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서론에서 밝힌 바와 같이 현행 교과서가 학습 자료로서 진정성 (authenticity)을 갖는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또한 “ESL, EFL 학습자들 은 모두 조건문의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다(Covitt, 1976).”는 주장에 따라 조건문 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연구하였다. 앞서 선행 연구에서 살펴보았듯이 조건문은 형식, 유형, 기능이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학교 수업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제시되는 조건문의 형태는 지극히 제한적이며 구조, 형식만을 강조한 수업 방식으로 인해 단순 암기식의 학습이 진행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 수업에서 사용되는 조건문을 교과서에서 추출하여 의 미 유형에 따라 구분하고 기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어가 모국어인 화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Hwang(1979)의 Brown 코퍼스 연구를 바탕으로 교과 서에 제시된 조건문의 사용 빈도를 구어체와 문어체로 구분하여 정량적으로 파 악하였다. 또한 Celce-Murcia와 Larsen-Freeman(1999)의 의미 계층적 분류와 기 능 분류 방식에 따라 조건문의 유형과 기능을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2015 개정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총 6종에 나타난 조건문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ord와 Thompson(1986)의 연구에서 조건문은 구어체에서 문두 82%, 문 미 18%로 나타났고, 문어체에서 문두 77%, 문미 23%로 나타났다. 교과서에서는 총 244개 문장 중에서 문두 조건절이 184개(75.4%)로 나타났고 문미 조건절은 60개(24.6%)로 나타났다. 문어체에서는 총 147개 문장 중에서 문두 조건절이 108 개(73.5%), 문미 조건절이 39개(26.5%)로 나타났고, 구어체 총 97개 문장 중에서 문두 조건절은 76개(78.4%), 문미 조건절은 21개(21.6%)로 나타났다. 즉, 모국어 화자의 사용과 교과서에 나타난 조건문의 분포는 유사한 수치를 보인다.

둘째, 일반적 사실 조건문은 Brown 코퍼스와 영어 교과서에서 가장 높은 빈도

수를 보인다. Brown 코퍼스에서는 27.8%로 나타났고, 교과서에서는 43.7%로 나

셋째, 조건문의 기능을 파악하기 위해 Celce-Murcia와 Larsen-Freeman이 제 시한 기능 분류와 Yule(1998)이 제시한 기능에서 중복된 것을 제하고 총 13가지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목적에 맞게 구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르의 문장 및 담화를 학습 자료로 제공

둘째, 조건문의 의미유형을 구분하는 데 있어 교과서에 실린 조건문들 중 부록 스크립트에 실린 조건문은 구어로, 본문 읽기 부분에서 발췌한 조건문은 문어로 정하여 분석하였다. 그러나 모든 부록 스크립트의 조건문이 구어체 조건문이거나 모든 본문 읽기 부분의 조건문이 문어 조건문이라고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미흡 한 점이 있다.

셋째, 본 논문의 조건문 기능 분석에서 if 포함 조건문과 포함하지 않는 조건문 의 구분 없이 기능을 파악하였기 때문에 조건문의 정확한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향후 연구에서 보완될 필요가 있다.

관련 문서