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식품첨가물 등을 비롯한 식품체계 전반에 대한 광범위한 정 부기관의 사전통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통제되지 못한 위험이 출현하고 있고, 이러한 위험 에 의하여 발생한 개별 소비자의 피해는 국가배상의 대상으로 거의 인정되지 않는다. 이러 한 현실에서 미국과 EU보다 훨씬 더 폐쇄적인 사업자 편의 위주의 규제를 유지하고 실제 사용된 식품성분의 은닉을 허용하는 것은 소비자 보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필수적 수단이 거나 혹은 당연한 결과로 해석될 수 없다.

무엇보다도 식품 특성을 알기 위해 필요한 성분 표시를 상당수 생략하도록 허용하는 현 행 식품 표시규제는 실제 사용된 향미증진제 성분 등을 은닉하고 유리한 브랜드 이미지에 의존하여 소규모 신규 경쟁자들과 경쟁하는 시장지배적 기업의 마켓팅 전략을 방치하는 결 과를 야기한다. 이것은 경험재와 신뢰재 상품의 정보비대칭이 궁극적으로 시장의 경제질서

를 왜곡하는 전형적인 시장실패의 문제로써 표시규제의 실패를 의미한다. 또한 현행 화장품 표시규제 역시 성분정보를 단순 나열하여 공개할 뿐 충분한 이해도와 인지성을 갖추지 못하 여 소비자의 구매결정 단계에서 상품간 품질비교를 위해 활용되지 못하기 때문에 시장지배 적 사업자들의 브랜드 인지도에 기반한 화장품 시장의 독과점 상태를 유지하는 현상에 오히 려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정보비대칭에 의한 시장경제질서의 왜곡을 수정하기 위해 표시광 고법상 중요정보 표시의무의 부과대상을 전범위로 확대하여야 하고, 표시방법도 또한 소비 자의 이해와 인지성을 높이기 위해 소비자가 가장 관심을 가지는 성분특성을 기준으로 분류 하여 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식품 화장품의 품질 비교가능성을 높이는 성분표 시 방법은 설문조사를 통해 입증한 바와 같이 성분표시의 변경만으로 소비자의 실제 구매 대상이 바뀔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의 합리적 신호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핵심적 수단이 될 수 있다.

물론 여전히 이 논문이 사용한 식품 · 화장품 성분 표시의 분류기준이 합리적인지, 혹은 소비자가 회피하기를 원하는 성분특성이 실제 유해한 것인지에 대한 비판이 제기될 수 있 다. 그러나 성분표시의 공개대상은 그것이 실제 유해한 것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소비자의 상품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것이어야 하고 실제 그것의 유해성이 입증되었는지 여 부는 중요하지 않다. 만일 유해성이 입증된다면 당연히 사용금지 대상이 되어야 하는 것이 고, 표시대상 여부가 논의될 사항은 아니다.

오히려 표시대상으로서 의의가 있는 것은 그 유해성이 불분명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 다. 즉, 국가기관의 위험통제가 규제비용과 전문인력의 부족 및 과잉규제의 비판 때문에 완 벽할 수 없는 현실에서 상품 표시를 통한 정확한 정보제공과 이를 통해 소비자가 스스로 위 해 가능요소에 대한 합리적 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은 규제부담이 적은 간 접적 통제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규제방법은 금지여부가 불분명한 위해 요소의 사 용 여부를 정부가 일방적 견해에 따라 직접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시장 내에서 사적 주체들이 직접 이를 회피할 수 있는 가능성과 체계를 조성한다는 의미에 서 이른바 ‘시장적 접근 방법’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사용금지와 같은 직접적 통제 수단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그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위해 가능요소에 대한 완전공 개를 통해 사업자들이 보다 안전한 대체요소를 개발하도록 경쟁을 유도하여 소비자에게 실

질적인 대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장접근적 규제는 비교적 규제비용은 낮고, 소비자의 안전뿐만 아니라 가격과 품질에 근거한 자유로운 시장경쟁 질서를 회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력한 효과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위해 가능요소에 대한 직접적인 시장진입 금지 없이도, 위해 가능성이 낮은 대 체성분의 시장공급을 늘리는 방법을 통해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에서 훨씬 더 효 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최근 문제되는 경험재와 신뢰재 시장의 시장실패를 회복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의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권오승, 󰡔경제법󰡕, 법문사, 2005.

김태호, 「미국 식품안전규제법제의 체계와 쟁점」, 󰡔경제규제와 법󰡕, 제1권 제2호, 2008. 11, p.264.

방민석, 「각종 표시 · 광고 규제 개선을 위한 연구」, 󰡔국무조정실 연구용역보고서󰡕, 2005.

신영수, 「소비자주권과 경쟁정책」, 󰡔경쟁법연구󰡕, 제17권, 2008, p.3.

여정성, 「표시규제 선진화를 위한 제도개선방안 연구」, 공정거래위원회 연구보고서, 2006.

오승한, 「배타조건부 거래를 포함하는 시장선점ㆍ봉쇄전략에 대한 단계별 위법성 판단절차」,

󰡔비교사법󰡕, 제17권 제4호(통권 제51호), 2010. 12.

이규현, 󰡔신상품마케팅󰡕, 경문사, 2005, p. 14.

허은아, 󰡔인맥을 디자인하라󰡕, 도서출판 무한, 2007.

정구현, 강원 외 3명, 󰡔한국의 기업경영 20년󰡕, 삼성경제연구소, 2008.

황순욱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식품등 표시기준 제도 합리적 개선방안 연구󰡕, 식약청 용역 보고서: 정책-정책-2003-61, 2003, p. 89, p. 90.

Aaker, David A. and Erich Joachimsthaler, Brand Leadership(2000).

Akerlof, George A., “The Market for ‘Lemons': Quality Uncertainty and the Market Mechanism”, 84 Q.J. Econ. 488(1970).

11 Areeda, Phillip E. and Herbert Hovenkamp, Antitrust Law-An Analysis of Antitrust Principles and Their Application(2005).

Assaf, Katya, “Brand Fetishism”, 43 Conn. L. Rev. 83(2010).

Averitt, Neil W. and Robert H. Lande, “Consumer Sovereignty: A Unified Theory Of Antitrust And Consumer Protection Law”, 65 Antitrust L.J. 713(1997).

Benston, George J. “Required Disclosure and the Stock Market: An Evaluation of the Securities Exchange Act of 1934”, 63 Am. Econ. Rev. 132(1973).

Carr, Jack and Frank Mathewson, “The Economics of Law Firms: A Study in the Legal Organization of the Firm”, 33 J. Law & Econ. 307(1990).

Degnan, Frederick H., “The Food Label and the Right-to-Know”, 52 Food & Drug L.J.

49(1997).

Handler, Milton, “Reforming The Antitrust Laws”, 82 Colum. L. Rev. 1287(1982).

Hovenkamp, Herbert., Federal Antitrust Policy(3d ed. 2005).

Kuhner, Timothy K. “Citizens United As Neoliberal Jurisprudence: The Resurgence of Economic Theory”, 18 Va. J. Soc. Pol'y & L. 395(2011).

O’Reilly, James T., Food and Drug Admin, 2012.

Piraino, Thomas A. Jr., “Regulating Oligopoly Conduct Under the Antitrust Laws”, 89 Minn.

L. Rev. 9(2004).

Reinier, Ronald J. Gilson, “The Mechanisms of Market Efficiency”, 70 Va. L. Rev. 549, (1984).

Steuer, Richard, “Exclusive Dealing in Distribution”, 69 Cornell L. Rev. 101(1983).

Stigler, George J., “Public Regulation of the Securities Markets”, 37 J. Bus. 117(1964).

Walden, Jerrold L., “Antitrust in the Positive State: II”, 42 Tex. L. Rev. 603(1964).

Journal of Regulation Studies Vol.23 No.1

Regulation on the Ingredient Labeling of Foods and Cosmetic Products, in order to Protect the Right of Consumer’s Reasonable Choice and Promote the Competition in the Relevant

Market of the Products

Seung-han Oh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about the importance of the function of product labels, especially in the ingredient labels of food and cosmetic, on which consumers depend in deciding whether to buy it. In modern economy society, the information in the labeling of a tangible goods and intangible services is critical for consumers to choose the stocks they want to buy. The reason why the consumers more depend on the labeling will be subject to several reasons, such as; 1) the change of the types of goods which have so much functions that the buyers cannot catch the whole real quality of those stocks in an instant, 2) businesses are tend to use the strategy to prevent their consumer from accessing to their rivals. It is the problem of ‘experience goods and credence goods’.

Because the consumer sovereignty and social welfare requires guaranteeing consumers’

right of choice and in this context, despite the strong competition policy in Korea, the deceptive labeling could lead consumer to choose inefficient goods unreasonably. As a result, despite the widen scope of consumers’ choice by the competition policy, the consumer sovereignty by allowing consumers to choose products and services reasonably, which they really want, cannot be enlarged.

In many Korean administrative law, the stipulations of labeling contents are not enough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