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암환자 자살은 중요한 보건학적 문제 중 하나로, 최근 몇몇 연구에서 암 진 단 후 기간경과에 따라 자살률이 달라짐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암 진단 후 기간경과에 따른 자살 생각 관련성을 본 단면연구로, 암환자 자살예방 및 자 살 관리를 위한 시기적절한 대응책 마련과 건강증진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2007~2009) 및 제5기(2010~2011)의 암 진단을 받은 만 19세 이상 성인 중 결측값이 없는 389명(남성:138명, 여성:25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암 진단 후 기간경과(‘0~1년 미만’, ‘1~2년 미만’, ‘2~5년 미만’, ‘5~10년 미만’, ‘10년 이상’)에 따른 자살 생각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 석 시 카이제곱 검정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자살 생각은 남성 14.49%, 여성 25.10%에서 나타났으며, 혼란변수 요인의 단계별 통제 시 성별, 교육수준, 흡연, 암 종류, 스트레스, 우울증 요인에서 자살 생각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구 사회학적 특성, 건강 관련 특성 및 정신건강 특성의 모든 요인 통제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요인(성별, 교육수준, 암 종류, 스트레스, 우울증) 만을 통제한 상태에서 암 진단 후 기간경과 ‘10년 이상’ 군을 기준으로 ‘1~2년 미만’ 군의 자살 생각에 대한 오즈비가 3.034(95% CI 1.150-8.007)로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5). 따라서 암환자의 자살 예방을 위해서는 이에 상응하는 시기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을 대표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암 진단 후 기간경과에 따른 자살 생각의 관련성을 분 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단면연구로 원인과 결과를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하며, 자살 생각이 실제 자살률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이 를 보완하는 대규모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겠다.

참고문헌

강민규.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한 선택. HIRA정책동향 2010;4(6):14-7.

건강증진사업지원단. 국내 자살원인 실태조사 및 자살 예방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2008.

권신영, 조성진. 자살사고를 보이는 암환자에 대한 실제적 접근 및 간호 중재.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2003;6(1):58-64.

김명원. 2011. 우울과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초기 성인을 대상 으로.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김명화. 만성질환자의 의료이용 현황. HIRA정책동향 2012;6(1):42-9.

김성완, 김선영, 김재민, 서동우, 신일선, 김석재, 나기회, 김세현, 윤진상.

자살에 대한 태도 및 자살행동 연구. 생물치료정신의학 2008;14(1):

43-8.

김신연. 2010.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와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김연정. 2010. 암환자의 자살생각, 사회적지지 및 삶의 의미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간호학과.

김연주. 2008. 암환자와 가족의 우울과 자살의도.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호스피스간호학과.

김영희. 2012. 신체활동도와 우울증 및 자살생각의 관련성.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보건대학원, 역학건강증진학과.

김용분, 이정섭. 자살 개념분석. 정신간호학회지 2003;12(4):394-401.

류현미. 2006. 기혼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간의 관련성. 석사 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심리학과.

목예진. 2011. 신체활동수준이 암 발생과 사망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보건대학원, 역학건강증진학과.

문기태. 2007. 질병 및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자살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보건대학원, 보건학과.

민성길, 강홍조, 고경봉, 기선완, 김경희, 김도훈, 김세주, 김임, 김재진, 김준기, 김지웅, 김진학, 김찬형, 남궁기, 노재성, 박기창, 서신영, 송동호, 신의진, 신정호, 안석균, 안정숙, 양창순, 오병훈, 육기환, 이종범, 이홍식, 임기영, 전덕인, 전우택, 정문용, 정성덕, 정영기, 조현상. 최신정신의학. 5. 서울: 일조각, 2006.

박명실. 2005. 대학생 자살위험 집단유형의 분류, 평가 및 집단 상담치료 적용.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대학원, 심리학과 발달 및 상담심리 학과.

박재영, 문기태, 채유미, 정상혁. 인구사회적 요인, 암, 일부 정신질환 등이 자살에 미치는 영향: 성별, 연령별 분석. 예방의학회지 2008;41(1):

51-60.

박혜정. 2009. 학업 스트레스, 통제소재, 우울과 자살사고와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심리학과.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2011.

서울시정신보건사업지원단. 서울시정신보건지표, 2010, 2011.

서은영, 이은옥. 활보운동이 보존적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들의 피로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1997;9(3):422-37.

신상수. 2013.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과 지역특성.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보건학과.

심은정. 한국 암환자의 디스트레스와 관련인자: “빠른 죽음에 대한 요망”

(desire for hastened death), 불안, 우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8:490-1.

안은미. 2009. 암생존자의 자살률과 관련요인.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보건 대학원, 보건학과.

유승미, 성지숙, 수리주안, 유수경, 윤희경, 안혜영, 소희영. 암환자의 자살 생각 관련 요인. 재활간호학회지 2012;15(1):39-46.

이상영.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지속적 건강관리체계 구축. 보건복지포럼 2004;87:72-81.

이송률. 2010. 한국인 성인에서 심혈관 위험요인과 자살 생각의 관련성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1차(2007) 2차(2008) 자료.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보건대학원, 역학건강증진학과.

이평숙, 김소인, 김순용, 이숙자, 박은숙, 박영주, 유호신, 장성옥, 한금선, 석민현. 만성질환자의 간호요구 사정: 만성질환자 간호 센터 모형 개발을 위한 1차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002;32(2):165-75.

이홍식, 김동현, 김용구, 남윤영, 류성곤, 박병철, 배재남, 서동우, 오강섭, 우종민, 유승호, 유영권, 육성필, 이광자, 이동우, 이명수, 이병철, 이분희, 이영문, 이준영, 장창민, 장훈, 전우택, 정상혁, 조성진, 조흥식, 최영민, 하상훈, 한성열, 함병주, 허태균, 홍강의. 자살의 이해와 예방. 서울: 학지사, 2008.

이희승. 국어대사전. 3. 서울: 민중서림, 1998.

정미향. 2012. 음주의존도와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의 관련성.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보건대학원, 역학건강증진학과.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이용 지침서, 2010.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1차, 2007.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차, 2008.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3차, 2009.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 2010.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2차, 2011.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연보, 2007.

통계청. 2005년 사망원인통계연보(인구동태신고에 의한 집계), 2006.

통계청. 2010년 사망원인통계연보(전국편), 2011.

통계청. 2012년 사망원인통계, 2013.

하연희. 2000. 중학생의 자살생각 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 대학교대학원, 사회복지학과.

한국중앙암등록본부. 국가암등록사업 연례 보고서(2010년 암등록통계), 보건 복지부, 2012.

홍영수. 2004.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대한 생활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자원의 영향.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hn MH. 2013.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early suicide after a cancer diagnosis. Degree of master, The graduate school of the university of Ulsan, Department of medicine.

Akechi T, Nakano T, Akizuki N, Nakanishi T, Yoshikawa E, Okamura H, Uchitomi Y.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ity in cancer patients. Jpn J Clin Oncol 2002;32(12):506-11.

Akechi T, Okamura H, Kugaya A, Nakano T, Nakanishi T, Akizuki N, Yamawaki S, Uchitomi Y. Suicidal ideation in cancer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Jpn J Clin Oncol 2000;30(5):221-4.

Allebeck P, Bolund C, Ringbäck G. Increased suicide rate in cancer patients: a cohort study based on the Swedish cancer-environment register. J Clin Epidemiol 1989;42(7):611-6.

Annunziata MA, Muzzatti B, Bidoli E. Psychological distress and needs

of cancer patients: a prospective comparison between the diagnostic and the therapeutic phase. Support Care Cancer 2010;

19(2):291-5.

Beck AT, Kovasc M, Weissman A. Assessment of suicidal idea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 Consult Clin Psychol 1979;47 (2):343-52.

Berman AL, Jobes DA. Adolescent suicid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1st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1.

Berman AL, Jobes DA, Silverman MM. Adolescent suicid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2nd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6.

Björkenstam C, Edberg A, Ayoubi S, Rosén M. Are cancer patients at higher suicide risk than the general population? Scand J Public Health 2005;33(3):208-14.

Brent D, Kolko D.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t risk for suicide. In suicide over the life cycle:

risk factors, assessment, and treatment of suicidal patient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1990.

Calson GA, Cantwell DP. Suicide behavior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Am Acad Child Psychiatry 1982;21(4):886-91.

Carlson LE, Groff SL, Maciejewski O, Bultz BD. Screening for distress in lung and breast cancer out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Clin Oncol 2010;28(33):4884-91.

Clark MM, Novotny PJ, Patten CA, Rausch SM, Garces YI, Jatoi A, Sloan JA, Yang P. Motivational readiness for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long-term lung cancer survivors. Lung Cancer 2008;61(1):117-22.

Conwell Y, Lyness JM, Duberstein P, Cox C, Seidlitz L, Digiorgio A, Caine ED. Completed suicide among older patients in primary care practices: a controlled study. J Am Geriat Soc 2000;48(1):23-9.

Corcoran P, Nagar A. Suicide and marital status in Northern Ireland.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2010;45(8):795-800.

Dormer, Nigel RC, McCaul, Kieran A, Kristjanson, Linda J. Risk of suicide in cancer patients in Western Australia, 1981-2002.

Med J Aust 2008;188(3):140-3.

Dubow EF, Kausch DF, Blum MC, Reed J, Bush E. Correlates of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in a community sample of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J Clin Child Psychol 1989;18(2):158-66.

Durkheim E. Suicide: a study in sociology. glencoe, IL: The Free Press, 1897.

Durkheim E. Suicide: a study in sociology. New York: The Free Press, 1951.

Fall K, Fang F, Mucci LA, Ye WM, Andrén O, Johansson JE, Andersson SO, Sparén P, Klein G, Stampfer M, Adami HO, Valdimarsdóttir U.

Immediate risk for cardiovascular events and suicide following a prostate cancer diagnosis: prospective cohort study. PLoS Med 2009;6(12):e1000197.

Fang F, Fall K, Mittleman MA, Sparén P, Ye W, Adami HO, Valdimarsdóttir U. Suicide and cardiovascular death after a cancer diagnosis.

N Engl J Med 2012;366(14):1310-8.

Fang F, Keating NL, Mucci LA, Adami HO, Stampfer MJ, Valdimarsdóttir U, Fall K. Immediate risk of suicide and cardiovascular death after a prostate cancer diagnosis: cohort study in the United States.

J Natl Cancer Inst 2010;102(5):307-14.

Fitzpatrick JJ. Preventing suicide: developing meaning in life.

Arch Psychiatr Nurs 2009;23(4):275-6.

Fox BH, Stanek EJ 3rd, Boyd SC, Flannery JT. Suicide rates among cancer patients in Connecticut. J Chronic Dis 1982;35(2):89-100.

Hawton K, Heeringen KV.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New York: John Wiley & Sons, 2000.

Hem E, Loge JH, Haldorsen T, Ekeberg Ø. Suicide risk in cancer patients from 1960 to 1999. J Clin Oncol 2004;22(20):4209-16.

Ikeda RM, Kresnow MJ, Mercy JA, Powell KE, Simon TR, Potter LB, Durant TM, Swahn MH. Medical conditions and nearly lethal suicide attempts. Suicide Life Threat Behav 2001;32(1 suppl):60-7.

Innos K, Rahu K, Rahu M, Baburin A. Suicides among cancer patients in Estonia: a population-based study. Eur J Cancer 2003;39(15):

2223-8.

Johnson TV, Garlow SJ, Brawley OW, Master VA. Peak window of suicides occurs within the first month of diagnosis: implications for

clinical oncology. Psychooncology 2012;21(4):351-6.

Kangas M, Henry JL, Bryant RA. The course of psychological disorders in the 1st year after cancer diagnosis. J Consult Clin Psychol 2005;73(4):763-8.

Kim MD, Hong SC, Lee SY, Kwak YS, Lee CI, Hwang SW, Shin TK, Lee SM, Shin JN. Suicide risk in relation to social class: a national register-based study of adult suicides in Korea, 1999-2001.

Int J Soc Psychiatry 2006;52(2):138-51.

King EA, Baldwin DS, Sinclair JMA, Baker NG, Campbell MJ, Thompson C.

The wessex recent in-patient suicide study, I. case-control study of 234 recently discharged psychiatric patient suicides.

Br J Psychiatry 2001;178:531-36.

Kübler Ross E. On Death and Dying.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1974.

Lefetz C, Reich M. Suicidal crisis in oncology: assessment and care.

Bull Cancer 2006;93(7):709-13.

Levi F, Bulliard JL, La Vecchia C. Suicide risk among incident cases of cancer in the Swiss Canton of Vaud. Oncology 1991;48(1):44-7.

Llorente MD, Burke M, Gregory GR, Bosworth HB, Grambow SC, Horner RD, Golden A, Olsen EJ. Prostate cancer: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late-life suicide. Am J Geriatr Psychiatry 2005;13(3):195 -201.

Louhivuori KA, Hakama M. Risk of suicide among cancer patients.

Am J Epidemiol 1979;109(1):59-65.

Mehnert A, Koch U. Prevalence of acut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comorbid mental disorders in breast cancer patients

during primary cancer care: a prospective study. Psychooncology 2007;16(3):181-8.

Millar K, Purushotham AD, McLatchie E, George WD, Murray GD. A 1-year prospective study of individual variation in distress, and

illness perceptions, after treatment for breast cancer.

J Psychosom Res 2005;58(4):335-42.

Miller M, Hemenway D, Rimm E. Cigarette smoking and suicide: a prospective study of 300,000 male active-duty army soldiers.

Am J Epidemiol 2000;151(11):1060-3.

Miller M, Mogun H, Azrael D, Hempstead K, Solomon DH. Cancer and the risk of suicide in older Americans. J Clin Oncol 2008;26(29):

4720-4.

Misono S, Weiss NS, Fann JR, Redman M, Yueh B. Incidence of suicide in persons with cancer. J Clin Oncol 2008;26(29):47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