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1-68)

본 연구는 기후변화 STEAM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명시적인 교수전략을 모범교사 를 통해 관찰하고 이를 분석하여 교실 안에서 수행할 수 있는 STEAM 수업의 효율적 인 효과를 위해 구체적인 교사의 실천가이드가 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기후변화를 주제로 하는 STEAM 프로그램에서 도출되는 명시적인 교수전략을 탐색 하기 위해 김교사의 기후변화 10차시 수업을 문제제기,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 단계 3단계로나누어 OTOP 관찰 도구와, NGSS 실천 분석 도구로 수업을 관찰하여 교수전 략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STEAM 수업상에서 나타난 명시적인 교수전략을 토대로 다 음과 같은 결론 및 제언을 시사하는 바이다.

첫째, 김교사는 STEAM 기후변화 프로그램을 명시적인 교수전략을 통해 STEAM 교육의 목표인 동기부여 및 흥미를 자극 하였다. 김교사의 STEAM 프로 그램 수업에서는 기존의 이론중심의 수업과는 달리 여러 가지 수업을 보조할 ICT 미 디어 매체(영상매체, 현미경, 테블릿 피씨, 이산화탄소 감축 킷트 등)를 이용하여 이론 중심의 수업이 아닌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수업도중 학생들이 직접 기후변화에 대해 자료를 찾아본다거나, 온실기체에 대한 자료를 찾는다 거나, 녹조류의 특징을 찾는 등 여러 가지 자료를 찾을 때 학생들은 테블릿 피씨 및 Standing Board와 Standing Table을 이용하였으며, 수업과 관련된 킷트나 준비물들은 김교사의 교수전략에 도움을 주었다. 또한 수업도중 테블릿 피씨를 이용하여 빔 프로 젝트로 현장에서 바로 동료들의 생각을 공유하며 평가를 할 수 있게 해주었다. 즉, 21 세기를 살아가면서 직면하게 되는 여러 가지 글로벌 이슈에 필요한 역량을 쌓기 위해 자료 수집, 정보 분석, 정보 활용, 매체를 활용한 능력을 기르고,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책을 생각해 낼 수 있는 능동적인 현대인을 위한 교육으로서 보조역할을 하기 에 충분하였다. 이는 명시적인 교수전략을 통해서 학생들의 동기부여 및 흥미를 불러일으키기 위해서는 충분하였다. 개방질문을 통해서 특히 주어진 정부차원에서의 글로벌 문제 해결문제는 학생들로 하여금 책임감을 가지게 하였고, STEAM 프로그램 은 학생들에게 책임감에 따른 동기부여 및 흥미를 지속적으로 주기 위해서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글로벌 이슈여야 한다. 따라서 앞으로의 STEAM 프로그램 은 좀 더 현실적인 문제로 구성되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STEAM 프로 그램을 구체적인 해결책을 구하는 글로벌 이슈를 다룰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발을 제 안하는바 이다.

둘째, 김교사는 STEAM 기후변화 프로그램을 명시적인 교수전략을 통해 학생들

에게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미래사회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 었다. 김교사는 명시적인 교수전략에 해당하는 각 수업에서의 협동학습을 통해 동료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함양시켰고, 학생들에게 기후변화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 는지, 그리고 기후변화가 어떤 원인으로 일어나는지를 알아보았고, 이를 통해 학습자는 기후변화의 원인부터 차근차근 분석해 나갈 수 있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 그 리고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실험을 통해 간접적으로 체험하면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깨닫고 비판적으로 남들의 의견을 받아들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이는 글로벌 이슈에 관련된 문제를 인식하고 이에 따른 해결방법을 찾아내고 직접 실행으로 옮기며 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게 해주었고, 명시적인 교수전략을 통해 학생들이 기회를 가질 수 있고 과학적 사고와 과학적 소양 의 4가지 목표인 4-ON에 해당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해주었다. 이는 글로벌 역량을 달 성하기 위해 필수적임을 확인한 것이다. 이에 따라 교사의 명시적인 교수전략을 통해 서 학생들이 핵심역량이든 과학적 소양의 목적이든 달성할 수 있는 기회를 받을 수 있 는 기회가 있어야 학생들이 그러한 발휘를 할 수 있으므로 교사는 프로그램상에 핵심 역량을 달성하고자 하는 교수전략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셋째, 김교사는 STEAM 기후변화 프로그램으로 STEAM교육의 Art 적인 요소 가 단순한 예술적인 측면만 생각 한 게 아니라 이에 확장된 인문학적 요소까지 경 험하도록 하였다. 김교사는 감성적 체험 단계의 수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킷트 등을 이용하여 예술적인 산출물을 직접 그리거나 제작하게 하고, 창의성을 발휘하여 인문적 인 요소를 포함시키기도 하였고 이산화탄소 감축에 도움을 주는 녹조류를 키우는 것이 정말로 우리나라에 적절하고 이에 따른 경제적인 가치, 정치적인 견해 그리고 환경적 인 요인까지 고려하는 모습 등은 인문학적인 관점을 통해 수업에서 다양한 인문요소를 경험하게 하였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STEAM 프로그램 보급을 위해서는 교사가 명시 적으로 감성적인 체험을 줄 수 있는 기회를 STEAM프로그램이나 실질적인 교실 수업 에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김교사의 STEAM 기후변화 프로그램은 다른 교사들의 경험을 토대로 하 는 상황중심의 체계적인 STEAM 교사연수프로그램을 통해서 교사의 STEAM에 대한 철학 및 인식도 새롭게 재정비되었고, 명시적인 교수전략을 구체적으로 연습 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사연수프로그램이 필요 할 것으로 파악된다. 교육에 있어 교사의 전문성은 가장 기본이 된다. 위의 여러 가지 명시적인 교수전략들은 절대로 혼 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교과적인 지식은 혼자서 이루어 질 수 있지만, 수업과 관련된 노하우는 본인 스스로 습득이 될 수 없다. 기후변화라는 주제 이외에도 좀 더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다른 사들의 경험을 공유하여 철저하게 상황중심의 체계적인 STEAM 교사연수프로그램을 통해서 교사의 STEAM에 대한 철학 및 인식도 새롭게

재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즉 명시적인 교수전략을 구체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체계적 인 교사연수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STEAM 관련 연수프로그램들이 글로 벌 이슈의 각 단계별로 제시되면 단순한 수업의 전략 나열이 아니라 상황과 맥락이 제 시된 명시적인 전략이 될 수 있으므로 교사들이 좀 더 효율적으로 STEAM교육을 배 우고 익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즉 현행 교육과정과 연결된 글로벌 이슈를 중심으로 구성된 교사 연수프로그램이야 말로 교사의 전문성을 제대로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21세기 정치학 대사전(2010). 한국사전연구사.

강남화, 이은미(2013).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과서 탐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132-143

교육과학기술부(2012). 손에 잡히는 STEAM교육: 무엇이 아이들을 즐겁게 하는가?.

STEAM 가이드북

교육과학기술부(2011).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교육과학기술부(2010).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2011년 업무 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http://ncic.re.kr/

김경희, 시기자, 김미영, 옥현진, 임해미, 김선희(2010). 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PISA 2009) 결과 보고서. 연구보고 RRE 2010-4-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김덕호, 고동국, 한명재, 홍승호(2014).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과학수업이초등 학생의 창의성과 과학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1), 43-54

김진수(2005)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탐색을 위한 한국과 일본의 기술․가정 교육과정 비교.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0(1), 68-83

김진수(2011).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 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124-139.

김진수(2012). 기술교사를 위한 STEM 프로그램 개발. 한국과학창의재단 중간보고 서.

김영민, 박윤배, 박현주, 신동희, 정진수, 송성수(2014). 과학교육학의 세계. 북스힐 김세현, 유효숙, 최경희(2012). 2009개정 중·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글로 벌 이슈 내용 및 STEAM 교육요소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2), 73-96

김정아, 김병수, 이지훤, 김종훈 (2011). 융합적 인재 양성을 위한 IT 기반 STEAM 교수·학습 방안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3(3), 445-460

남상열, 정원조, 윤예린(2010). 글로벌 이슈에 대한 국제기구 ICT 분야의 대응논의와 시사점. 정보통신정책연구원(기본연구)

배선아, 금영충(2010).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화공 분야의 STEM 교육에 대한 화공교사의 인식과 요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5(1), 44-67.

배선아(2011). 중학교 전기전자기술 영역의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공업교육학회, 36(1), 1-22.

배협(2012). 중학교 발명수업에서 롤링볼 만들기의 STEAM 수업자료 개발. 한국교 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2011). 우리 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6-171

백윤수, 김영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박현주(2012). STEAM 교육 의 구성 요소와 수업 설계를 위한 준거 틀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

533-557

박현주(2012). 우리나라 STEAM 교육을 위한 고려사항. 제61차 한국과학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

박도영(2011). 미국의 K-16 STEM교육. 위즈덤교육포럼 자료집, 44-53

박영만(1982). 존 듀이 실험학교 교육이론과 실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영신(2012).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최종보고서. 한국과학창의재단 신영준, 한선관(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0(4), 514-523

서주희(2012).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 발 및 적용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현정(2015). STEAM 형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교 과학 연재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권수(2013). 초등과학영재들의 과학적 창의성 및 태도 신장을 위한 과학기반의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나만의 창의적인 간장 만들기-. 원광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졸업논문.

손연아, 정시인, 권슬기, 김희원, 김동렬(2012). STEAM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예비교 사와 현직교사의 인식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13(1), 255-284

우정주(2013). STEAM 교육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관련한 질적 연구. 이 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동윤, 김기수, 이창훈(2011). STEM 교육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기 술교육학회지, 11(2), 159-180

이윤희, 한민영(2010). 과학기술의 사회적 수용 -유전자유전자변형생물체(LMO) 사례 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13(1), 35-64

이우정, 강순희(2014). 중학생들의 방과 후 창의적 체험 활동에서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강화 STEAM 지향 과학 교수 전략. 교과교육학연구, 18(2), 321-342.

이효녕, 손동일, 권혁수, 박경숙, 한인기, 정현일, 이성수, 오희진, 남정철 , 오영재, 방 성혜(2012).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중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이형민(2013). 과학기반 과학 기반 STEAM을 적용한 ‘태양계와 별’ 단원 수업이 창 의적 사고활동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윤현진, 김영준, 이광우, 전제철(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설정을 위한 초․중 등학교교육과정비전연구(I).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 RRC 2007-1.

조재주, 최유현, 김소연(2011). 화학영역의 통합적 STEM 발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7(1), 165-188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2014). 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장호창, 남영숙(2008). 초등학교 환경교육 컨텐츠의 공간 범위에 대한 고찰. 한국환경 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장현진(2012). 융합교육(STEAM)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 조사. 인하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최경희(1996). STS 교육의 이해와 적용. 교학사

최유현, 정호근, 김동하(2008). 발명영재 교육 및 연구 인프라 구축 방안과 로드맵.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4(1), 251-270

Bhargava, V. K. (Eds.).(2006).

Global Issues for Glabal Citizens: An Introduction to Key Development Challenges

. Washington, DC: World Bank.

Capraro, R. M., Capraro, M. M., Morgan, J., & Scheurich, J. (2010).

A companion to interdisciplinary STEM Project-Based Learning: For teachers by teachers

. Sense Publishers

DeBoer, G. E.(2000).

Scientific literacy: Another look at it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meanings and its relationship to science education refor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

(6), 582-601.

Harland, D. J.(2011). STEM student resarch handbook.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NSTA Press; Arlington, VA.

National Research Council(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1-6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