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현재 석산 사업의 사후 통보서 내 지형·지질 항목 조사결과를 통해 사업으로 인한 환경적 인 영향 및 변화를 파악하기 어려운바, 이의 작성 실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드론 기반 모델링과 GIS 분석 기법을 대안으로 제시함

- 2022년 상반기에 접수된 81개 석산 사업을 대상으로 사후 통보서 작성 실태를 파악하 여 사후 통보서 내에 제시된 조사결과를 유형화할 수 있었음

∙ 도면에 사면 발생 지점을 표시하지 않고, 사면고, 사면경사, 처리방식을 제시하지 않 았거나(a), 제시했어도 지형·지질 항목을 검토하기에 적당하지 않은 자료를 제시한 유 형(a')

∙ 현장(사면) 사진을 제시하지 않았거나(b), 제시했어도 사면이 아닌 사업부지 전경 따위 의 사진을 제시한 유형(b')

∙ 슬라이딩 발생 유무를 제시하지 않은 유형(c)

- 작성 실태를 유형화한 결과, 사면 및 도면 자료를 제시하지 않았거나 제시하였어도 사 면을 분석하기에 적절치 않은 자료를 제시한 경우(a 또는 a')가 80건으로 가장 많았음 - 따라서 사면 및 도면 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대안으로 드론 기반 모델링과 GIS 분석 기

법을 제시하여, 아래와 같이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함

∙ 2D 정사영상과 CAD 토지이용계획도면 중첩을 통해 원형보전지역 설정, 침사지 설치 등 환경영향 저감방안으로 설정된 구역 및 시설의 훼손 및 적정 설치 여부를 확인함

∙ 2D 정사영상을 시계열로 구축하여 개발 공정과 현황을 파악함

∙ 시계열 DTM 차연산을 통해 절성토 지역과 절성토량을 파악함

∙ 3D mesh를 통해 사업부지 현황을 파악하고, 3D point cloud 기반의 GIS 분석으로 산 지복구설계 기준 준수와 같은 협의내용의 이행을 정략적으로 확인함

- 제시한 대안을 통해 기존 석산 사업의 사후 통보서에 비해 경제성을 비롯한 다양한 측면의 기대효과를 예상할 수 있었음. 따라서 이를 향후 한국환경연구원의 사후 통보 서 검토 매뉴얼 등에 활용하여 석산 사업의 사후 통보서 제작 시 표준안으로 추진할 계 획임

○ 다만, 구축된 드론 모델의 정확도, 석산 사업에 대한 이전의 지형·지질 조사방법 및 통보 서 작성 방법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안의 구체적인 경제성 비교 등의 작업이 선행되어 야 함

○ 본 연구에서 대안으로 제시한 드론 모델링과 GIS 분석 기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관련 전문가가 직접 현장 방문을 통한 드론 촬영부터 모델링, GIS 분석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 로운 점이 있음. 따라서 추후에는 사업자나 환경영향평가 대행업체에서 이러한 작업 수 행을 할 수 있도록 드론 모델링 및 GIS 분석과 사후 통보서 작성 등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안이 요구됨

참고문헌

[국내문헌]

박민규(2021), “환경영향평가의 훼손수목량 추정을 위한 드론영상 분석법과 방형구법의 정확성 비교”, 「환경영향평가」, 22(6),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pp.155-163.

성현찬, 주용언, 전성우(2019), “환경영향평가 개선을 위한 무인항공기 기반의 산림공간정보 활 용 방안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2(6),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pp.63-76.

유재진, 이상윤(2019),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드론과 BIM의 적용 가능성 검토 기초연구」, 한 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이강원, 손호웅(2016),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구미서관.

환경부(2016), 「환경영향조사결과 통보서 작성 가이드라인」, 환경부.

환경부(2022), 「환경영향평가등의 작성 등에 관한 안내서」, 환경부.

한국환경연구원(2021), 「환경평가모니터링센터 2021 업무성과물 4: 사후환경영향조사결과 통 보서 작성 매뉴얼 Ver.5.0」, 한국환경연구원.

[국외문헌]

Snavely, N., S. M. Seitz, and R. Szeliski(2008). “Modeling the World from Internet Pho to Coll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80(2), pp.189–210. ht tp://doi.org/10.1007/s11263-007-0107-3.

Lowe, D.(2004). “Distinctive Image Features from Scale-invariant Keypoints”, Internat 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60(2), pp.91–110.

[온라인 자료]

한국환경연구원 환경평가본부 인트라넷 검토지원정보시스템.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 “사업조회”, https://www.eiass.go.kr/, 검색일: 2022.11.1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