이변화를 확인하고 대상자들에게 유익함이 나타날 수 있는 시점 또는 방법을 모색할 것을 제언한다.

셋째, 본 연구는 혈중 지질과 같은 생리적 지표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 고자 하였으나 운동, 식이에 대하여 객관화된 지표를 사용하고, 추적기간 확대 및 반복연 구가 필요하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