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8-104)

지금까지 조선시대 강진 지역 시조 작가의 생애와 교유, 그들의 시조 작품에 대한 분석을 하고 이것들을 통해 그들이 우리 시조사에서 어떤 특징을 갖는지, 그래서 그 시조사적 의의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우리 시조사에서 호남시조는 작품 수뿐만 아니라 그 위상 또한 높음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러 나 안타깝게도 호남시조에 대한 이전 연구에서는 송순, 윤선도, 위백규 등의 시 조에만 집중되어 진행되었다. 이 세 명 외에도 훌륭한 시조작가와 작품이 얼마 든지 있을 수 있다. 다만 여러 가지 이유에서 주목받지 못한 것뿐이다. 필자는 이런 이전 연구에 아쉬움을 느끼고 조선시대 강진 지역에서 발견되는 시조 작가 4명과 그들의 시조작품 25수에 대한 시조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조선시대 강진 지역 시조 작가 네 명, 이후백·김응정·곽기수·오 이건의 생애와 교유를 알아보고 그들의 시조작품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이후백 의 경우 그의 문집 청련집 중에서 동양문고본의 <소상팔경>과 단일시조 한 수를 분석하고 여러 가집에 산재되어 있는 시조 네 수를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기존 연구에서는 <소상팔경>이 이후백 작품인지 아닌지에 대한 논란이 많 았다. 그래서 기존 연구에서는 작자에 대한 확정 없이 의문으로 끝낸 경우가 대 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 <소상팔경>을 기행시조로 보고 이후백의 작품으로 확 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이 작품이 기행시조임을 밝혔다.

김응정의 경우 그의 문집 중 초간본인 해암집에 수록되어 있는 시조 여섯 수를 분석하였다. 김응정과 관련된 이전 연구에서는 <서산일락가>의 작가 확정 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는데 여기에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서산일락가>를 포함하여 나머지 다섯 수의 주제와 그 형상화 방식을 밝히면서 김응정이라는 시 조 작가와 그의 작품이 다른 작가들에 비해 다채로운 주제에 주목하였다.

곽기수의 경우 그의 문집 한벽당선생문집의 <만흥> 세 수를 분석하였다. 이 전 연구에서는 밝혀지지 않은 곽기수의 시조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여 그의 시조 가 은거하며 자연 풍광을 즐기는 은일지사의 모습을 보여주며 그에 따른 흥을 추구함을 밝혔다.

오이건은 작자미상의 부언일부에 수록된 <김해암가곡집서>에 수록된 시조 세 수를 분석하였다. 이전 연구에서 그와 그의 시조는 김응정의 시조를 해석하 고 분석하는 데 사용되었을 뿐 오이건과 그의 시조를 대상으로 독자적인 연구가

진행되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오이건 시조에 좀 더 주목하여 ‘주제’가 갖고 잇는 독창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전하는 그의 시조의 수는 적지만, 자신 이 존경하는 인물에 대해 흠모하는 내용이라는 것은 지금까지 밝혀진 시조들 중 에서 독보적이라는 점에서 가치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Ⅲ장에서는 Ⅱ장에서 분석한 조선시대 강진 지역 시조에서 공통적으로 나타 나는 주제적·형식적 특징을 드러내고 이것을 바탕으로 강진 지역 시조의 시조사 적 의의를 조망하였다. 강진 지역 시조 작품의 공통적인 주제적 특징은 무엇보 다 ‘윤리성’이 라고 할 수 있었다. 이 윤리성은 17세기 향촌사림의 시조의 특징 중 하나인 개인적 차원에서 윤리의 실천을 통해 자신의 지위를 상승시키고자 하 는 의도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았다. 또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형식적 특징은 시조를 창작할 때 고사가 차용되었다는 것과 감각적 이미지를 사용했다는 것이 다. 이것은 시조를 자주 접하기 어려운 강진 지역의 지역성에서 기인하며 주변 의 호남시조에 비해 작품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특징을 토대로 기존의 호남시조와 강진 지역 시조를 비교하며 그 시조 사적 의의를 밝혔다. 기존의 호남시조에서의 윤리성은 모두 치사를 한 인물이거 나, 다시 정계에 나가려는 사람, 정계에서 쫓겨난 사람과 같이 이전에 정계에 진 출했던 인물들에 의해 나타났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의 윤리성은 자신들의 마음 과 자세를 보여주기 위해 나타난 것이었다. 반면, 강진 지역 시조에서 나타나는 윤리성은 모두 개인적 차원에서 윤리의 실천을 통해 자신의 지위를 상승시키고 자 하는 의도를 표출한 것이다. 형식적 특징에서도 호남시조의 몇몇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듯 고사를 인용하며, 감각이미지를 활용하는 점들은 공통적이지만, 그것보다는 자연경관을 보여주며, 그 안에서 살아가는 시적화자의 모습을 묘사 하는 표현기법을 사용한다는 점은 두드러진 차이였다. 즉, 자연물과 그 안에서 느끼는 흥취를 직접 언급함으로써 그 자연물이 갖는 속성과 느낌으로 주제를 강 화하는 형식적 특징을 가지며 이러한 호남 시조의 특징은 강진 지역 시조의 형 식적 특징과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강진 지역 시조의 특징을 살펴본바 강진 지역 시조가 이후 18세기 위백규의 시조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조선시대 강진 지역 시조는 호남시조와 유사한 모습을 보이면서도 주제적·형식적 특징이 상당히 다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미세한 ‘다름’에서 바로 시조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역시 알 수 있

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존의 연구 방법에 대한 반성도 이뤄졌다. ‘호남시조’

로서 ‘강진시조’를 바라보는 필자의 접근방식이 문제점이었다. 강진 지역 시조는 기존의 호남시조가 갖는 특징을 가지면서도 오롯이 호남시조의 틀 안에 맞춰 넣 을 수 없는 그것들만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즉, 시조를 분석할 때 작가나 시대, 지역이 갖는 특징에만 집중하여 연구한 것이 아닌가 하는 반성을 하게 했다. 세밀하게 들여다보면 같은 작가, 같은 권역이나 지역, 같은 시대의 시조라 하더라도 차이점이 있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에 갖고 있던 선입견을 버리고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거나, 작품성이 떨어 진다는 평가를 받아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호남시조에 대한 보다 정 밀하고 체계적인 고찰이 필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기존에 이루어진 성 과물을 토대로 좀 더 철저히 고증하고 분석하는 문학 연구방법이 필요한 것이 다. 그리하여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기존에 갖고 있던 선입견을 버리고 기존 에 알려지지 않았거나, 작품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아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았던 호남시조나 더 나아가 국문시가에 주목한다면 국문학연구사 발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1. 자료

京都雜志.

孔子家語.

郭期壽, 寒碧堂先生文集. 1930년 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영인본.

郭期壽, 한벽당곽기수선생 기념사업회 편역, 寒碧堂先生文集, 광주:

한벽당곽기수선생 기념사업회, 2008.

奇大升, 高峰集, 한국문집총간 40, 민족문화추진회, 1989.

金誠一, 鶴峰集, 한국문집총간 48, 민족문화추진회, 1989.

김흥규·이형대·이상원·김용찬·권순회·신경숙·박규홍 편저, 古時調大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金應鼎, 懈菴集. 와보랑께박물관 소장.

金應鼎, 양광식 역주, 懈菴文集, 강진군: 강진문헌연구회, 1994.

金昌協, 農巖集, 한국문집총간 162, 민족문화추진회, 1996.

白光勳, 玉峯集. 한국문집총간 47, 1988.

敷言一部, 단국대학교 소장. 영인본.

宋時烈, 宋子大全, 한국문집총간 115, 민족문화추진회, 1993.

新增東國輿地勝覽.

梁山甫, 瀟灑事實天.

兪好仁, 㵢谿集, 한국문집총간 15, 민족문화추진회, 1988.

尹光啓, 橘屋拙稿, 한국문집총간 속 11, 민족문화추진회, 2006.

尹善道, 孤山遺稿 , 한국문집총간 91집, 민족문화추진회, 1992.

李珥, 石潭日記.

林億齡, 石川集 제2책, 여강출판사, 1989.

李後白, 靑蓮集 동양문고본.

鄭汝昌 一蠹集, 한국문집총간 15, 민족문화 추진회, 1988.

鄭澈, 松江歌辭 성주본.

趙彭年, 溪陰集, 한국문집총간 속 6, 민족문화추진회, 2005.

朝鮮王朝實錄.

崔慶昌, 孤竹遺稿, 한국문집총간 50, 민족문화추진회, 1988.

崔璹民, 溪南集.

<海東地圖>

洪千璟, 盤桓先生遺稿

2. 단행본

김선태, 강진문화답사기, 시와 사람, 2000.

김석회, 존재 위백규 문학 연구-18세기 향촌사족층의 삶과 문학, 이회문화사, 1995.

김신중, 은둔의 노래 실존의 미학, 도서출판 다지리, 2001.

김흥규, 욕망과 형식의 시학, 1999.

사마천, 김원중 역, 사기열전 1, 민음사, 2007.

신영명, 사대부시가의 연구, 국학자료원, 1996.

양광식 편역, 歌曲을 남긴 懈菴 金應鼎, 강진군: 文思古典硏究所, 2005.

이상원, 17세기 시조사의 구도 , 월인, 2000.

조동일, 한국문학통사(4판) 2~3, 지식산업사, 2005.

3. 논문

고영진, 「16세기 湖南士林의 활동과 학문」, 남명학연구 제3집, 남명학회, 1993.

김기현, 「李後白과 그의 時調」, 순천향대학논문집 제 9권 제 1호, 순천향대학교, 1986.

김동하, 「李後白의 生長과 詩人的 形成 過程」, 瑞江大論文集 17, 서강정보대학, 1998.

김동하, 「이후백의 삶과 시」, 外國文化硏究 22, 조선대학교인문학연구소, 1999.

김명순, 「시조 <삼동에 베옷 입고>의 문헌 전승 양상 연구」, 시조학논총 24, 한국시조학회, 2004.

김성기, 「宋純의 仰亭短歌 硏究」, 俛仰宋純詩文學硏究, 국학자료원, 1998.

김신중, 「宋純 時調의 전승 양상과 문학사적 의미」, 한국고시가문화연구 4, 한국고시가문학회, 1997.

김신중, 「瀟湘八景歌의 관습시적 성격」, 한국고시가문화연구 5,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8-10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