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폐타이어칩을 활용한 탄성포장재의 우수유출시 발생될 수 있는 탄성포장재내의 중금속 검출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탄성포장재의 구성 재료로 송이 및 현무암 석분 슬러지를 첨가하여 중금속(Cu, Pb, Cd, Cr) 제거효 과를 분석하였다.

1. 본 실험에 사용된 일반 탄성포장재에서 Pb이 지정폐기물 기준 이상으로 용 출되었으며, 용출특성은 Pb>Cu>Cd>Cr 순으로 용출되는 경향을 보였다.

2. 실험에 사용된 송이 4종과 현무암 석분 슬러지는 모두 중금속 용액 Cu, Pb, Cd, Cr에 대해 Pb>Cd>Cu>Cr의 순으로 흡착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 였다.

3. 실험에 사용된 중금속 용액 Cu, Pb, Cd, Cr에 대하여 시료별 흡착률은 황 갈색송이 > 암회색송이 > 검정색송이 > 적갈색송이 > 현무암 석분 슬러지 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4. 실험에 사용된 송이 4종과 현무암 석분 슬러지는 Cr을 제외한 Cu, Pb, Cd 에서 흡착이 우수하여 흡착제로 활용이 가능 하다고 판단된다.

5. 적갈색송이와 현무암 석분슬러지는 흡착제로서 가장 활용성이 높고 강도 또한 만족하여 탄성포장의 흡착제로 활용할 경우에 경제성과 환경적인 측면 까지 만족하는 우수한 제품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참고문헌

강기원, 2007, 스포츠복합탄성바닥재 성능 및 품질 평가 기준 제정에 관한 연구, 국민 체육 진흥 공단 체육과학원구원, pp

고득영, 2007, 폐타이어 표면에 형성되는 Functional group을 이용한 중금속 (Cu,Cd, Pb)제거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김기영, 2007, 현무암석분슬러지의 공학적 특성 및 활용방안 연구,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김덕수, 2005, 전처리에 의한 제올라이트의 중금속 이온 제거능 개선, 제주대학 교 기초 과학연구소, Vol. 18, No. 2, pp.129-143

김승범, 2006, 현무암 석분슬러지의 공학적 특성 및 활용 방안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0-21

김승현, 2008, 투수성 탄성 포장재의 투수성 향상 및 친환경적 개발에 관한 연 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36-37

김인석, 2004, 송이의 쇄석다짐말뚝에 대한 재료 적합성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pp.33-35

나대엽, 2000, 폐타이어 분해에 대한 아임계 및 초임계유체의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남명식, 2006, 폐타이어 미세분말을 이용한 개질아스팔트 혼합물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박주량, 이수구, 2004, 폐타이어 재활용을 위한 GRT/PE 복합체에 대한 연구 (Ⅳ), 환경관리학회지, Vol,10, No.3, pp.

성은, 김동수, 2001, 미역을 생물흡착제로 이용한 카드뮴 흡착 특성에 관한 연 구, 대한환경공학회지, Vol, 23, No. 12, pp.2065~2075

이기만, 1995, 안료 입문, 한국플라스틱 기술정보, pp.

이민규, 서근학, 1996, 제주(송이)를 이용한 중금속 흡착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 학회지, Vol, 5, No. 2, pp.195~201

이민규, 서정호, 감상규, 이동환, 오영희, 1997, 해양 갈조류를 생물흡착제로 이 용한 납 흡착 특성 연구, 한국환경공학회지, Vol,6, No.5, pp.531~539

임 굉, 2004, 흡착공학과 과학, 두양사, pp.

윤정수, 1991, 북제주군 지역 기생화산(오름)에 관한 보고서, 북제주군, pp.

윤정수, 1995, 제주도 북사면의 기생화산체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해양과환경 연구소, Vol. 19, pp.25-38

한국자원재생공사, 1998, 폐기물 재활용 통계, 폐타이어 발생 및 재활용 현황 , pp

현성수, 2000, 제주 스코리아로부터 합성된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폐수 중 중금 속제거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Miklas Scholz, Jing Xu, 2002, Comparison of constructed reed beds with different filter media and macrophytes treating urban stream contaminated with lead and copper, Ecological Engineering 18, pp.385~39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