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2-122)

B. 교사 전문성 강화 연수를 통한 모범 가이드 개발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입장에서 컴퓨팅 사고를 적용하기 위하여 과학교육입장에 서 컴퓨팅 사고의 세부요소 및 조작적 정의를 구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컴퓨팅 사고 실천에 대한 교사의 역량강화를 위해 교사연수를 통해 교사들이 이해하는 컴퓨팅 사고 의 인식에 대해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컴퓨팅 사고의 실천 요 소 및 정의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사례를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첫째, 과학교육 관점에서 활용 가능한 컴퓨팅 사고 세부요소 및 조작적 정의를 구안 하면서 과학교육에서의 컴퓨팅 사고 적용과 필요성에 대해 정립하였다. 기존의 과학수 업은 호기심을 바탕으로 하여 개념을 형성하는 과정이 주로 이루어졌다면 이제는 이러 한 생성된 개념을 활용하는 문제해결과정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및 표현하며 실질 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해결책이 기술과 공학의 관점을 포 함하는 문제분해, 추상화, 알고리즘과 절차, 자동화, 시뮬레이션이 나타나게 할 수 있 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기술교육에서 언급되는 병행화는 과학교육에서는 시뮬레이션 을 통한 최종 해결책이 다른 맥락에서도 적용가능한지를 파악하는 일반화로 의미로 변 경하였다. 따라서 21세기에 필요한 학습자의 역량은 단순한 호기심의 만족을 위한 개 념형성이 아닌 이를 확장한 개념의 활용으로 실질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공학적 및 기술적인 관점에서의 역량으로 파악된다. 개념을 형성하고 이 를 활용하는 개념의 활용과정의 인지과정으로 컴퓨팅 사고 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에서의 컴퓨팅 사고 요소의 반영은 확인되었으나 반영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컴퓨팅 사고의 각 요소가 기존의 과학수업에 서의 요소와는 어떻게 다르고 그 반영정도는 어떻게 구분 지을 수 있는지에 대한 정성 적 및 정량적으로 측정가능한 분석도구의 체계화는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 된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과학교육관점에서의 컴퓨팅 사고 구성요소 및 정의는 이론적인 방법으로 구안하였고, 실질적인 교육현장에서 사용가능지의 여부를 현장교사 와의 협의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팅 사고의 정의 및 실현가능성 에 대한 자료를 현장의 교사로부터 수집하였다. 현장 교사는 2명의 초등교사로 연구에 참여하여 연구진과의 교사역량강화 연수를 통해 이들이 새롭게 인식하게 되는 컴퓨팅 사고의 이해와 실천가능성에 대한 부분을 파악하였다. 교사연수를 연구진과 교사들과 의 모임으로 연구진이 개발한 이론적인 컴퓨팅 사고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현장교사는 분석틀을 이해하고 파악함으로서 이론적으로 개발된 컴퓨팅 사고 세부요소 및 정의에

관한 분석틀을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질적인 분석틀로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 들과 연구진사이에서는 이론과 실제의 괴리가 좁혀지는 과정이 일어났으며 참여한 교 사들은 컴퓨팅 사고에 대해서 구체적인 인식을 도출하였다. 교사들은 현재의 교육과정 에 맞춰 과학적 사고를 향상하는 기존의 수업에서 부분 혹은 전체적인 수정을 통하여 문제해결과정을 추가하고, 컴퓨팅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으로 확장할 수 있음 을 보여주었다. 또한 컴퓨팅 사고 구성요소는 일률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며 문제 상황 이 언제 제시되느냐에 따라 자료수집, 분석 및 표현은 개념형성에 대한 단계이거나 또 는 개념 활용에서의 단계로 구분되어 나타나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무엇보다 컴퓨 팅 사고 과정에서 학생들이 시뮬레이션을 만들거나 그 만드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역량이라고 이해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단순한 개념형성이 아닌 현실세계 의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연현상에서 어떠한 변수를 선 정하고 이들을 조합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교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지하 게 되었다. 이러한 연수 과정은 교사들의 인식변화 및 형성이 교과서와 같은 교재를 새롭게 구성하는 실천적인 지식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 구에서 이루어진 연수가 교사의 인식 변화 및 형성과 교사의 실천지식에 영향을 주었 으며, 교사가 적극적으로 교사연수에 참여하는 참여현장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가 교사전문성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기존의 일회적이고 단발로 실행되는 교사 연수에서 벗어나 인식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교사 연수가 진행되어야한다. 멘토-멘티 관계를 형성한 실질적인 수업교수방법이 필요하며, 장기간으로 기획하여 연수과정이 이루어져야한다.

마지막으로 컴퓨팅 사고의 구성요소 및 정의가 포함된 분석틀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하여 특정한 내용으로 가이드를 개발하였으며 이는 앞으로 교사들에게 컴퓨팅 사고 실천에 대해서 인식 형성 및 교수실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가이드는 글 로벌 이슈를 중심으로 하여 기존의 STEAM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하여 컴퓨팅 사고 각 요소가 두드러지게 제시되어 기존의 프로그램에서 제한적으로 나타난 공학과 기술이 두드러지는 수정하였다. 가이드 개발을 통하여 교사들의 역량이 강화 될 수 있으며 교 사 연수에 본 자료를 사용하여 교사들의 컴퓨팅 사고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 이다. 특히 매번 새로운 교육정책에 교사들이 경험하게 되는 고충을 조금이나마 덜고 완충작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가 뒷받침 되지 않는 특정한 역량강화를 위해서는 이론연구가 충분히 된 상태에서 현재의 교육현장에서의 문제점을 자연스럽게 연계하여 해결책으로 새로운 교육역량강화를 시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와 같이 연수가 진행된다면 STEAM 교육에 컴퓨팅 사고의 실천요소를 반영함으 로써 STEAM 교육의 활성화를 시도하고 소프트웨어 등의 교육정책에 필수요소를 자연스

럽게 과학교육에 접목할 수 있으며 교사의 고충을 덜어줌과 동시에 이론과 실무가 적 절하게 구성되어 교사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교수개선을 하는 실질적인 교사연수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 고 문 헌

Alvin Toffler & Heidi Toffler(2006). 앨빈토플러 부의 미래, 청림출판.

Barr, V. & Chris, S.(2011). Bringing computational thinking to K-12: what is Involved and what is the role of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munity?, ACM Inroads, 2(1), 48-54p.

Brennan, K. & Resnick, M. (2012).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paper presented at annua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meeting, Vancouver. BC, Canada.

Computer Science Teacher Association(2011). computational Thinking Leadership Toolkit.

Department for Education(2013).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Framework document.

Grover, S. & Pea, R.(2013). Computational Thinking in K-12: Review of the state of the field, Educational Researcher, 42(1), 38-43p.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Washin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The College board(2013). Advanced Placement Computer Science Principles Draft Curriculum Framework.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2011). Computational Thinking teacher resources second edition.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 Computer Science Teacher Association (2011). Computational Thinking leadership toolkit.

Wing, J. M(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 of the ACM, 49(3), 33-35p.

Wing, J. M(2008).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inking about computing, Phil .

강남화, 이은미(2013).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과서 탐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3(1), 132-143p.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04).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의 과학인재 육성을 위한 시도교육 청 과학교육 제도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인재정책총괄과.

곽혜정, 류희수(2016).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 동향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40(1), 72-89p.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2016).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신구 대조표(최종).

권정인(2014).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의 교수-학습이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 결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교육인적자원부(2007). 2007 개정 정보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 호.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 호.

교육과학기술부(2011).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별책 9].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손에 잡히는 STEAM 교육, 한국과학창의 재단 융합교육정책실.

교육부(2015a).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교육부(2015b).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별책 9].

교육부(2015c).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지침.

김병구(2001). 21세기 환경변화와 인재상. 학생생활연구, 6, 87-96p

김병조(2015). 초등 융합영재를 위한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 실생활 문제해결 수업콘텐츠 개발 및 적용,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순화, 함성진, 송기상(2015). 융합적사고력 신장을 위한 초등학생용 CT 기반 융합인재교육(CT-STEAM) 프로그램 개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6), 81-91p.

김병조, 전용주, 김지현, 김태영(2016). 초등정보융합영재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Computational Thinking기반 실생활 문제해결 수업콘텐츠 개발 및 적용, 교원교육, 32(1), 159-186p.

김진수(2007). 기술교육의 새로운 통합교육 방법인 STEM 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 학회지, 7(3), 1-29p.

김현경, 나지연(2017).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7(1), 103-112p.

남충모, 김종우(2011).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 초등수학과 교수·학습활동 분석, 교육과학연구, 13(2), 325-334p.

노희진, 백성혜(2015). 스크래치를 활용한 고등학교 과학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

동효관, 하소현, 김용진(2015). 미국 차세대과학표준(NGSS) 수행기대와 한국 과학교 육과정 성취기준의 비교 분석 : 중학교 생명과학의 내용요소와 교육목표를 중심으로, 교육연구, 64, 95-125p.

박경은, 이상구(2015).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향상과 Sage 도구를 이용한 수학교육, 한국수학교육학회, 29(1), 19-33p.

박구름(2017). 과학과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영신, 황진경(2017). 컴퓨팅 사고 실천 분석도구 개발 및 이의 활용에 대한 기초 연구, 대한지구과학회, 10(2), 140~160p.

박현주, 변수용, 심재호, 백윤수, 정진수(2016).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의 STEAM 교육 운영 현황 실태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 36(4), 669-679p.

송진웅, 나지연(2015). 2015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방향 및 쟁점 그리고 과 학교실문화의 방향, 교과교육학연구, 18(3), 827-845p.

심재호, 이앙락, 김현경(2015). STEM, STEAM 교육과 우리나라 융합인재교육의 이해 와 해결 과제, 한국과학교육학회, 35(4), 709-723p.

안대영(2014). 수학교육에서 Computational Thinking의 이해, 한국수학교육학회, 2014(2), 267-271p.

우정주(2012). STEAM 교육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관련한 질적 연구, 이화 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언, 박소영, 주형미, 백남진, 온정덕, 이근호, 김사훈 (2014). 교과 교육과 정 개발 방향 설정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4-7.

이영은, 이효녕(2014).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기반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과학, 수학, 기술에 대한 흥미, 자기효능감 및 진로 선택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학연구, 18(3), 513-540p.

이효녕, 권혁수, 김미랑, 김용기, 남정철, 박경숙, 박병열, 서보현, 손동일, 오영재, 오희진, 이성수, 이영은, 전재돈, 정현일, 조현준, 한인기(2013).

(과학탐구와 창의적 설계 기반의)STEM/STEAM 교육의 이해와 적용, 북스힐.

이영준(2008). Computational Thinking 향상을 위한 초·중등학교 정보 교육의 방향, 컴퓨터교육학회, 2(1), 17-21p.

이현동, 배태윤, 이효녕(2016). 지진에 대한 과학 탐구 기반의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지구과학회, 37(7), 476-488p.

정재화, 전재돈, 이효녕(2015). 융합인재교육(STEAM)의 정책과 실행 방향에 대한 국 내외 전문가들의 인식, 과학교육연구지, 39(3), 358-375p.

정현도(2016).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적합한 과학 탐구 중심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 램 개발 및 적용, 경북대학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최숙영(2011). 21st Century Skills와 Computational Thinking 관점에서의 ‘정보’

교육과정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14(6), 19-30p.

최숙영(2016). 문제해결의 관점에서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에 대한 연 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9(1), 53-62p.

최재민(2017). STEAM 연구학교 프로그램에 제시된 핵심역량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2-12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