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9-45)

국내에서 이루어진 초등학교 구강보건교육 중재 관련 연구에 관한 문헌분 석을 통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효율적인 연구수행을 위한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강보건교육 관련 문헌이 보고되기 시작 한 1970년대부터 2016년 7월까지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문헌 중 제목이나 주 제어에 ‘초등’ 또는 ‘국민학교’와 ‘구강보건교육’ 그리고 ‘효과’ 또는 ‘평가’를 제시한 문헌(6,834편)을 3회의 검색사이트 검색과 내용검토 등의 수작업을 거 쳐 최종 19편을 선정하였다. 연구목적, 대상, 방법 등의 문헌구성에 의한 연 구 동향을 파악하고, 구강보건교육 중재 평가, 결과 평가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구강보건교육 관련 연구목적은 교육 후 구강보건관련 지식, 태도 및 행동의 변화와 영구치우식경험도, 구강위생관리능력 향상 파악을 통 해 교육의 효과를 측정한 연구가 15편(78.9%)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구대상은 구강보건교육,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양치교실 운영 여부에 따른 실험군/대조 군 연구가 13편(68.4%)으로 주를 이루었다. 연구방법에서 지식, 태도 및 행동 은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구강위생관리능력 평가는 구강검사를 통해 이루어 졌으며, 기간과 측정횟수는 매우 다양한 형태를 나타냈으나, 총 4회 미만이었 다.

둘째, 구강보건교육 중재 관련 평가에서 교육방법은 강의와 시범이 17편 (89.5%)이었고, 매체는 악치모형과 컴퓨터, 시청각자료(비디오, 슬라이드, OHP)가 주로 사용되었다. 측정도구는 설문조사와 구강검사였으며, 내용은 구 강보건에 관한 지식, 태도, 행동, 실천도와 영구치우식경험도, 치면세균막지수 를 파악하였고,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경우는 8편(42.1%)이었다. 이러한 결 과를 바탕으로 향후 구강보건교육 관련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구강보건정책의 일환으로 구강보건교육 관련 전문가로 교육개 발팀을 구성하여 표준화된 교육지도안과 매체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건교육 시간을 활용한 정규시간 편성으로 구강보건전문가에 의한 체계적인 교육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명확한 평가 기준과 도구를 통한 자료수집과 분석, 근거있는 보고지 침을 이용하여 보고할 것을 제언한다.

이상과 같은 제언이 구강보건교육 현장에 적용되어 초등학생들에게 올바른 구강보건 태도 및 습관이 형성되는 기회를 제공하고, 구강건강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강현주, 권현숙, 유병철. 양치교실과 학교구강보건실 이용 학생들의 구강보건 실태 비교. 한국치위생학회지 2014;14(2):173-179.

김용식. 교육평가의 재개념화.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논총 1998;15:133-154.

김영숙, 조영식. 장애인치과학 관련 국내 연구문헌의 고찰(1970년~2000년).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2005;1(1):9-17.

김현숙, 김미경. 우리나라 학생 건강관리 사업의 역사적 변천과 의의:

2001-2010년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013;26(3):144-157.

문창진. 세계보건기구의 학교 구강건강증진 전략. 한국건강증진재단. 2012.

박경옥, 유빛나, 송혜영, 남영희, 배정원, 박신영 외 3인. 국내 학교기반 보건 교육 연구에 대한 설명적 문헌고찰(1990-2008).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2009;10(1):123-140.

박인혜, 고정은, 최희정, 안옥희, 김희걸, 양숙자 외 6인. 지역사회간호학1. 현 문사. 2016.

박지혜, 안상헌, 정성화, 최연희, 송근배. 대구광역시 일부초등학교 구강보건실 운영 5년차 효과평가.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9;33(2):235-242.

성미경, 권현숙, 문숙련, 류혜겸. 일부 초등학교 양치교실 운영 효과 평가. 치 위생과학회지 2015;15(1):24-31.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4판. 학지사. 2014.

신승철, 학교구강보건사업의 평가 안 개발 및 개선에 관한 조사 연구. 단국대 학교 예방치과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8.

신유선, 이지현, 김이순, 김복용, 김정순, 강영미 외 3인. 보건교육. 수문사.

2005.

안양희, 백희정, 함옥경, 김미원, 이인숙, 이소영 외 2인. 보건교육학 제2판. 현 문사. 2013.

양경희, 공은숙, 박혜경, 박금숙, 정영주, 박필남 외 2인. 최신 학교보건 제2판.

현문사. 2014.

오철호. 논의의 초점: 분석평가연구에서 통섭의 필요성과 가능성. 정책분석평 가학회보. 2009;19(4):1-14.

유소영, 이재윤, 정은경, 이보람. 연구성과평가 지침 리뷰 및 국내 적용 제안 을 위한 고찰. 정보관리학회지. 2015;32(4):249-272.

이규영. 학교보건교육의 효과 평가 방안.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009;22(1):

129-143.

이정화, 조미숙, 이민경, 진혜정. 학교구강보건실 운영․비운영 학교 학생들의 구강보건지식과 행동 비교. 치위생과학회지 2014;14(4):495-501.

이화선, 유상준, 김영준, 김병옥. 치과 임플란트 주위질환의 진단 및 분류: 문 헌고찰. 구강생물학연구 2015;39(1):1-9.

임순환, 김응권, 권미영. 초등학교 내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여부에 따른 아동 의 치아우식경험도 비교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2005;5(4):233-238.

임현대, 이유미. 구강편평태선 환자에서 발생한 암종의 증례보고 및 문헌 고 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9;34(1):49-54.

장기완, 황윤숙, 구인영, 김남희, 김종배, 김진범 외 13인. 구강보건교육학 제5 판. 고문사. 2014.

장석일, 2014 건강증진연구사업 Annual Report.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5.

전은아. 교육 평가체제 구축을 위한 XML 기반 문제은행 시스템 구현. 원광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전정미. 서울시 일부 초등학교의 구강보건교육 실태 및 보건교사의 의식조사.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최문실. 치면세균막관리에 관한 국내 문헌고찰 -구강위생교습과 관련된 문헌 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표순희. 근거중심 문헌정보실무의 내용과 방법론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 지 2009;26(1):351-370.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건강증진기금사업지원단. 제3기 지역보건의료계획 3차 현지평가. 정책-보건의료-2006-4.

한석실. 논문분석을 통한 유아평가 방법 탐색. 유아교육연구.

2015:35(2);73-95.

홍진실, 김영삼, 이해진, 김주연, 장기완. DFS에 근거한 치과공포 및 치과불 안 유래 요인에 대한 문헌고찰.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5;39(4):229-236.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Methods guide for effectiveness and comparative effectiveness reviews. AHRQ publication No.10(14)-EHC063-EF January 2014:38-45.

Dr andrea de Silva. Community-based, population level interventions for promoting child oral health. HTA-13/180/02. 2014.

Gambhir RS, Sohi RK, Nanda T, Sawhney GS, Setia S. Impact of school base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mes in India: a systematic review. J Clin Diagn Res. 2013;7(12):3107-3110.

Habbu SG, Krishnappa P. Effectiveness of oral health education in children - a systematic review of current evidence (2005-2011). Int Dent J. 2015;65(2):57-64.

Higgins JP, Green 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ver 5.0.2., http://handbook.,org/v5.0.2/. 2016.

Nakre P.D, Harikiran A.G. Effectiveness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A systematic review. J Int Soc Prev Community Dent. 2013;3(2):103-115.

Nykanen P, Brender J, Talmon J, Nicolette de Keizer, Rigby M, Beuscart-Zephir M.C, Ammenwerth E. Guideline for good evaluation practice in health informatics(GEP-HI). International J. Medical Informatics. 2011;80:815-827.

Peter Muennig. How Education Produces Health: A Hypothetical

Framework. http://www.tcrecord.org/Content.asp?ContentId=14606. 2007.

Talmon J, Ammenwerth E, Brender J, Nicolette de Keizer, Nykane P, Rigby M. STARE-HI-Statement on reporting of evaluation studies in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9-4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