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47)

B.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Ⅳ. 결론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아크유도형 DC 차단기는 기계식 차단기에 유도침을 결합 한 구조이다.

아크유도형 DC 차단기는 기계식 차단기에 아크슈터 대신 유도침에 대하여 결 합함으로써 차단기 개방 동작 시, 발생하는 아크를 유도 및 흡수하여 소호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크유도형 DC 차단기의 핵심 요소인 유도침을 HFSS 를 활용하여 설계하고 최적의 파라미터를 도출하였다. 또한, 단락 사고를 모의하 여 유도침의 유무에 따른 사고 차단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도침은 아크를 신속하게 유도 및 흡수해야 하기 때문에 그 형태의 중요도는 매우 크다. 따라서, 유도침의 형태를 원뿔형과 원통형으로 나누어 자계 흐름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원뿔형이 극간격 약 1.2 mm 빠르게 아크가 유도됨으로써 원뿔형이 유도침의 형태로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도침 개수에 따른 아크 유도 및 흡수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유도침의 개수로 1개, 2개, 4개로 나누어 자계 흐름을 비교 분석하였다. 유도침이 1개와 4 개일 때 애노드와 캐소드 간의 자계비와 애노드와 유도침간의 자계비가 일정하 지 못하고 불안정한 동작을 보였다. 하지만 유도침이 2개일 때, 애노드와 캐소드 간의 간격이 0.2, 1.2, 2.4 mm로 증가함에 따라 자계비가 각각 1.62, 0.45, 0.69이 었으며, 동일한 거리에서 애노드와 유도침간의 자계비는 각각 0.09, 3.03, 3.54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도침 개수를 2개로 할때가 상대적으로 안정된 유도 흐름을 보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유도침 2개를 선정하였다.

아크는 사고에 의해 발생되는 Free-burning 상태의 아크로써 호를 그리며 발 생한다. 이 형태를 고려하여 유도침 위치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도침 의 위치를 애노드를 기점으로 0 mm, 5 mm, 10 mm로 선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유도침의 위치가 애노드를 기준으로 0 mm일 때, 다른 설정 값들에 비해 극간격 약 16 mm에서 자계비 1.0을 초과하는 흐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크의 Free-burning 상태는 유도침의 방향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계비를 나타내는 것을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유도 침의 방향은 횡방향이 아크유도에 적합하다.

마지막으로 정상전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아크의 유도 효율을 높이기 위 해 유도침 규격에 맞는 유도간격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도간격은 1, 5, 10, 15, 20 mm로 변화를 주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유도간격이 15 mm일 때, 극간격 0 mm에서 24 mm까지 자계비 1.0을 넘지 않았으며, 극간격 32 mm 에서 약 2.4의 최고 자계비를 나타내었다. 이는 유도간격 1, 5, 10, 20 mm보다 가장 낮은 값임을 확인하였다.

각 유도침 설계 조건의 시뮬레이션 결과들을 기반으로 설계한 유도침의 유무 에 따른 차단 특성을 분석하였다. 극간격 14~18 mm에서 유도침 없을 때가 유도 침 있을 때보다 자계비 약 10배로 높게 발생되었고, 극간격 58~70 mm구간에서 는 약 12 배 높게 발생되었다. 따라서, 유도침이 없을 때보다 있을 때, 자계비가 약 5.1배 줄어드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도침의 형태, 개수, 위치, 방향, 유도간격의 최적화 단계 시 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최적의 유도링을 설계하여 기계식 DC 차단기에 적용하 였다. 그 결과, 유도침의 적용은 차단극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자계를 약 5배 줄 이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아크유도형 DC 차단기를 실제로 설계하고, 그 특성을 분 석 및 개선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경제성 및 빠른 차단능력을 가 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차단기와 연계하여 더 나은 차단 능력을 선보일 유연성 까지 갖추게 될 것이며, DC 그리드망에 즉각적으로 적용 가능한 DC 차단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참 고 문 헌

[1] 송성근, 김용구, “직류(DC) 배전 시스템의 기술동향,” 전기의 세계, vol.

65(8), pp. 13-20, 2016.

[2] 지식경제부, “제3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 (2009~2030),” 2008.

[3]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2008년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

2009.

[4] J. C. Das, “Arc flash hazard calculation in L-V & M-V DC systems-part I-short-circuit calculation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50, pp. 1687-1697. May/June 2014.

[5] M. Callavik, A. Blomberg, J. Hafner, B. Jacobson, “The hybrid HVDC breaker an innovation breakthrough enabling reliable ahvdc grids,”

ABB Grid systems Technical Paper, Nov. 2012.

[6] A. P. Strom, “Long 60-Cycle Arcs in Air,” AIEE 65, pp. 113-118, 1946.

[7] D. Sweeting, “Electrocutions and arcs,” in Energy NSW 2008 The [R]Evolution in Networks, Australia, New South Wales:NSW Chapter of Elect. Energy Soc. Australia, Oct. 2008..

[9] Z. Ganhao, “Study on DC circuit breaker,” Proc. 5th Int. Conf. Intell. Syst.

Design Eng. Appl, pp. 942-945, 2014.

[10] 차민영, 한병문, “시뮬레이션에 의한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의 동작 특 성 분석,”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106-1107, 7, 2009.

[11] 허태복, 김학련, 창상훈, “전기철도 변전소의 직류고속도차단기 동작 감 소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p. 1-6, 2004.

[12] C37.16, “IEEE standard for preferred ratings, related requirements and application recommendations for low-voltage AC (635 V and below) and DC (3200 V and below) power circuit breakers,” IEEE stabdards, 2009.

[13] Ravel F. Ammerman, Tammy Gammon, Pankaj K. Sen, John P.

Nelson, “DC-Arc Models and Incident-Energy Calculations,” IEEE Trans. Ind. Appl., vol. 46, no. 5, pp. 1810-1819, 2010.

[14] Fabian M. Uriarte, Angelo L. Gattozzi, John D. Herbst, Hunter B.

Estes, Thomas J. Hotz, Alexis Kwasinski, Robert E. Hebner, “A DC Arc Model for series faults in Low voltage microgrids,” IEEE Trans.

Smart Grid, vol. 3, no. 4, pp. 2063-2070, 2012.

[15] IEC 60947-2, “Low-voltage switchgear and controlgear part 2: Circuit breakers, IEC, 7 June, 2016.

[16] 이상익, 김동우, 김재현, 임용배, 강대철, “직류회로보호를 위한 저압용 직류차단기 설계,”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 192-193, 2013.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4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