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6-62)

용하는 방법을 통해 합당한 결과를 도출하여 지속파 신호를 사용하 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흡음형 소음기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지 않아 Xu, M.B., et al(2004) 의 실험결과와 해당 소음기에 대해 모의하였 고, 일치성을 확인하여 모의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1].

흡음형 소음기에 대한 모의는 흡음형 소음기의 음향성능이 흡음 재 물성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 모 델의 입력매개변수인 흐름저항성의 변화와 흡음재의 두께 변화, 소 음기 크기, 흡음재 층 구분 총 4가지 경우로 나눠 실시하였다. 각 경우에 대해 모의 전 예상했던 것과 대부분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 다. 우선 흡음재 두께가 증가할수록, 흐름저항성이 커질수록 음향성 능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흐름저항성의 경우 일정 수 치 이상에서는 임피던스가 증가하기 때문에 음이 흡음재에서 반사 되어 흡음효과가 감소하였다. 또한 저주파수 대역에서 흐름저항성 변화에 따른 투과손실의 변화보다 소음기 형상에 따른 투과손실 별 화가 더 크게 나타났고, 고주파수에서는 흡음재 특성에 따라 투과손 실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2개의 흡음재를 사용할 경우 내측흡음재 의 흐름저항성이 외측흡음재보다 작을 때 음향성능이 더 커졌다. 두 번째로 흡음재의 흐름저항성을 변화시킨 경우, 흐름저항성이 커질수 록 투과손실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나, 특정 값을 넘어서게 되면 오 히려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전 주파수 대역에서 흡음효과를 높이 기 위해서는 소음기의 크기 및 흡음재의 흐름저항성을 증가시켜야 하지만, 설치 환경 및 흡음재의 흐름저항성의 영향을 고려하여 최적 값을 찾아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함정 내 배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소음기에 대한 성능 향상을 위해 흡음형 소음기의 흡음재 물성치에 따라 달라지는 음향성능을 예측하였고, 실험적 부분에 있 어 기존의 광대역신호가 아닌 지속파신호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 하였다. 실제 함정에 사용되는 소음기 성능개량에 적용할 경우, 함 정의 협소한 공간 및 경량화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음기의 음 향성능에 대한 흡음재 두께, 흐름저항성 등 다양한 매개변수의 영향 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제안한 방법을 통해 실제 소음기 실험을 진행한다면 보다 정확한 실험 결과를 도출할 수 있 을 것이라 기대한다. 다만, 현 연구에서는 각 물성치가 음향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최적화를 실시하지 않았으므로, 우선 최적화 연 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단순한 형태의 소음기에 대한 음향성능을 예측 및 분석하였기 때문에 실제 다양한 소음기에 적용 하기 위해서는 보다 복잡한 형상의 소음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야 하며, 함정에 사용되는 배관은 기체 배관뿐만 아니라 액체배관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를 추가 진행할 필요가 있다.

참 고 문 헌

[1] Xu, M. B., et al, “Sound attenuation in dissipative expansion chambers," J. Sound Vib. 272, 1125-1133 (2004).

[2] Potente, Daniel. “General design principles for an automotive muffler," Proceedings of ACOUSTICS, 153-158 (2005).

[3] M. L. Munjal, Acoustics of Ducts and Mufflers(Wiley, New York, 2014).

[4] Peat, K. S. “A transfer matrix for an absorption silencer element," J. Sound Vib. 146, 353-360(1991).

[5] Tao, Z., and A. F. Seybert. “A review of current techniques for measuring muffler transmission loss,” SAE transactions, 2096-2100 (2003)..

[6] Selamet, A., et al, “Dissipative expansion chambers with two concentric layers of fibrous mate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Vehicle Noise and Vibration 1, 341-357 (2005).

[7] Selamet, A., et al, “Analytical approach for sound attenuation in perforated dissipative silencers." J. Acoust. Soc. Am. 115, 2091-2099 (2004).

[8] Veerababu, Dharanalakota, and B. Venkatesham, “Green's function approach for the transmission loss of concentrically

multi-layered circular dissipative chamber," J. Acoust. Soc. Am.

147, 867-876 (2020).

[9] Dinçer, Ayşe, and Mehmet Çalışkan, “Experimental Analysis of Dissipative Silencer Coupled with Quarter Wave Tube," Forum Acusticum, (2014).

[10] Delany, M. E., and E. N. Bazley. “Acoustical properties of fibrous absorbent materials," Applied acoustics. 3, 105-116 (1970).

[11] Miki, Yasushi, “Acoustical properties of porous materials-Modifications of Delany-Bazley models," J. Acoust. Soc.

Japan. 11, 19-24 (1990).

[12] Lee, Ilja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perforated dissipative and hybrid silencers, Ph.D. Dissertation, Ohio State University (2005).

[13] Cox, Trevor J., and Peter D'antonio, Acoustic absorbers and diffusers: theory, design and application(Crc Press, London, 2009).

[14] El‐Sharkawy, A. I., and Ali H. Nayfeh, “Effect of an expansion chamber on the propagation of sound in circular ducts."

J. Acoust. Soc. Am. 63, 667-674 (1978).

Abstract

A study on acoustic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acoustic absorbent properties of

pipe silencer

Yongbeom, Lee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As the size of equipment mounted on the ship is enlarged, the cooling system to be mounted increases. So as the pipe noise increases, the noise inside the ship and underwater radiation noise(URN) increase. In this study, the acoustic performance of a dissipative silencer with excellent performace for size was predicted and analyzed using a numerical analysis method to reduce the pipe noise. To this end, the performance of the single expansion chamber silencer was verified using experimental and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6-6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