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21-126)

B. 과학과 핵심역량 측정도구를 적용한 STEAM 프로그램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핵심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STEAM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다 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를 통해 과학과 핵심역량의 하위항목과 조작적 정의에 대한 타당성과 신 뢰성을 구축하면서 측정도구의 구체적인 항목 및 정의의 개발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계의 전문가들의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정의와 그 사례를 설 문하고 이에 대해 협의하여 하위항목과 조작적 정의를 구안하였다. 과학과 핵심역량 5 가지의 하위항목은 과학교육계의 전문가들의 실험적인 자료를 기초로 연구진들의 지속 적인 협의를 통해 내용 타당도를 구축하였다. 개발된 과학과 핵심역량 측정도구의 적 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이를 이용하여 STEAM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핵심역량의 대부분의 요소가 골고루 반영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를 통해 개발된 과학과 핵심역량의 측정도구는 측정 가능한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판단할 수 있 다.

둘째, STEAM교육 프로그램에 과학과 핵심역량이 반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프로그램의 주제와 수업구성에 따라 핵심역량이 다르게 편중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에서 개발된 과학과 핵심역량의 측정도구는 측정 가능한 도구로 판단하였으며, STEAM교육 프로그램에 나타난 핵심역량의 반영 정도를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의 구 성에 따라 핵심역량의 반영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기후변화 프로그램의 경우, 과학적 문제 해결력(6%)이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그에 반해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39%)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아닌 제작되어 있는 문제해결방법 즉, 실험을 설계해보는 수업으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학생들의 토의활동의 비중이 높아져 비교적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은 높게 나타났다. 물 부족 프로그램의 경우, 5가지의 과학과 핵심역량이 골고루 반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후변화 프로그램과 달리, 이는 주어진 실험재료에 따라 학생들이 직접 선택하여 실험을 설계하는 수업으로 문제해결의 과정을 직접 겪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핵심역량 측정도구가 과학 프로그램 및 STEAM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가이드라인으로 사용되어 학생들이 과학과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기를 기대 하는 바이다. 과학교육에서는 이와 함께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수업전략의 개발 이 필요하며, 과학과 핵심역량의 하위항목과 조작적 정의에 대해 이해를 높이고 교사 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교사 양성 및 연수 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 한 이를 통해 교사들이 직접 과학과 핵심역량이 함양된 STEAM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Choi, K., Lee, H., Shin, N., Kim, S., and Krajcik, J. (2011). Re-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literacy in South Korea for the 21st centu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6), 670-697.

Lave, J., & Wenge,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 1-14.

OECD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DeSeCo). OECD Press.

OECD (2006). Schooling for tomorrow: Think scenarios, rethink education. OECD: Paris.

OECD (2007). Giving Knowledge for Free: The Emergence of Open Educational Resources. OECD. Paris.

Park, Y-S. (2010).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With the View of Hands-on, Minds-on, and Hearts-on. Journal of Earth Science Society, 31(7), 798-812.

PISA (2006). 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Rychen, D., & Salganik, L. (2003).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Well-Functioning Society. Hogrefe and Huber. Cambridge, 41-62.

강현석 (2000). 지식기반사회가 추구하는 지식 개념의 비판적 검토. 교육과정연구, 18(1), 135-161.

고은정, 정대홍 (2014). 과학교과에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세계의 동향에 준거하여 우리나라 현장 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6), 535-547.

교육과학기술부 (2010).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2011년 업무보고.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1).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별책 9]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손에 잡히는 STEAM 교육. 한국과학창의재단 융합교육정책실.

교육부 (2014).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교육과정정책과 9월24일 보 도자료.

교육부 (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별책 9].

곽영순 (2016). 과학과 역량중심 교육과정. 파주:교육과학사.

김경자, 강태중, 강현석, 구정화, 김대현, 김두정, 김이경, 김인석, 김창원, 박경미, 박순경, 박창언, 소경희, 송진웅, 이경진, 이광우, 이승미, 장명희, 최상훈, 최진영, 허숙, 허 경철, 홍원표, 황규호, 홍은숙 (2014).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시안 개발 연 구 (총괄). 국가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교육부.

김경진 (2010). 역량의 개념과 교육적 함의.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방희, 이희진, 김진수 (2013). 중학교 기술교과의 T-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수업 적 용.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1), 131-151.

김성원, 정영란, 우애자, 이현주 (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 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388-401.

김수금, 유시규, 김선배 (2014). 창의적 융합교육을 위한 무게중심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사 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4(3), 333-357.

김진수 (2012). STEAM교육론. 경기:양서원.

김현진 (2014). 자기주도 학습과 문제해결 능력에 초점을 둔 초등학생용 기후변화 STEAM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민정 (2008).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역량기반 교육 과정의 교육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6(4), 173-197.

박민정 (2009).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과 비판적 쟁점 분석 : 내재된 가능성과 딜레마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7(4), 71-94.

박순경, 김사훈, 김진숙, 백경선, 변희현, 안종욱, 양정실, 이광우, 이근호, 이미경, 이미숙, 이승미, 이혜원, 정영근, 한혜정 (2014). 국가 교육과정 총론 개선을 위한 기초 연 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4-1.

박영신, 맹승호, 정원영, 김원강, 김유신, 박기만, 홍철훈, 문병권, 강성승, 박정우, 김문수 (2012). 2012년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최종보고서. 한국과학창의재 단

박재진 (2013). 과학자의 역량을 기반으로 한 과학영재학생에게 필요한 역량모델 개발. 한 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재진, 윤지현, 강성주 (2014). 역량 중심의 과학 영재 교육을 위한 과학자의 핵심 역량 모델 개발 및 타당화. 영재교육연구, 24(4), 509-541.

백남진 (2015). 과학적 소양에 기반한 과학과 성취기준의 개발 방향 탐색: 캐나다, 호주, 싱 가포르 과학 기준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46(2), 1-29.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소경희 (2007). 학교교육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 과정연구, 25(3), 1-21.

소경희 (2009).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교육과정연 구, 27(1), 1-20.

소경희, 강지영, 한지희 (2013). 교과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역량 모델의 가능성 탐색: 영국, 독일, 캐나다 교육과정 고찰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23(3), 153-175.

손민호 (2011). 역량중심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 역량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논 단, 10(1), 101-121.

송진웅과 나지연 (2015). 2015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방향 및 쟁점 그리고 과학교 실문화. 현장과학교육, 9(2), 72-84.

신동희와 노국향 (2002).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성취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76-92.

신동희, 김정우, 김래영, 이종원, 이현주, 이정민 (2012). 융합형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6(1), 371-398.

신진경, 최동규, 김지원, 허균, 박종운, 주동범, 원효헌 (2013). 학교연구보고서에 제시된 STEAM 프로그램의 핵심 역량 및 요소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5(4), 898-914.

유현숙, 김남희, 김안나, 김태준, 이만희, 장수명 (2002).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윤현진, 이광우, 김영준, 전제철 (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Ⅰ): 핵심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 가원. 연구보고 RRC 2007-1.

이광우, 민용성, 전제철, 김미영, 김혜진 (2008).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Ⅱ): 핵심역량 영역별 하위요소 설정을 중심으로. 한 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8-7-1.

이광우, 전제철, 허경철, 홍원표 (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총괄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10-1.

이광우, 정영근, 서영진, 정창우, 최정순, 박문환, 이봉우, 진의남, 유정애, 이경언, 박소영, 주형미, 백남진, 온정덕, 이근호, 김사훈 (2014).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설정 연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2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