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9-49)

D.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IV.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일개 지역에 거주하며 고혈압 및 당뇨를 앓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 복약이행도 측정도구인 Korean version of Adherence to Refills and Medications Scale (ARMS-K)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시도된 방법론적 연구 이다. N시에 거주하며 고혈압 및 당뇨로 약을 복용중인 노인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복 약이행도 측정도구ARMS-K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결과 구성타당도와 동시타당도가 검 증되었으며, 내적일관성 검증을 통해 신뢰도가 높은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지역 노인뿐만 아니라 다양한 표본을 대상으로 Korean Adherence to Refills and Medications Scale (ARMS-K)에 대한 신뢰도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도를 재검증하는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본 도구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만성질환 노인들의 주관적인 복약이행도를 측정하 고, 객관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복약이행도를 측정하여 도구의 동시타당도를 검 증하는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본 도구를 이용하여 복약이행도와 관계있는 여러 변수들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중재를 개발하여 노인들의 복약이행도를 높일 수 있는 실험연구를 제언한다.

참고문헌

국민건강 보험공단 (2015).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자료. Retrieved September 30, 2015 from http://www.longtermcare.or.kr/portal/site/nydev/B0019/

김계현, 김한나, & 이정찬 (2015). 학술연구논문: 미국( 환자보호 및 적정의료법)의 현황과 과제. 법학논집, 20(1), 69-95.

김성옥 (2001). 고혈압과 당뇨병 노인의 복약순응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 임상약학회지. 21(2), 81-89.

김성옥, & 장선미 (2013). 한국의료패널을 활용한 고혈압환자의 복약순응도가 의료이 용 및 의료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약학회지. 57(5), 369-375

김성원, 어인구, 김미영, 유태우, & 허봉렬 (1995). 복약 순응도에 관한 자가보고 설 문의 한국어판 개발 및 타당도 조사.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16(2), 172-180.

김순옥 (2011). 범이론 모형을 적용한 고혈압 환자 약물순응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2(3), 342-354.

김영주 (2011). 지역사회 만성질환노인의 약물사용과 우울예방 교육 프로그램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2(4), 399-408.

김영희, 이미경, 이승자, 조명숙, & 황문숙 (2011) 가정간호 노인대상자의 처방약물복 용 실태 및 복용 이행도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2(3), 290-301.

김정선, & 강숙. (2013).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다약제 복용 (Polypharmacy) 과 부적절 한 약물사용 실태. 보건의료산업학회지, 7(3), 237-249.

김진현, 조수진, 이은희 (2010). 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한 만성질환자의 복약순응도 및 영향요인 분석. 제3회 한국의료패널 학술세미나 자료집, 221-241

류경희, & 손연정 (2013) 노인 만성질환자의 인지기능과 자기 효능감이 약물복용 이행 도에 미치는 영향.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15(3), 107-114.

민신홍, & 김종임 (2012).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약물복용이행 설명모형 구축. 기본 간호학회지, 19(4), 463-473

박미숙 (2008). 노인의 약물 사용 실태 조사. 기본간호학회지, 15(2), 195-205.

박상현, 이지훈, 박민재, 오정균, 조준동 (2015). 복약순응도 향상을 위한 텀블러 디 자인 연구. 한국 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6-57

박영임, 이강이, 김동옥, 엄동춘, & 김지현 (2014). 지역사회 노인의 약물복용실태와 약물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5(3), 170-179.

박은자 (2011). 한국의료패널로 본 의약품 복약순응과 비용부담. 보건복지포럼, 43-50.

박이병, 김대중, 김재용, 김화영, 민경완, . et al.(2007). 우리나라 당뇨병 현황 분 석-대한당뇨병학회-심평원 공동연구 2004-2006. 월간 당뇨.

보건복지부 (2014). 2014 노인실태조사. Retrieved September 15, 2015 ,from http : //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8

&CONT_SEQ=318518&page=1

손경애, 김윤신, 홍민희, 정미애 (2010). 고혈압 환자의 투약순응도와 영향 요인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1(5), 1897-1904.

송미숙, & 송현종 (2015).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재가급여 유형별 이용권고 여부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타당성을 중심으로. 노인복 지연구, 69(단일호), 31-49.

안양희 (2014). 의료급여 관절염환자의 복약순응향상을 위한 통합중재프로그램의 효 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1(5), 1897-1904.

양정란 (2014). 만성질환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자기효능감이 약물복용이행에 미 치는 영향. 간호과학회지. 26(1), 29-38.b

오지영 (2008). 주요 내분비질환의 진료 지침 : 당뇨병 진료지침 - 대한당뇨병학회, 미국당뇨병학회, 유럽당뇨병학회, 일본당뇨병학회 [Special Review : Treatment guideline for diabetes]. 대한내과학회지. 75(3), 249-256.

이경희, 신수진 (2013). 한국의 도구개발 간호연구에서의 타당도에 대한 고찰. 대한간 호학회지. 43(6), 697-703

이서영 (2013). 자가보고 설문을 이용한 복약순응도 측정 연구 분석. (국내석사학위논 문),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이은옥, 임난영, 박현애, 이인숙, 김종임, 배정이 et al,. (2009). 간호연구와 통계분 석. 서울: 수문사.

이종경 (2013). 지역사회 고혈압 노인의 약물 자기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대한간 호학회지. 43(2), 267-275.

이준화, & 박명화 (2007) 농촌지역 노인의 안전한 약물 사용을 위한 교육의 효과. 대

한간호학회지. 37(3), 295-304.

장인순 (2007). 경북지역 재가노인의 약물사용 실태. 노인간호학회지, 9(1), 40-50.

장진구, 노대영, 김찬형 (2015). 한국판 약물 순응척도의 표준화 연구. 대한정신약물 학회지. 26(2), 43-49

정영호 (2011). 한국의료패널로 본 의료이용 및 본인부담 의료비 지출. 보건복지포럼, 64-81.

정영호, 고숙자 (2014). 자유세션 2: 만성질환자의 의료이용 지속성에 미치는 요인 분 석 고혈압 및 당뇨병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4(1), 215-232.

조희숙 (2012). 일차의료의 발전방안.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5(10), 959-968.

질병관리본부 (2015).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 Retrieved October 15, 2015, from http://www.cdc.go.kr/CDC/notice/CdcKrIntro0504.jsp?menuIds=HOME001-MNU115 4-MNU0004-MNU0110&cid=65024

통계청 (2014). 2014 고령자통계. Retrieved November 20, 2015, from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허재헌, 김수진, 김주혁, & 허순임 (2009). 복약지도 만족도가 복약순응도에 미치는 영향 :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한국임상약학회지. 19(2), 110-119.

한상숙 (2010). (SPSS) 간호. 보건 통계분석: PASW 활용.

홍재석, 강희정 (2010). 우리나라 성인 2형 당뇨환자의 외래진료 지속성과 관련요인 분석. 보건행정학회지, 20(2), 128-143

Alfaro Lara, E. R,. Vega Coca, M. D., Galvan Banqueri, M., Marin Gil, R., Nieto Martin, M. D., Perez Guerrero, C., et al (2012). Selection of tools for reconciliation, compliance and appropriateness of treatment in patients with multiple chronic conditions. Europ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3(6), 506-512.

Cull, A (2002). EORTC Quality of Life Group translation procedure: EORTC Brussels.

DeVon, H. A., Block, M. E., Moyle‐Wright, P., Ernst, D. M., Hayden, S. J., Lazzara, D. J., Kostas‐Polston, E. (2007). A psychometric toolbox for testing validity and reliability.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9(2),

155-164.

Field, A. (2009).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SPSS: Sage publications.

Gere, J., & MacDonald, G. (2013). Assessing relationship quality across cultures: An examination of measurement equivalence. Personal Relationships, 20(3), 422-442.

Hajjar, E. R., Cafiero, A. C., & Hanlon, J. T. (2007). Polypharmacy in elderly patients.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harmacotherapy, 5(4), 345-351.

Jank, S., Bertsche, T., Schellberg, D., Herzog, W., & Haefeli, W. E. (2009). The A14-scal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questionnaire for assessment of adherence and individual barriers. Pharmacy world & science, 31(4), 426-431.

Kripalani, S., Risser, J., Gatti, M. E., & Jacobson, T. A. (2009).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Adherence to Refills and Medications Scale (ARMS) among low-literac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Value Health, 12(1), 118-123. doi: 10.1111/j.1524-4733.2008.00400.x

Krousel-Wood, M., Holt, E., Joyce, C., Ruiz, R., Dornelles, A., Webber, L. S et al., (2015). Differences i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when antihypertensive medication adherence is assessed by pharmacy fill versus self-report: the Cohort Study of Medication Adherence among Older Adults(CoSMO). Journal of hypertension. 33(2), 412-420

Matza, L. S., Yu-Isenberg, K. S., Coyne, K. S., Park, J., Wakefield, J., Skinner, E. P., et al (2008). Further testing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K-20 adherence barrier questionnaire in a medical center outpatient population. Current medical research and opinion, 24(11), 3197-3206.

Morisky, D. E., Ang, A., Krousel‐Wood, M., & Ward, H. J. (2008). Predictive validity of a medication adherence measure in an outpatient setting. The Journal of Clinical Hypertension, 10(5), 348-354.

Morisky, D. E., Green, L. W., & Levine, D. M. (1986). Concurrent and predictive validity of a self-reported measure of medication adherence. Medical

care, 24(1), 67-74.

Osterberg, L., & Blaschke, T. (2005). Adherence to medicatio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3(5), 487-497.

Reynolds, K., Viswanathan, H. N., Muntner, P., Harrison, T. N., Cheetham, T. C., Hsu, J.-W. Y., Morisky, D. E. (2014).Validation of the Osteoporosis-Specific Morisky Medication Adherence Scale in long-term users of bisphosphonates. Quality of Life Research, 23(7), 2109-2120.

Sakthong, P., Chabunthom, R., & Charoenvisuthiwongs, R. (2009).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Thai version of the 8-item Morisky Medication Adherence Scal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nals of Pharmacotherapy, 43(5), 950-957.

Sweileh, W. M., Ihbesheh, M. S., Jarar, I. S., Taha, A. S. A., Sawalha, A. F., Sa'ed, H. Z., et al (2011). Self-reported medication adherence and treatment satisfaction in patients with epilepsy. Epilepsy & Behavior, 21(3), 301-305.

Tak, J (2007). Psychological testing: An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method: Seoul: Hakjisa Publisher.

Sakthong, P., Chabunthom, R., & Charoenvisuthiwongs, R. (2009).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Thai version of the 8-item Morisky Medication Adherence Scal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nals of Pharmacotherapy, 43(5), 950-957.

Sweileh, W. M., Ihbesheh, M. S., Jarar, I. S., Taha, A. S. A., Sawalha, A. F., Sa'ed, H. Z., et al (2011). Self-reported medication adherence and

treatment satisfaction in patients with epilepsy. Epilepsy & Behavior, 21(3), 301-305.

Tak, J (2007). Psychological testing: An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method: Seoul: Hakjisa Publisher.treatment satisfaction in patients with epilepsy. Epilepsy & Behavior, 21(3), 301-305.

Tak, J (2007). Psychological testing: An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method: Seoul: Hakjisa Publisher.

설 문 지

안녕하십니까?

저는 재가노인 방문간호사이며,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석사과정 학생입니다.

본 설문은 고혈압과 당뇨로 약을 복용하고 계신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자가보고 복약이행도 측정도구 (ARMS-K)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작성된 것입니다.

귀하의 소중한 답변은 복약이행도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뿐 아니라 복약이행도를 높이기 위한 중재 연구의 기초적 자료가 될 것입니다.

귀하께서 응답하신 내용은 무기명으로 처리되며 개인정보를 유출하거나 사생활을 침해하는 경우는 결코 없을 것이며, 설문지는 연구가 종료될 때 까지 잠금장치가 있는 서류장에 보관하여 연구자 이외에는 접근이 불가할 것입니다.

개인적 정보는 코드화 하여 컴퓨터에 입력될 것이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의 목적으로만 사용하고, 통계분석 이후에는 설문지와 코드화한 자료를 완전히 폐기처분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본 연구의 참여 여부는 전적으로 여러분의 자의에 의해 결정됩니다. 본 설문지 작성중 참여의사를 철회하실시 언제든지 작성을 중단하셔도 되며, 이로 인한 개인적 불이익은 없으니 평소에 느끼신 대로 부담 없이 답해 주십시오

위 설명을 읽고 본 설문지에 응답하시기로 동의하신다면, 아래의 서명란에 서명을 해주시고, 설문지를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연구 참여와 관련된 의문 사항은 언제나 010-4709-5927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5년 월 일 이름: (서명)

조선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석사과정

연구자: 한서정(010-4709-5927)

E-mail:bgface@hanmail.net

※다음을 읽고 해당하는 번호에 V 표시를 하시거나 ____에 기입해 주십시오.

Ⅰ.일반적 특성

1. 귀하의 성별은 어떻게 되십니까?

➀ 남 ➁ 여

2. 귀하는 몇 세 이십니까?

3. 귀하의 최종학력은 무엇입니까?

➀무학 ➁국졸 ➂중졸 ➃고졸 ➄대졸이상

4. 귀하의 혼인상태는 어떠합니까?

➀배우자 동거 ➁배우자와 별거 ➂이혼

➃사별 ➄기타

5. 귀하의 가족 동거유형은 어떠합니까?

➀자녀와 함께 산다 ➁노부부만 산다 ➂혼자생활

➃기타

6. 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➀기독교 ➁불교 ➂천주교 ➃무교

➄기타

7. 가족의 총 월수입은 얼마입니까?

➀50만원 미만 ➁50만원~100만원 미만

➂100만원~150만원 미만_________ ➃150만원 이상

8. 누가 돈을 벌어 생활합니까?

➀본인 ➁배우자 ➂자녀 ➃형제, 친척

➄기타

9.귀하의 의료보험은 무엇입니까?

➀의료보험 ➁의료급여 ➂일반

➃국가 유공자 ➄기타

10. 귀하는 장기요양 방문간호서비스를 받고 계십니까?

➀예 ➁아니오

11. 귀하의 건강 상태가 어떻다고 생각하십니까?

➀건강하다 ➁보통이다_______ ➂건강하지 않다

12. 현재 앓고 있는 질환명은 무엇입니까?

➀고혈압 ➁당뇨 ➂기타

1 2 3 4 5 6 7 8 9 10

13. 약복용을 얼마나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해당 점수에 V 표 해 주십시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9-4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