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 치위생전공대학생의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 도를 여러 각도에서 분석해보면서 제주의 지역적 요인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 지 밝히고자 하였다. 제주의 H대학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 며,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어떠한가에 대한 분석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제주지역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을 살펴보 면 성별(t=2.672, p=.008), 고교학업성적(F=6.865, p=.000), 가정의 월 소득(F=3.098, p=.017*), 전공 관련 아르바이트 경험의 유무(t=2.779, p=.006)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성별에서는 남학생의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왔다. 이것은 남학생의 비중 이 적어서 크게 신뢰도가 있는 것은 아니나, 송정민(2011)의 전문계 고등학교 졸 업자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J지역 일부전문대학 보건계열 전공 학생을 중심으로 연구에서와 같은 결과를 보인다. 그가 언급한 것처럼 본 연구의 조사대 상자의 대부분이 군필자로 복학 후 대학생활의 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 학업성적에서 잘한 편이다, 보통이다, 잘 못한 편이다, 매우 잘한 편이다 의 순으로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왔다. 이는 유소연(2013)의 치위생 전공 대학생 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련성 연구에서와 다른 결과를 보였다. 유소연(2013)의 연구에서는 학점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도 높았 으나, 본 연구에서 고교학업성적은 의외로 매우 잘한 편이라는 응답이 자기효능

감이 가장 떨어진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보건계열의 특성상 어려운 전공과정 을 거치면서 고교시절의 매우 잘했던 성적이 오히려 좌절이 된 것으로 판단된 다.

가정의 월소득에서 600만 이상 800만 미만, 1000만 이상, 400만 이상 600만 미 만, 800만이상 1000만 미만의 순으로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왔다. 이것은 이상희 (2010)의 출신고교별 미용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소득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도 비례해서 높아지는 것으로 나온 것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전공 관련 아르바이트의 유무에서 있다라고 응답한 경우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온 것은 유소연(2013)의 연구에서 사회경험의 유무에서 있다라고 답한 응답자 의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온 것과 같은 결과였다. 이러한 결과를 놓고 볼 때, 사 회경험을 한 경우, 좀 더 자신의 가능성을 믿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문제 제주의 지역적 요인에 따른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어떠한가에 대한 분석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제주출신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서 제주경제(t=1.955, p=.052), 제주 의 괸당문화(t=-.574, p=.567), 괸당의 유대(t=.527, p=.599), 교육여건(t=.027, p=.979), 육지살고싶은 생각(t=-.701, p=.484), 제주지역의 문화(t=.364, p=.716)에 대한 응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응답자가 긍정의 응답을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는 강현주(2012)의 청소 년의 자기효능감과 지역요인과의 관계 연구에서 비공식적 유대가 강한 지역일수 록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과 다른 결과였다.

자기효능감의 합계에서 유의한 결과를 내지 못하였으나, 자기효능감의 하위요 소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를 살펴본 결과 제주인의 끈끈한 유대가 과제난이도선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t=2.235, p=.027*). 제주의 끈끈한 유대를 알고자 만든 괸당이 자신에게 어떤식 으로든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설문에서 영향이 있다가 163명중 99명으로 과제

난이도 평균이 2.72, 영향이 없다가 163명중 64명으로 과제난이도 평균이 2.51로 영향을 느끼는 응답자의 과제난이도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강현주(2012) 의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지역요인과의 관계 연구에서 비공식적 유대가 강한 지역일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난다는 결과와 같은 결과였다. 이는 제주인 의 끈끈한 유대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 외의 제주지역요인(경제, 괸당에 대한 생각, 육지에 살고 싶었던 생각, 제주의 교육여 건, 제주의 문화 환경)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연구문제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어떠한가에 대한 분석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제주지역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살펴보 면 연령(t=-4.395, p=.000), 학년별(F=14.742, p=.000), 고교 학업성적(F=3.129, p=.027), 전공관련 아르바이트 경험의 유무(t=2.503, p=.013), 치위생 선택동기 (F=4.144, p=.007)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을 20살 전후로 놓고 검증한 결과 20살 이후의 연령대가 전공만족도가 높 게 분석되었다. 이것은 심은숙(2003)의 연구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다는 결과와 같다. 학년별 전공만족도는 3학년, 1학년, 2학년 순으로 높게 나타 났다. 이상희(2010)의 연구에서와 같이 1학년의 전공만족도가 2학년의 전공만족 도보다 높게 나온 것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고교를 졸업하고 새 롭게 대학생이 되어서 높아진 전공만족도가 어려운 전공과정을 겪으면서 다시 낮아진다는 이상희(2010)의 연구와 같았다. 3학년의 전공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 은 어려운 2학년을 지나고 이제 얼마 지나지 않아 졸업과 함께 치위생사라는 전 문직으로 거듭난다는 기대가 작용하고 현장 실습 등에서 실제 치위생 과정을 겪 은 후이므로 경험에 의한 자신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는 유소연(2013)의 연구 와 같은 결과이다. 고교시절 학업성적에서는 잘한 편이다, 매우 잘한 편이다, 보 통이다, 잘 못한 편이다의 순으로 전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유소연(2013)의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인다. 전공과 관련된 아르바이트 유무에

서는 역시 있다라고 답한 응답자의 전공만족도가 높았는데 이는 이론공부에서만 보아온 치위생사의 일상 업무를 직접 경험함으로써 전공에 대한 이해도가 더 높 아진 것이라고 보여 진다. 이 역시 유소연(2013)의 연구와 같은 맥락의 결과였다.

넷째, 연구문제 제주의 지역적 요인에 따른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어떠한가에 대한 분석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제주출신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에서 제주경제(t=-.284, p=.777), 제주 의 괸당 문화(t=-.234, p=.816), 괸당의 유대(t=.265, p=.791), 교육여건(t=3.616, p=.000), 육지 살고 싶은 생각(t=-.561, p=.576), 제주지역의 문화(t=.976, p=.331)에 대한 응답 중 교육여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0<.001).

제주지역의 교육여건에 대해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진 응답자의 전공만족도가 높 게 나온 것은 조윤형(2013)의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디자인전공자의 성격강점이 수업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오프라인 수업형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구와 같은 결과를 보인다. 이는 긍적적인 생각이 수업태도나 수업집중도를 높 이고 그에 따라 전공만족도가 상승한 것이다.

전공만족도를 세분화하여 모든 하위 요소를 살펴본 결과, 하위요소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과내용만족은 t=3.355, p=.001, 일반만족은 t=2.819, p=.005, 수업만족은 t=2.426, p=.016, 관계만족은 t=2.518, p=.013, 인식만족은 t=4.00, p=.000으로 제주의 교육여건에 대한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우선, 교과내용만족은 제주의 교육여건에서 163명중 만족 한다 129명, 평균이 3.30이고 불만이다가 163명중 34명, 평균이 2.85로 긍정의 답변자가 월등히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일반만족은 163명중 129명, 평균이 3.36이고 불만이다가 163명중 34명, 평균이 2.96으로 긍정의 답변자가 월 등히 높게 나왔다. 수업만족은 163명중 129명, 평균 3.46이고 불만이다가 163명중 34명, 평균이 3.14로 역시 긍정의 답변자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관계만족을 보 면 163명중 만족한다가 129명으로 평균 3.46이고 불만이다가 163명중 34명, 평균 3.14로 역시 긍정의 답변자가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인식만족에서도 163명중

129명이 만족한다고 답변하고 평균 3.50이고 불만이다가 163명중 34명으로 평균 3.11을 보여 긍정의 답변자가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정상희, 김은희, 김현숙 (2011)의 지역별 치위생과 학생들의 교육환경 및 전공 만족도 조사 연구에서 수 도권과 비수도권의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에서 수업의 질은 비수도권지 역이 만족도가 높았으나, 환경면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낮게 나온 결과와는 상반 된 결과를 보였다. 제주도의 교육여건에 대해서 긍정적인 답변을 한 응답자가 전 공만족도 하위요소의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내며 평균이 높게 나온 것으로 볼 때, 자신이 처한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공만족 도도 상승하는 것으로 보였다.

이상으로 제주지역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자기효능 감과 전공만족도와 제주의 지역적 요인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를 검증 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요약을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요약을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